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SBS 인기가요

SBS에서 방영중인 생방송 음악 프로그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SBS 인기가요》(SBS 人氣歌謠)는 SBS TV에서 매주 일요일 오후 3시 10분에 방송 중인 대중 음악 프로그램이다.

간략 정보 장르, 방송 국가 ...
간략 정보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 다음 가수의 무대를 소개하는 구호는 "MUSIC START!"이다.
  • 방송 시작 시 MC멘트(변천사)는 아래와 같다.
자세한 정보 역대 MC, 진행기간 ...

1990년대(1기)

SBS TV 개국 이후,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SBS 인기가요》가 첫 방송을 시작하였다. 이는 SBS의 대표 음악 순위 프로그램으로 기획되었으며, 주로 당시 유행하던 대중가요를 소개하고 순위를 집계하여 방송하는 형식을 취했다. 그러나 이 시기의 방송은 전국 단위가 아닌 수도권 지역 한정으로 이루어졌다.

초창기에는 〈오픈카메라 나도스타〉 코너가 마련되어,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정말 좋겠네 춤추고 노래하는 예쁜 내 얼굴"라는 노래와 함께 서울 명동 일대에서 촬영된 일반인 참가자들이 가수나 연예인처럼 무대에 설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얻었다. 이는 당시에는 드물었던 참여형 공개 오디션 형식으로 구성되어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SBS가 시청자 참여 중심의 방송 형식을 선도하려는 시도로 평가받는다.

1993년 하반기 프로그램 개편에 따라 《SBS 인기가요》가 종영된 이후, 그 뒤를 이어 《스타 서울 스타》가 방송되었다.

1990년대(2기)

생방송 TV 가요 20》의 종영 이후, 1998년 2월 1일SBS 인기가요》가 부활하며 다시 방송을 시작하였다. 이번 부활판은 과거처럼 수도권 지역에만 국한된 방송이 아닌, 7개 지역민방 네트워크 개국을 통해 전국 동시 방송 체제에 돌입하면서, 이를 통해 본격적인 지상파 3사 음악 프로그램 간 경쟁에 참여하게 되었다. SBS도 자체적인 인기 순위 시스템과 스타 출연진 중심의 무대 구성을 통해 새로운 인기가요 문화를 형성하려는 시도를 본격화하였다.

2000년대

2001년 12월 GTB(현 G1방송)가 개국함에 따라 강원도 권역 방송이 시작되었다. 2002년 2월 3일부터 고화질 텔레비전(HDTV) 방송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같은 해 4월 28일부터는 야외 촬영을 제외한 전 방송 프로그램이 HDTV로 송출되기 시작하였다. 같은 해 6월에는 JIBS가 개국하여 제주도 권역에서도 방송 시청이 가능해졌으며, 이로써 명실상부한 전국 방송 체제가 완비되었다. 2003년 2월 9일에는 순위제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Take 7》이 도입되었다. 2007년 6월 24일부터 방송 방식이 녹화로 전환되었으나, 같은 해 10월 21일에는 다시 생방송 체제로 복귀하였다. 2008년 11월 2일에는 시청률 하락을 이유로 방송 시간이 기존 오후 3시 20분에서 오후 4시 10분으로 약 50분 가량 늦춰졌다.

2010년대

  • 2010년 10월 17일 : 음원사이트 '멜론(Melon)' 가상광고를 시행했다.[1]
  • 2012년 7월 15일 : 뮤티즌송 제도 폐지.
  • 2012년 8월 26일 : 로고가 변경되었다.
  • 2013년 3월 17일 : 인기가요 차트 시행.
  • 2015년 9월 20일 : 로고가 변경되었다.
  • 2016년 6월 : 기존 MC의 하차로 한 달 간 스페셜 MC 체제로 운영되었다.
  • 2016년 7월 : MC응원 이벤트를 진행했다.
  • 2016년 7월 ~ 12월 : 매달 스페셜 스테이지를 진행했다. (7월: UDF(Ultra Dance Festival) / 8월: VOICE OF INKIGAYO / 9월: INKIGAYO UNPLUGGED / 11~12월: 음원프로젝트- INKIGAYO MUSIC CRUSH)
  • 2016년 10월 : 가을 개편 이후, 방송 시간이 낮 12시 10분으로 앞당겨지고 로고가 변경되었다.(10월 2일)
  • 2016년 10월 9일 : 방송 문자투표에서 ARS투표를 추가하여 집계했다.
  • 2016년 12월 18일 : 음원사이트 '멜론 (Melon)' 가상광고를 종료했다. (무대 시작 시 하단 자막이 인기가요 / 인기가요 차트 디자인으로 변경)
  • 2017년 2월 12일 : 음원사이트 '멜론 (Melon)' 가상광고를 다시 시행했다. (무대 시작 시 하단 자막이 멜론 디자인으로 변경)
  • 2018년 4월 1일 : 로고가 변경되었다. ※ 무대 종료 후 오른쪽 아래에 표시되는 곡 소개 틀의 색깔(역사)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색상, 사용기간 ...
  • 2018년 9월 9일 : 가을 개편 이후, 방송 시간이 오후 3시 40분으로 환원되었다.
  • 2018년 10월 21일 : UHD TV 송출 개시.
  • 2019년 1월 6일 : 신년 개편 이후, 방송 시간이 오후 3시 20분으로 20분 당겨졌다.
  • 2019년 4월 28일 : 1000회를 맞이하였다. 별도의 특별 순서는 없이 평소 방송분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 2019년 10월 20일 : 가수들의 무대 시, 좌측 하단에 나오는 가사 자막 폰트(글꼴)가 변경되었다.

