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CD14
단백질의 종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CD14(세포표면항원무리 14)는 주로 대식세포에 의해 선천 면역 체계의 일부로 만들어지는 인간 단백질이다.[1][2] 병원체 연관 분자유형(PAMP)인 지질다당류(LPS)를 결합하여 체내 세균 검출에 도움을 준다.
CD14는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는데, 하나는 글리코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GPI) 꼬리(mCD14)에 의해 막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가용성 형태(sCD14)이다.[3]
CD14(4GLP.pdb)의 X선 결정 구조는 소수성 아미노 말단 포켓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구부러진 솔레노이드 구조를 나타낸다.[4]
CD14는 최초로 기술된 유형인식수용체이다.
기능
CD14는 세균성 지질다당류(LPS)의 검출을 위한 공동 수용체(톨유사수용체 TLR4 및 MD-2) 역할을 한다.[5][6] CD14는 지질다당류 결합 단백질(LBP)이 있는 경우에만 LPS에 결합 할 수 있다. LPS는 주요 리간드로 간주되지만 CD14는 리포테이코산과 같은 다른 병원체 관련 분자 패턴도 인식한다.[7]

조직 분포
CD14는 주로 대식세포, 호중구에 의해 발현된다. 또한 수지상 세포에 의해 표현된다. 수용성 형태의 수용체(sCD14)는 간과 단핵구에 의해 분비되며 CD14를 발현하지 않는 세포에 LPS 반응성을 부여하기에 낮은 농도로 충분하다. mCD14 및 sCD14는 장 세포에 존재한다.[8] sCD14는 모유에도 존재하며, 유아의 장에서 미생물 성장을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분화
CD14+ 단핵구는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M-CSF) 및 인터루킨 4를 포함하여 사이토카인에 의해 촉진되는 분화경로 인 수지상 세포를 포함하여 다양한 세포로 분화 할 수 있다.
상호 작용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