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GFAJ-1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GFAJ-1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에 속하는 막대 모양 박테리아의 한 균주[주 1] 로, 인이 없고 비소가 많은 환경에서 살 수 있는 극한환경 미생물이다. NASA의 우주생물학자 펠리사 울프-사이먼 박사 연구팀이 캘리포니아주 동쪽의 고염 알칼리성 호수인 모노호에서 분리하여 2010년《사이언스》지에 발표하여 과학계에 새로운 생물로 보고되었다.[1] 논문 저자에 따르면 이 미생물은 인이 없는 환경에 놓였을 때 인이 들어갈 자리의 일부를 비소로 대체하면서 계속 증식할 수 있다.[2][3] 하지만 이러한 결론에 대해서 다른 미생물학자와 생화학자들이 의문을 제기하였으며, 이 박테리아는 단순히 비소에 강한 저항성을 가질 뿐, 인산염으로 이뤄진 생명체임이 밝혀졌다.[4][5][6][7]
Remove ads
발견
GFAJ-1 박테리아는 미국 지질조사국에 주재하던 나사 우주생물학 연구소의 지구미생물학자인 펠리사 울프-사이먼이 발견하였다.[8] GFAJ는 “Give Felisa a Job.”(펠리사에게 일거리를)에서 따왔다.[9] 이 생물체는 그녀와 동료들이 캘리포니아주 모노호 바닥의 침전물에서 수집한 샘플에서 분리되어 2009년 초부터 배양되었다.[10] 모노 호는 염분이 매우 높고(약 90 g/L) 강한 알칼리성(pH 9.8)이며,[11] 세계에서 비소의 자연 농도가 가장 높은 장소 중 하나이다(200 μM).[1] 이 발견은 2010년 12월 2일에 널리 발표되었다.[2]
분류와 계통
| |||||||||||||||||||||||||||||||||||||||||||||||||||
리보솜 DNA 서열에 근거한 GFAJ-1 및 가까운 박테리아들의 계통 분류.[12] |
16S rRNA 서열에 기반한 분자 분석은 GFAJ-1이 할로모나스과의 다른 보통 호염성 박테리아와 가까운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논문의 저자들은 이 균주가 할로모나스속에 놓인 분기도를 제시하면서도[12] 해당 속에 명확하게 할당하지는 않았다.[1][10] 많은 박테리아가 고농도 비소에 내성이 있고 비소를 세포 내부로 따로 모아놓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GFAJ-1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인이 부족한 환경에서 비소를 자신의 대사 물질 및 거대분자에 대신 편입하여 계속 생장을 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10]
종/균주
논문에서 GFAJ-1은 할로모나스과의 한 균주로 언급된 것이며 새로운 종은 아니었다.[1] 사실 박테리아의 분류를 결정하는 국제세균명명규약에 의하면 박테리아가 새로운 종으로 인정받는데 알맞은 특정한 조건을 요구하는 지침을 명시해 두는데, 이를태면 16S rRNA 서열이 다른 종과 97% 이상 일치한다면 새로운 종이 될 수 없다.[13]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