2020년대

  • 2020년 2월 2일 ~ 2022년 5월 8일 : 코로나19 범유행 여파로 관객 없이 사전녹화와 생방송을 진행하였다.
  • 2021년 1월 24일 : 1위 선정을 위한 실시간 앱 투표가 도입되었다.
  • 2021년 7월 4일 : 1100회를 맞이하였다. 기본적인 흐름은 평소 방송분과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나, 중간에 MC 스페셜 무대(곡목 : '냉면')가 있었다.
  • 2022년 3월 27일 : 최고의 퍼포먼스 스타에게 자유 투표하는 '핫스테이지 투표'가 도입되었다.
  • 2023년 11월 5일 : 음원사이트 '멜론 (Melon)' 가상광고를 종료했다. (무대 시작 시 하단 자막이 인기가요 / 인기가요 차트 디자인으로 변경)
  • 2024년 1월 7일 : 하단 가사 자막에 파트별 담당 가수 이름을 [대괄호] 표시와 함께 표기하는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Remove ads

MC

요약
관점

공식 MC

자세한 정보 대수, 남진행자 ...
인턴 MC
자세한 정보 진행자, 방송 기간 ...

스페셜 MC

자세한 정보 진행자, 방송 일자 ...
Remove ads

방송 시간

자세한 정보 방송 채널, 방송 기간 ...

POWER ROOKIE (2008.04. ~ 2010.12.)

  • 매달의 신인을 뽑았던 코너이다.

2008년

  • 4월 - 피터
  • 5월 -
  • 6월 - 나비
  • 7월 - H7美人 Project The b
  • 8월 - TGUS
  • 9월 - 2AM
  • 10월 - symmetry
  • 11월 - 아이유
  • 12월 - XING

2009년

2010년

순위 선정 방식, 수상자

  • 1991년 12월 24일 : SBS 인기가요가 첫방송 되면서 순위제가 시작되었으며 매주 1위 후보가 선정되어 1위를 결정했다.
  • 1998년 2월 1일 : SBS 인기가요가 부활했으며, 이 당시에는 매주 두 팀의 1위 후보가 선정되어 1위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당시는 1곡이 최대 4번 1위를 수상할 수 있었으며, 1999년부터는 1곡이 최대 3번 1위를 수상할 수 있게 됐다.
  • 2002년 7월 7일 : 왕중왕 제도가 폐지되었다.
  • 2003년 1월 26일 : 순위제가 중단되었다.
  • 2003년 2월 9일 ~ 2012년 7월 8일 : 매주 7명의 뮤지션을 선정하는 Take7 제도가 새로 도입되어 매주 시행되었다. 그 중 최고의 인기를 얻은 가수 한 명을 1위가 아닌 뮤티즌송으로 선정하여 발표했으며, 기존 정식 순위제와 마찬가지로 한 곡은 뮤티즌송을 최대 3번 받을 수 있다.
  • 2013년 3월 17일 : '인기가요 차트'로 순위제가 부활했으며 매주 3팀의 1위 후보를 사전 점수를 통하여 선정 후 실시간 문자투표와 같이 합산하여 1위를 결정하며, 이 때 기존 순위제와 마찬가지로 3주간 1위를 차지한 곡은 차트에서 제외된다.
  • 2016년 10월 9일 : 1위 투표 방법에 ARS 투표방식을 추가하여 1위 집계를 실시했다.
  • 2017년 2월 5일 : 1위 선정 방식이 변경되었다. (음원 55% + 음반 5% + SNS 35% + 사전투표 5% + 온에어 (방송 점수) 10% / 실시간 투표는 제외)
  • 2017년 2월 26일 : 인기가요 차트 사전투표를 '멜론 아지톡'에서 재시행하게 되었다.
  • 2019년 2월 3일 : 1위 선정 방식이 일부 변경되었다. (음원 55% + 음반 10% + SNS 30% + 사전투표 5% + 온에어 (방송 점수) 10% / 실시간 투표는 제외)
  • 2021년 1월 24일 : 1위 선정 방식이 일부 변경되었다. (음원 55% + 음반 10% + SNS 30% + 사전투표 5% + 온에어 (방송 점수) 10% + 실시간 투표 5%)
Remove ads

