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GD&TOP (음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GD&TOP (음반)
Remove ads

GD&TOP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빅뱅에서 G-DRAGONT.O.P이 결성한 유닛 그룹의 첫 번째 정규 음반이다. 2010년 12월 24일 음반이 발매됐으며, 그룹안에서 첫 콜라보레이션 음반이기도 하다. 두 사람은 음반을 널리 홍보하기 위해, 세계 프리미어 시사회를 통해 음반을 발표했다. 이 프로모션에서는 세 장의 싱글; "HIGH HIGH", "OH YEAH"와 "뻑이가요"를 선보였다.[1] "HIGH HIGH"가 차트 1위를 하는 동안,[2] 이후 두 곡도 각각 차트에서 2위와 3위를 차지했다.[3][4] GD&TOP은 2012년 3월 21일 발매된 영국의 가수 픽시 로트의 일본 음반 Young Foolish Happy의 타이틀 곡 "Dancing on My Own"에 피처링에 참여했다.[5]

간략 정보 의 정규 음반, 발매일 ...
Thumb
GD&TOP 앨범 커버

이 음반은 130,000장을 판매해 가온 앨범 차트에서 2010년 연간 15위를 차지했다.[6]

Remove ads

배경

빅뱅이 그들의 다음 음반을 준비하는 동안, G-DRAGONT.O.P은 각각의 스타일로 의기투합했다.[7] G-DRAGON에 따르면, 그들은 새로운 조합을 시도해 태양, 대성승리가 자신들의 음악을 녹음하는 동안 G-DRAGONT.O.P이 듀오를 결성하며, "우리는 팬들과 지난 2년간 떨어져 있었다."라고 언급했다.[7] 빅뱅의 분열은 이번이 처음으로, G-DRAGONT.O.P은 팬들의 반응을 긍정적으로 보고 YG 엔터테인먼트양현석 대표는 유닛의 음반 발표를 승낙했다.[7] 이후 양현석은 2010년 11월 그들의 콜라보레이션 소식을 언론에 발표했다.[8] G-DRAGONT.O.P은 음반의 대부분의 작사에 참여했다.[7] 두 사람은 빅뱅의 음악에서 잠시 떨어져 자신들의 스타일을 시도하고, 그룹의 현재 장르의 일렉트로닉 음악에 대비하기 위해 더욱 힙합 장르를 선택했다. G-DRAGON은 인정하지 않았지만, R&B, 어쿠스틱일렉트로닉 음악에 영향을 받았다.[7] 두 사람은 누구할 것 없이 모두 각각 많은 밤을 새며 작업을 계속 했고, 11곡의 녹음이 완료되었을 때, 콜라보레이션을 한 박봄이 포함되었다.[8] T.O.P의 솔로 곡, "TURN IT UP"은 음반의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Thumb
2011년 2월, "빅쇼 2011" 공연 중인 지드래곤과 T.O.P
Thumb
무대 위에서 GD&TOP.
Remove ads

프로모션과 발매

이 음반의 발매를 앞두고, 서울 영등포타임 스퀘어에서 두 사람은 세계 프리미어 쇼케이스를 개최했다.[9] 유튜브에서 생중계되었다.[7] 쇼케이스가 진행되는 동안, 두 사람은 그들의 음반에 수록 된 곡들의 가사와 배경을 팬들에게 설명했다.[7] 두 사람은 또한 달라진 자신들의 스타일을 선보였다.

음반 발매 당시, 음반의 커버가 플레이보이 사의 로고와 유사하게 만들어졌다는 반응으로 인해 플레이보이 사 측에서 로고 삭제요청을 YG 엔터테인먼트에 정식 요청을 하였고, YG 엔터테인먼트 측도 이를 받아들여 현재의 음반 커버로 변경이 되었다.[7] 바뀐 앨범 커버는 GD&TOP로 구성된 하트의 타이포그래피 이미지로 대체되었다. 이것은 빅뱅의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된 "Baby Good Night"의 뮤직 비디오를 제외한 모든 뮤직 비디오를 삭제 수정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그들의 음반의 세 곡 "High High", "Oh Yeah"와 "뻑이가요"[1]는 "High High"가 1위를 차지하는 동안[2] "Oh Yeah"와 "뻑이가요"가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하며 좋은 반응을 얻으며 성공적인 활동을 하였다.[3][4] 그들은 SK텔레콤이 주최한 서울 강남의 클럽에서 열린 "크리스마스 T 소셜 파티"에 호스트로 공연하였다.[10] 추가적으로 SBS 음악 프로그램 《인기가요》에 출연했다.[11] 그들의 뮤직 비디오의 세트 이미지는 온라인에서 공개되었다.[12] 음반은 크리스마스 이브에 발매가 되어 1위를 기록했으며,[13] 선주문 200,000장을 기록했다.[14]

GD&TOP은 2010년 11월, YGEX 레이블에서 싱글 음반 "Oh Yeah"를 통해 일본 데뷔가 발표되었다. "OH YEAH"는 박봄이 피처링한 곡으로, 일본어 버전의 "High High"가 수록되어 발매되었다.[15] 하지만, 그들의 프로모션을 앞두고 G-DRAGON의 대마초 흡연 사건으로 결국 싱글 음반의 발매일이 1월 7일로 미뤄졌다. "Oh Yeah"의 쇼트 버전 뮤직 비디오가 12월 12일에[16] 풀 버전이 8일 후인 12월 20일에 공개되었다.[17]

GD&TOP은 영국의 가수 픽시 로트의 일본 음반의 타이틀 곡 "Dancing on My Own"의 피처링에 참여했다.

Remove ads

음반 판매량과 수상

이 음반은 2010년 130,000장의 판매량을 기록하였고, 2011년 33,276장을 판매하였다. 추가적으로, GD&TOP은 2011 멜론 뮤직 어워드에서 "최우수 랩&힙합"상을 수상하였다. 2014년 11월 기준, 음반은 200,000장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시상식

자세한 정보 년도, 시상식 ...

음악 프로그램 1위

자세한 정보 곡, 프로그램 ...

뮤직 비디오

이 음반에서 G-DRAGONT.O.P이 출연한 3곡의 "High High", "뻑이가요"와 "Baby Good Night" 뮤직 비디오는 방송사로부터 방송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18] 그들의 또 다른 뮤직 비디오 "집에 가지마"는 다소 늦은 2011년 6월에 공개되었다.

자세한 정보 년도, 뮤직 비디오 ...
Remove ads

트랙 리스트

자세한 정보 #, 제목 ...
샘플링
  • "INTRO"는 프레다 페인의 곡 "It's Yours to Have"을 샘플링했다.
  • "집에 가지마"는 위스퍼스의 곡 "Make It with You"을 샘플링했다.
  • "어쩌란 말이냐?"는 듀언 에디의 곡 "Shazam!"을 샘플링했다.
  • "뻑이가요"는 Cajmere의 곡 "It's Time For the Percolator"을 샘플링했다.
Remove ads

차트

자세한 정보 차트, 차트 순위 ...

판매량

자세한 정보 차트, 판매량 ...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