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Build the Earth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BuildTheEarth(빌드 디 어스, BTE)는 샌드박스 비디오 게임인 마인크래프트 내에서 지구의 1:1 스케일 모델을 만드는 데 전념하는 프로젝트이다.

역사
BuildTheEarth는 2020년 3월 유튜버 PippenFTS가 마인크래프트 비디오 게임에서 지구를 재현하기 위한 협력 노력으로 만들었다.[1] 코로나19 봉쇄 기간 동안 이 서버는 플레이어에게 가상으로 세계를 경험하고 건설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유튜브 영상에서 PippenFTS는 잠재적인 참가자들에게 지구 지형의 기본적인 모델 위에 인공 구조물을 재현할 것을 촉구했다.[2][3] 프로젝트 조정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디스코드 서버[4]는 2020년 4월까지 십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끌어모았다.[5] PippenFTS는 2024년에 프로젝트를 완전히 떠났지만, 이 프로젝트는 여전히 커뮤니티에서 활발히 유지되고 있다.
메르카토르 도법을 사용하여 지형을 생성하려는 시도가 실패한 후, 주최자들은 다이맥시온 지도 투영법의 수정된 버전을 선택했다. 이 대안적인 접근 방식은 바다가 심하게 왜곡되는 대신 육지의 왜곡을 최소화하는 것을 우선시했다.[6]
마인크래프트 개발사 모장 스튜디오는 2020년 지구의 날 (4월 22일)에 자신들의 웹사이트에서 이 프로젝트를 소개했다.[7] 2020년 7월, 유튜버 MrBeast는 그와 50명의 다른 사람들이 프로젝트 내에서 그의 고향인 롤리 (노스캐롤라이나주)를 건설하는 영상을 공개했다.[8]
2020년에 다니엘 탄이 서버에 타지마할의 전체 크기 재현을 완료했다.[9] 2022년에는 2,000명 이상의 플레이어로 구성된 팀이 9/11 기념관, 뉴욕 카운티 법원, 성 패트릭 대성당 (미드타운 맨해튼), 소호 등 뉴욕시의 많은 유명 장소를 포함하여 1:1 스케일로 뉴욕의 여러 곳을 재현했다.[6] 400명 이상의 플레이어로 구성된 팀이 알가르베 국제 서킷을 포함한 포르투갈의 여러 건물의 건설을 완료했다.[10]
Remove ads
소프트웨어
원래 이 프로젝트는 주로 두 가지 마인크래프트 수정에 의존하여 작동했다: Cubic Chunks와 Terra++. Cubic Chunks는 마인크래프트의 특정 높이 이상으로 구조물을 건설하는 제한을 제거한다. Terra++는 오픈스트리트맵과 같은 지리 데이터 서비스의 정보를 사용하여[11] 건설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형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그러나 마인크래프트 버전 1.18에서 새로운 월드 높이 제한이 도입되면서 전 세계의 더 많은 지역이 바닐라 범위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2025년 기준[update] 기준으로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미국과 남미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마인크래프트 1.20 이상 버전으로 전환되었으며, 별도의 수정 없이 진행된다.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