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K팝스타 2
대한민국 SBS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일요일이 좋다》의 한 코너이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K팝스타 2》는 SBS TV에서 2012년 11월 18일부터 2013년 4월 7일까지 방영되었다.
Remove ads
방송 시간
심사 위원
선발 과정
- 예선 (2012년 6월 1일 ~ 9월 2일)
- 본선
우승 혜택
시청률
- 시청률은 AGB 닐슨의 광고 제외 전국 시청률로 아래에 있는 시청률에서 약 1% 정도를 빼야 실질시청률이라 할 수 있다.
- 빨간색은 최고시청률, 파란색은 최저시청률을 나타낸다.
Remove ads
오디션 및 결과
- 방송 방영을 기준으로 작성이 되었으며, 실제 오디션에 참가하였지만 방송되지 않은 내용은 제외되었다.
본선 1라운드 탤런트 오디션
- 본선 1라운드 오디션은 세 심사위원중 2명 이상이 합격 버튼을 눌러야 진출이 가능하다.
- 합격시 'O'표시, 불합격시 'X'표시를 했으며, 합/불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표시를 했다.
- 결과의 경우 '진출', '탈락'으로 표시를 했으며, 알 수 없는 경우에는 '?'표시, 다른 회에서 진출을 했다고 알 수 있는 경우에도 '진출'으로 표시를 했다.
- 두 명 이상의 심사위원이 탈락을 결정하였어도, 한 명의 심사위원이 와일드 카드를 사용할 경우 심사위원 개인 권한으로 탈락을 보류시켜 가능성을 재확인하기 위해 와일드 카드를 사용한 심사위원과 1:1 오디션을 통해 다음 라운드 진출 여부가 결정된다.(이 경우 결과에 '보류'라고 표기)
- 방송을 통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온 미공개 영상을 통해 공개된 참가자들이나 참가곡도 포함하였다.
본선 2라운드 밀착 오디션
- 랭킹 오디션시에 나오는 밀착 오디션은 출연회에 '#회(조이름 #번호)'로 표기했다.
- 오디션 장면이 방송되지는 않았지만, 방송을 통해 언급된 부분도 반영하였다.
- 방송을 통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온 미공개 영상을 통해 공개된 참가자들이나 참가곡도 포함하였다.
본선 2라운드 랭킹 오디션
- 조이름 아래에는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순위까지의 숫자를 적었다.
- 공연내용에 특별히 언급이 없으면 노래고, 혼동일 될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는 괄호를 하고 기술했다.
- 5회 남자악기조 공연 내용 중 괄호 안에 적힌 곡은 심사위원 재량으로 선발된 추가 경연 참가자들이 15초 동안의 추가 경연 때 불렀던 곡들이다.
본선 3라운드 캐스팅 오디션 1차(16팀, 42명)
- 심사위원들이 구성한 팀 단위로 무대를 꾸민 후, SM, YG, JYP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참가자를 선발하여 이후 트레이닝을 시키게 된다.
- 심사위원은 단 1회에 한하여 자신이 원하는 팀 전체를 동시에 캐스팅할 수 있는 '우선권'을 사용할 수 있다.
본선 3라운드 캐스팅 오디션 FINAL(35명)
- 1차 캐스팅 후 2주간 각 소속사에서 트레이닝을 받은 후 최종적으로 캐스팅을 완료하는 오디션.
- SM, YG, JYP 각각 6장의 캐스팅 카드가 주어지며, 총 18명의 참가자가 선발된다.(시즌 1과 다르게 팀 단위 선발 가능)[2][3]
- 팀명에서 공란은 솔로, '-'은 팀명이 없는 경우에 해당된다.
- 최종결과
- 마지막 추가 선발 후 최종 결과에 따르면 SM은 10명 중 9명, YG는 12명 중 8명, JYP는 13명 중 11명이 캐스팅되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본선 4라운드 배틀 오디션(18팀, 25명)
- 최종 생방송 무대에 오를 Top 10을 가리기 위한 마지막 오디션.
- 각 조에는 SM, YG, JYP에서 각각 트레이닝을 받은 참가자 1명씩 포함되어, 조별로 1~3위까지 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 각 조별로 1위는 자동 생방송 진출, 2위는 각 조의 2위들끼리 경쟁하여 승자는 생방송 무대에 오를 수 있는 Top 10에 합류하게 되고, 3위는 자동 탈락이 된다.
