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K리그1의 외국인 선수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K리그1 외국인 선수 목록한국프로축구연맹K리그1 출전 선수로 공식 선수 등록을 완료한 외국인 선수들의 명단이다.

2012시즌까지 한국 프로축구 최상위리그였던 K리그의 외국인 선수들을 포함한다.

  • 선수 이름은 공식 이름 / 한글 K리그 등록명 형식으로 병행 표기한다.
  •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현재 K리그1에서 활동하고 있는 선수이다.
  • 복수국적자의 경우 한국프로축구연맹에 선수 등록시 선택한 국적으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국가대표팀 경력이 있는 선수에 한해서는 해당 선수가 선택한 국가대표팀의 나라를 국적으로 표기한다.
  • 복수국적자 참고사항에서 국가대표(연령별 대표팀 포함) 경력이 있는 선수의 경우 국가대표 경력을 쌓은 국가를 굵은 글씨로 기재한다.
  • K리그2 경력자의 경우 한 구단에서의 연속된 경력기간이라도 K리그2에서의 경력기간은 K리그2의 외국인 선수 명단에 기재하고, 이 문서에는 K리그1에서의 경력기간만 기재한다.
  • 각 구단에서 영입 후 한국프로축구연맹에 공식 선수 등록 전 방출한 선수는 기재하지 않는다.
Remove ads

아프리카 – CAF

가나 가나

감비아 감비아

기니 기니

기니비사우 기니비사우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니제르

말리 말리

모리셔스 모리셔스

세네갈 세네갈

시에라리온 시에라리온

이집트 이집트

카메룬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코트디부아르

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Remove ads

아시아 – AFC

요약
관점

동티모르 동티모르

베트남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시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요르단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라크

이란 이란

일본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는 (재일 조선인 포함) 대한민국 국민으로 간주되어 외국인 선수 제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태국 태국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필리핀 필리핀

Remove ads

유럽 – UEFA

요약
관점

네덜란드 네덜란드

노르웨이 노르웨이

덴마크 덴마크

독일 독일

라트비아 라트비아

러시아 러시아

루마니아 루마니아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

북마케도니아 북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의 전신인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1992–2003),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2003–2006) 시절 활약한 선수 포함

몰도바 몰도바

벨기에 벨기에

벨라루스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불가리아

세르비아 세르비아

세르비아의 전신인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1992–2003),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2003–2006) 시절 활약한 선수 포함

스웨덴 스웨덴

스위스 스위스

스페인 스페인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알바니아 알바니아

영국 영국

북아일랜드 북아일랜드

잉글랜드 잉글랜드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이탈리아

조지아 조지아

체코 체코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키프로스

튀르키예 튀르키예

포르투갈 포르투갈

폴란드 폴란드

프랑스 프랑스

핀란드 핀란드

헝가리 헝가리

Remove ads

북•중미, 카리브 제도 – CONCACAF

마르티니크 마르티니크

미국 미국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캐나다 캐나다

남아메리카 – CONMEBOL

볼리비아 볼리비아

브라질 브라질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에콰도르

우루과이 우루과이

칠레 칠레

콜롬비아 콜롬비아

파라과이 파라과이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