1위 수상자 목록

시청률

  • 시청률 조사회사인 TNmS닐슨코리아에 따르면, 해당 프로그램은 매주 일요일 생방송 시청률이 0~1%대로 집계되며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3]
  • 코로나19 시기의 영향으로 시민들의 일요일 외출이 줄어들면서, 타 음악 프로그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청률이 잘 나오는 듯 보이지만, 이마저도 0~2%대에 머물고 있다. 이로 인해 SBS 내부에서는 한동안 음악 프로그램의 방영을 대폭 축소하고, 그 편성 공백을 예능이나 교양 프로그램으로 채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게 나오고 있다.
  • 1990년대에는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높은 인기를 누렸으나, 2000년대 초중반 이후 인터넷 음원 사이트의 확산으로 인해 인기가 급격히 하락하였으며, 시청률 역시 한 자릿수로 떨어져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편성 변경 및 결방

요약
관점

편성 변경이나 결방 사유 중 하나로, 정기 편성된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명절(설날·추석) 또는 연말(12월 마지막 주)에는 특별 편성이나 재난 등 국가적 변고로 인해 결방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Remove ads

수상 경력

SBS 인기가요 글로벌 투어

기타

  • SBS 등촌동 사옥 공개홀 매점에서 판매하는 샌드위치가 ‘인기가요 샌드위치’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2007년[5]부터 판매되기 시작한 이 샌드위치에는 양배추 샐러드, 감자 달걀 샐러드, 딸기 등의 재료가 들어가며, 오직 인기가요 출연자와 방송 관계자만 구입할 수 있다.[6] 이것과 비슷한 이름과 재료로 구성된 상품이 2018년 8월 30일부터 GS25에서, 또 9월 4일부터 세븐일레븐에서 판매되거나 판매될 예정인데, 이에 대해 SBS 측은 상품 출시에 대하여 협의가 없었다고 입장을 밝혔다.[7]
  • 1997년부터 2001년까지 가운데에 노래 가사가 들어간 자막을 삽입해왔으며, 2002년 2월부터 HD 시대를 맞으면서 왼쪽으로 한줄 가사 자막을 고정해서 사용하고 있다. 오는 2024년에 가사가 들어간 자막의 대괄호 안에 들어있는 가수 이름이 적용된다.[8]
  • 온라인 탑골공원을 통해 유튜브 채널에서 본 프로그램의 옛날 영상 라이브를 볼 수 있다.
  • 국내 방송사 중에, 아시아와 태평양, 유럽, 아메리카 등 전 세계 20여개 국에서 성공적으로 먼저 개최하여, KBS가 야심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뮤직뱅크 월드투어'와는 달리, 2023년부터 'SBS 인기가요 - 글로벌 투어' 프로젝트를 뒤늦게 구상한 것은, 코로나 19 팬데믹(대유행)과 이태원 참사 등 여러 가지 악재가 겹친 이후, 그 동안 꽁꽁 묶여있던 K-POP 문화 관광의 재건을 도모하기 위해서, 국내 K-POP 가수들을 직접 보고 싶어 하는 글로벌 팬들의 지속적인 요청에 따라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파급력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림과 동시에 진정한 의미의 K-POP 문화 관광 활성화에 가장 적잖은 작용을 했기 때문에, 대중 가요계의 K-POP 세계화를 추구하는 상징적인 이벤트로, 전 세계 글로벌 팬들이 함께 즐기는 음악이 되는 건 물론 K-POP 문화 관광 활성화의 기폭제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Remove ads

타이틀 변천사

자세한 정보 기수, 프로그램 타이틀 ...

경쟁 프로그램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