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Bad (음반)

마이클 잭슨의 음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Bad (음반)
Remove ads

Bad》는 미국의 가수이자 싱어송라이터 마이클 잭슨의 일곱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다. 1987년 8월 31일, 에픽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1985년부터 1987년까지 제작된 이 음반은 잭슨과 프로듀서 퀸시 존스가 함께한 세 번째이자 마지막 협업 작품이다. 《Bad》는 주로 , 댄스, R&B 장르를 기반으로 하며, 펑크, , 재즈, , 하드 록 등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신시사이저를 비롯한 새로운 녹음 기술이 사용되었다. 잭슨은 두 곡을 제외한 모든 수록곡의 공동 프로듀서이자 작곡가로 참여했으며, 가사는 자조론, 로맨스, 세계 평화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게스트로는 시다 개럿스티비 원더가 참여하였다.

간략 정보 마이클 잭슨의 정규 음반, 발매일 ...

이 음반은 잭슨의 이전 작품인 《Thriller》 (1982년) 이후 약 5년 만에 발매되었으며, 그만큼 높은 기대를 받았다. 잭슨은 이번 음반에서 이전의 그루브 중심적 스타일과 팔세토 창법에서 벗어나 보다 공격적이고 강렬한 사운드를 채택했다. 발매에 앞서 그는 이미지 또한 새롭게 변화시켰다. 잭슨은 자신의 첫 단독 월드 투어인 Bad World Tour를 진행했으며, 총 44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고 약 1억 2,500만 달러 (2024년 가치로 약 3억 1,700만 달러)를 벌어들여 당시 역대 최고 흥행 콘서트 투어로 기록되었다. 또한 1988년에 개봉한 영화 《문워커》는 음반 홍보에도 활용되었다. 음반에서는 총 9개의 상업용 싱글과 1개의 프로모션 싱글이 발매되었다.

《Bad》는 발매 첫 주에 미국에서 225만 장 이상 판매되며 빌보드 200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고, 6주 연속 정상을 유지했다. 이 음반은 미국에서 사상 최초로 다섯 곡의 싱글이 모두 빌보드 핫 100 1위를 기록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해당 곡은 〈I Just Can't Stop Loving You〉, 〈Bad〉, 〈The Way You Make Me Feel〉, 〈Man in the Mirror〉, 〈Dirty Diana〉이며, 〈Smooth Criminal〉 또한 톱 10에 올랐다. 《Bad》는 총 24개국에서 1위를 기록하였고, 1987년과 1988년 모두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음반으로 선정되었다. 이를 통해 잭슨은 전 세계적인 슈퍼스타로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했다. 평론가들은 잭슨의 보컬과 정교해진 프로덕션을 높이 평가했다.

《Bad》는 전 세계적으로 3,500만 장 이상 판매되며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음반 중 하나로 꼽힌다. 미국에서는 11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또한 다수의 매체에서 역대 최고의 음반 목록에 포함되었으며, 일부 평론가들은 이 음반의 송라이팅과 팝 감수성을 잭슨 경력 중 최고 수준으로 평가한다. 《Bad》는 그래미 어워드 6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으며, 그중 비클래식 부문 최우수 녹음상과 최우수 뮤직 비디오상 (〈Leave Me Alone〉) 을 수상했다.

회고적으로, 《Bad》는 1980년대 대중음악의 대표적인 명반으로 평가받으며, 마이클 잭슨이 현대 음악에 미친 영향의 확장판으로 여겨지고 있다.

Remove ads

배경

Thumb
1984년의 잭슨

마이클 잭슨은 1982년 11월 29일, 여섯 번째 스튜디오 음반 《Thriller》를 발매했다.[1][2] 1983년 말까지 이 음반은 전 세계적으로 3,200만 장이 팔리며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음반이 되었다.[3][4] 음반의 즉각적인 성공은 잭슨에게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서는 전례 없는 문화적 위상을 부여했으며, 이는 대중문화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이후 몇 년간 잭슨은 개인적 혼란에 시달렸다.[5] 가족 간의 불화, 여러 유명인과의 관계 단절, 여호와의 증인과의 결별, 그리고 세계적인 명성으로 인한 압박이 그를 괴롭혔다.[6] 1985년과 1986년 동안 잭슨은 대중 앞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일을 자제했으나, 침팬지 버블스를 입양하는 등 특이한 행동으로 여전히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5][7] 또한 고압산소 챔버에서 잠을 잔다 등 여러 근거 없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다.[8][9]

