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HD 40307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HD 40307은 K형 주계열성으로, 남반구의 화가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약 42광년 떨어진 곳에 있다. HD로 시작하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 이 별은 헨리 드레이퍼 목록에 실려 있다. 이 별의 질량은 우리 태양보다 근소하게 작다.[5] 겉보기 등급은 +7.17로, 맨눈으로 볼 수는 없다. HD 40307은 《케이프 사진소천성표》 등재작업이 한참이던 1900년 경 관측되었다.[6] HD 40307은 최소 6개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다. 2008년 이 별 주위를 도는 행성 세 개가 발견되었다.[1][7] 2012년 세 개의 행성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이들 중 HD 40307 g는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안을 돌고 있는 슈퍼 지구로 공전주기는 지구시간으로 약 200여일이며 표면에 액체 물이 존재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추가 관측을 통해 더 자세한 정보가 알려져야 이 행성이 생명체가 살법한 장소인지가 판가름날 것이다.[8][9][10][11]
Remove ads
발견 역사 및 이름
HD 40307 명칭은 헨리 드레이퍼 목록에서 따온 것이다. 이 목록은 1911년~1915년 사이 애니 점프 캐넌과 동료들이 만든 분광형에 기초한 것으로 1918년~1924년 사이에 출판되었다.[12][13] 고유 명칭이 있는 리겔, 시리우스, 베텔게우스 등과 달리 HD 40307은 애칭이 없다.
특징
HD 40307 본체는 분광형 K2.5~3V의 오렌지색 왜성이다.[1] 이 별의 질량은 태양의 약 75퍼센트이며, 반지름은 태양보다 좀 더 작고[2], 밝기 역시 태양의 18.5퍼센트 수준이다. HD 40307의 표면 온도는 5,000 켈빈이 조금 안 된다. 이는 K 분광형 별 치고는 뜨거운 축에 속한다.[14]
거리, 밝기
지구로부터는 42광년 정도 떨어져 있어 그리 멀리 있는 천체는 아니다. 그러나 이 별의 겉보기 등급은 7.17로 사람이 맨눈으로 볼 수는 없다.[15] 이 별은 과거 41만 3천 년 전 우리 태양계에 6.4 광년까지 접근한 적이 있다.[16]
행성
요약
관점

이 별을 5년 동안 관측한 결과[17] 2008년 6월 유럽 우주국은 HD 40307을 도는 슈퍼 지구 셋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셋 다 시선 속도법을 응용, HARPS 망원경을 사용하여 발견했다.[18]
2012년 하트퍼드셔 대학교 츠오미 미코가 이끄는 연구진이 기존의 행성 세 개 외에 같은 계(系) 내 추가로 행성 셋을 더 발견, HD 40307이 거느리는 것으로 확인된 행성은 총 6개로 늘어났다.[8][9]
이들 중 다섯 행성은 어머니 별에 매우 가까이 붙어 돌고 있다. 다섯 중 가장 먼 행성은 어머니 별로부터 태양~수성 거리의 약 두 배 떨어져 있는데[19][note 3] 이는 태양~금성 거리와 비슷하다. 항성의 분광형을 고려했을 때 이 거리는 HD 40307 항성계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내 있다.[9]
이들 행성의 최소 질량은 지구의 3배에서 10배로 우리 태양계에는 없는 유형들이다(지구와 천왕성, 해왕성 질량 사이의 빈 공백 내 위치한다).[9] 내행성들을 동역학적으로 분석했을 때 b는 지금 위치보다 더 먼 곳에서 태어난 뒤 어머니 별 가까이 이동한 것으로 보이며 궤도가 불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어머니 별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다른 행성들도 비슷한 상황일 것으로 추측된다.[20] 최근 동역학적 분석을 사용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HD 40307 행성 구성원들의 실제 질량은 최소 질량과 그리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한다.[9]
각주
Remove ads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