- 패자부활전에서는 배틀오디션에서 각 조 2위를 차지한 참가자들끼리 경쟁하여 4명이 생방송에 진출하는 Top 10에 합류하게 된다.
- 최종결과 SM이 6팀 중 5팀(자진하차한 김도연 분 포함)을 합격시켜 가장 높은 83.3%라는 합격률을 보였고, YG가 6팀 중 3팀으로 50%, JYP가 6팀 중 2팀을 합격시켜 33.3%의 합격률을 나타내었다.
본선 5라운드 스테이지 오디션
- 시즌 1[6]과 다르게 3라운드까지는 생방송에서 1:1 배틀 형식으로 2팀 당 한 개 조로 나뉘어 승자는 자동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는 방식이며, 4라운드부터는 심사위원 점수 70%, 시청자 문자 투표 30%를 합산하여 하위 1명을 탈락시키는 방식이다.
- 1~3라운드는 패자들 가운데 문자투표를 가장 많이 받은 1~2팀이 추가로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게 되고, 남은 패자들 가운데 한 팀이 심사위원들의 결정에 의해 와일드 카드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게 된다.
- 3라운드까지는 문자 투표는 조별로 나뉘어 해당 조에 대한 투표는 해당 조의 경연 시작부터 다음 경연 조의 시작 전까지만 가능하고, 4라운드부터는 전체 참가자 경연 시작부터 끝까지 참가자 전원에게 투표가 가능하다.
- Top 10 합격자명단(가나다순) - 현재 김도연 분의 자진하차로 인하여 신지훈 분이 추가합격.
- 경연장소 : 서울 상암 SBS 프리즘타워(14~15회), 부천 실내체육관(16~21회)
스페셜 라운드 Dream Stage
- 시즌 1과 시즌 2 Top 10 중 각각 한 팀씩 두 팀이 콜라보레이션 무대를 펼쳐 대결하여 통합챔피언을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 평가는 MC, 참가자들과 SM, YG, JYP 3사의 전문가들이 포함된 현장 평가단 100인에 의해 이뤄졌다.
Remove ads
방송 종영 후 출연진들의 캐스팅
Remove ads
순위
Remove ads
고득점 무대
기타 사항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5월) |
- 2012년 11월 18일 방송된 1회에서 2009년 MNET '슈퍼스타K 1'에서 TOP 10에 진출하여 최종 10위를 기록한 경력이 있는 박재은(재니)이 참가하였으나, 2012년 'K팝스타 2'에서 본선 1라운드에서 탈락하였다.
- 2012년 11월 25일 방송된 2회에서 2011년 JTBC '메이드 인 유'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경력이 있는 송하예가 참가하여 2명의 심사위원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아 탈락 위기에 쳐했으나, 양현석 심사위원이 와일드 카드를 사용하여 가까스로 한 번 더 기회를 얻게 되었다. 2011년 SBS 'K팝스타 1'에서 Top 3에 오른 백아연의 동생인 백제연이 참가하였으나, 자신감 부족 등을 이유로 세 명의 심사위원 모두에게 불합격 판정을 받아 2012년 'K팝스타 2' 본선 1라운드에서 탈락하였다.
- 2012년 12월 2일 방송된 3회에서 2011년 SBS 'K팝스타 1'에 출연했던 성수진이 자신의 컴플렉스였던 턱을 양악수술로 교정한 후 다시 참가하여, 지난 시즌 자신에게 가장 많은 혹평을 했던 박진영 심사위원에게는 여전히 올드하다는 혹평으로 불합격을 받았으나 나머지 두 심사위원에게 합격을 받아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였다.
- 2013년 2월 10일 방송된 13회에서 2013 설 특집으로 방송되었다. 이 방송에서는 Top 10 결정전 마지막 6조 경기와 조 2위 재대결 방송을 했다. 이 방송에서 Top 10으로 최종선발된 김도연이 자신의 꿈을 이유로 제작진에게 자진하차 의사를 밝히고, 제작진도 이를 수용해 자진하차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