그와 가까운 인물들에 따르면, 잭슨은 《Thriller》의 후속작을 완성하는 데 큰 불안감을 느꼈다고 한다.[6] 음악 평론가 켄 터커는, 《Thriller》가 달성한 전례 없는 상업적 성공과 문화적 현상을 어떤 음반도 다시 재현하기는 거의 불가능했다고 지적했다.[10] 2017년 《뉴스위크》는 이러한 부담을 "성경의 후속편을 만드는 것과 같다"고 표현했다.[11] 《Thriller》만큼의 충격적인 성공을 다시 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에도 불구하고, 잭슨은 다음 음반으로 1억 장 판매를 목표로 삼았다.[2][12] 후속작의 제목인 《Bad》는 잭슨이 소년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보다 강하고 거리적인 이미지를 추구함을 의미했다.[13] 극작가 찰스 풀러는 잭슨이 "bad"라는 단어를 "멋진", "강한", "용감한"이라는 의미로 사용했다고 설명했다.[14] 《Bad》 시기에 잭슨은 검은 옷, 버클, 금속 장식 벨트로 상징되는 새로운 외모를 선보이며 보다 거칠고 강렬한 스타일로 자신을 재창조했다.[15][16][17] 그러나 그의 외모 변화, 성형수술과 피부색의 변화 등은 특히 미국 내에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18][19][20]

Remove ads

평가

요약
관점

《Bad》는 발매 당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타임》의 제이 콕스는 잭슨의 보컬에 주목하며, 잭슨을 위대한 가수로 칭송했다. 그는 〈Dirty Diana〉와 〈Speed Demon〉 같은 곡에서 잭슨의 보컬 퍼포먼스가 그의 춤 동작만큼이나 "민첩하고 환상적"이라고 평가했다.[31] 또한 〈Man in the Mirror〉를 잭슨 경력에서 가장 뛰어난 성취 중 하나로 보며 "놀라운 드라마적 표현"이라고 언급했다.[31]빌리지 보이스》의 평론가 로버트 크리스트가우 역시 높은 평가를 내리며, 《Bad》를 "수년간 발표된 흑인 팝 음반 중 가장 강렬하고 일관된 작품"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그 이유로 "스튜디오 완성도"와 잭슨의 "리듬감과 보컬 파워"를 꼽았다. 다만 〈Beat It〉이나 〈Billie Jean〉과 같은 천재적인 순간이 부족하다고 아쉬움을 덧붙였다.[32]

USA 투데이》의 에드나 군더슨은 《Bad》를 잭슨의 "지금까지 가장 완성도 높은 작품"이라고 평하며, "계산적이지만 생명력을 잃지 않았다"고 평가했다.[33]롤링 스톤》의 다비트 시거슨은 이 음반이 《Thriller》보다 낫다고 보았다. 그는 〈Billie Jean〉과 같은 획기적인 곡은 없지만, 〈Speed Demon〉, 〈Dirty Diana〉, 〈Liberian Girl〉 같은 곡들이 《Thriller》의 평범한 곡들보다 더 풍부하고 관능적이며 완성도가 높다고 언급했다.[34]뉴욕 타임스》의 존 패렐스는 《Bad》를 "수수께끼 같은 팝스타가 만든 세련되고 중독성 있는 댄스 음반"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Wanna Be Startin' Somethin'〉과 같은 수준의 곡은 없지만, 신시사이저 중심의 편곡이 "명료하며 확실한 박자감을 지녔다"고 분석했다.[35] NPR 뮤직켄 터커는 《Bad》를 "좋은 음반"이라 평하며, 특히 이전 작품들과 비교해 "거칠고 활기찬" 음악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36]

반면 일부 평론가들은 다소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리처드 크로멜린은 《Bad》를 "솔과 록의 조화로운 구성"으로 평가하면서도, 잭슨이 이 수준의 창의력에 머무른다면 "실망스러울 것"이라고 지적했다.[37] 그는 이 음반이 《Thriller》보다는 《Off the Wall》의 균일한 완성도에 더 가깝다고 평했다.[37]워싱턴 포스트》의 리처드 해링턴은 《Bad》가 《Thriller》 이후의 기대를 완전히 충족시키지는 못했다고 보았으며, 《Off the Wall》과 비교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평했다. 그는 이 음반을 "매우 훌륭한 작품"이라 하며, "정교한 프로덕션과 인상적인 잭슨의 보컬 퍼포먼스"를 칭찬했다.[38] 《빌리지 보이스》가 주최한 비평가 연례 설문조사인 패즈 & 잡에서는 《Bad》가 그해의 상위 40개 음반 목록에 포함되지 못했다.[39] 이후 1991년 《탬파베이 타임스》의 리처드 W. 스티븐슨은 《Bad》를 잭슨에게 있어 다소 실망스러운 작품으로 평가하며, 음악적으로 《Thriller》의 연장선에 머물렀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를 두고 잭슨이 창의적 에너지를 잃었다는 업계의 추측을 낳았다고 언급했다.[40]

Remove ads

곡 목록

자세한 정보 #, 제목 ...

인증

자세한 정보 국가, 인증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