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HTTP

W3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HTTP
Remove ads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문화어: 초본문전송규약, 하이퍼본문전송규약)는 W3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주로 'HTML 문서를 전송'하는 용도에 쓰인다. TCP를 사용하고 HTTP/3부터는 UDP 및 80번 포트를 사용한다. 1996년 버전 1.0, 그리고 1999년 1.1이 각각 발표되었다.

간략 정보 국제 표준, 개발사 ...
Remove ads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 대화를 위한 요청-응답(영어판)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HTTP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웹페이지(HTML)나 그림 정보를 요청하면, 서버는 이 요청에 응답하여 필요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 정보가 모니터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나타나는 것이다.

HTTP를 통해 전달되는 자료는 http:로 시작하는 URL(인터넷 주소)로 조회할 수 있다.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Thumb
팀 버너스 리.

하이퍼텍스트라는 용어는 1965년 제너두 프로젝트에서 테드 넬슨이 만들었으며, 제너두 프로젝트는 《As We May Think》(1945년)라는 수필에서 마이크로필름 기반 정보 수신 및 관리 "메멕스" 시스템을 기술한 버니바 부시의 비전(1930년대)에 의해 영감을 받았다. 팀 버너스 리와 그의 팀은 CERN에서 HTML뿐 아니라 웹 브라우저 및 텍스트 기반 웹 브라우저 관련 기술과 더불어 오리지널 HTTP을 발명하였다. 버너스 리는 최초로 "월드와이드웹" 프로젝트를 1989년에 제안하였으며, 이것이 현재의 월드 와이드 웹이다. 이 프로토콜의 최초 버전은 서버로부터 페이지를 요청하는 GET이라는 이름의 하나의 메소드만 있었다.[1] 서버로부터의 응답은 무조건 HTML 문서였다.[2]

문서화된 최초의 HTTP 버전은 HTTP V0.9(1991년)이다. 데이브 레겟은 1995년 HTTP 워킹 그룹(HTTP WG)을 이끌었으며 확장된 조작, 확장된 협상, 더 보강된 메타 정보, 또 추가 메소드와 헤더 필드를 통한 더 효율적인 보안 프로토콜을 갖춘 프로토콜을 확장하기를 바랐다.[3][4] RFC 1945는 공식적으로 1996년 HTTP v1.0을 도입하였다.

HTTP WG는 1995년 12월 새로운 표준을 출간하기로 계획하였으며[5] 당시 개발 중인 RFC 2068(이른바 HTTP-NG)에 기반한 이전 표준 HTTP/1.1에 대한 지원이 1996년 초에 주요 브라우저 개발자들에 의해 빠르게 채택되었다. 1996년 3월, 이전 표준 HTTP/1.1을 지원한 웹 브라우저로 아레나,[6] 넷스케이프 2.0,[6]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골드 2.01,[6] 모자이크 2.7, 링크스 2.5, 인터넷 익스플로러 2.0이 있다. 새로운 브라우저의 최종 사용자 채택 속도를 빨랐다. 1996년 3월, 한 웹 호스팅 회사의 보고에 따르면 인터넷 상에서 사용 중인 브라우저 중 40% 이상이 HTTP 1.1과 호환되었다. 같은 웹 호스팅 회사는 1996년 6월 기준으로 서버에 접근하는 모든 브라우저들 가운데 65%가 HTTP/1.1 호환이라고 보고하였다.[7] RFC 2068에 정의된 HTTP/1.1 표준은 공식적으로 1997년 1월에 출시되었다. HTTP/1.1 표준에 대한 개선과 업데이트는 1999년 6월 RFC 2616으로 출시되었다.

2007년에 부분적으로 HTTP/1.1 사양을 개정하고 분명히 하기 위해 HTTPbis 워킹 그룹이 창설되었다. 2014년 6월, WG는 RFC 2616를 obsolete 처리하는, 업데이트된 6 파트 사양을 출시하였다:

HTTP/2는 2015년 5월 RFC 7540로 출판되었다.

Remove ads

메시지 포맷

요약
관점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소통은 평문(ASCII) 메시지로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요청메시지를 전달하며 서버는 응답메시지를 보낸다.

요청 메시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보내는 요청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 요청 내용
보기) GET /images/logo.gif HTTP/1.1
  • 헤더
보기) Accept-Language: en
  • 빈 줄 (empty line)
  • 기타 메시지를 포함하여 표시된다.

요청 내용과 헤더 필드는 <CR><LF>로 끝나야 한다. 즉, 캐리지 리턴(carriage return) 다음에 라인 피드(line feed)가 와야 한다. 빈 줄(empty line)은 <CR><LF>로 구성되며 그 외 다른 화이트스페이스(whitespace)가 있어서는 안된다.


요약표

자세한 정보 RFC, 요청에 Body가 있음 ...

응답 메시지

응답 메시지는 다음으로 구성된다.

  • 상태표시 행(status line): 상태코드(status code)와 reason message를 포함한다. (예. HTTP/1.1 200 OK.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성공적으로 전달되었음을 표시)
  • 응답 헤더필드 (예.Content-Type: text/html)
  • 빈 줄 (empty line)
  • 기타 메시지

예제 세션

아래는 포트 80의 www.example.com에서 실행 중인 HTTP 클라이언트와 HTTP 서버 간의 샘플 변환이다. 모든 데이터는 줄 끝마다 2바이트 CR LF ('\r\n')를 사용하여 플레인 텍스트(ASCII) 인코딩을 통해 송신된다.

클라이언트 요청

GET /restapi/v1.0 HTTP/1.1
Accept: application/json
Authorization: Bearer UExBMDFUMDRQV1MwMnzpdvtYYNWMSJ7CL8h0zM6q6a9ntw

서버 응답

HTTP/1.1 200 OK
Date: Mon, 23 May 2005 22:38:34 GMT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Content-Encoding: UTF-8
Content-Length: 138
Last-Modified: Wed, 08 Jan 2003 23:11:55 GMT
Server: Apache/1.3.3.7 (Unix) (Red-Hat/Linux)
ETag: "3f80f-1b6-3e1cb03b"
Accept-Ranges: bytes
Connection: close

<html>
<head>
  <title>An Example Page</title>
</head>
<body>
  Hello World, this is a very simple HTML document.
</body>
</html>
Remove ads

응답 코드

요약
관점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여 어떠한 요청을 하면, 서버는 세 자리 수로 된 응답 코드와 함께 응답한다. HTTP의 응답 코드는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코드, 메시지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