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K팝스타 3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K팝스타 3》는 SBS TV에서 2013년 11월 24일부터 2014년 4월 13일까지 방영되었다.[1]
Remove ads
방송 시간
출연진
진행자
심사위원
우승 혜택
시청률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위의 시청률은 TNmS와 AGB닐슨에서 공개한 시청률로 빨간색 숫자는 최고 시청률, 파란색 숫자는 최저 시청률을 나타낸다.
Remove ads
오디션 및 결과
요약
관점
- 방송 방영을 기준으로 작성이 되었으며, 실제 오디션에 참가하였지만 방송되지 않은 내용은 제외되었다.
본선 1라운드 탤런트 오디션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본선 1라운드 오디션은 세 심사위원중 2명 이상이 합격 버튼을 눌러야 진출이 가능하다.
- 합격시 'O'표시, 불합격시 'X'표시를 했으며, 합/불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표시를 했다.
- 결과의 경우 '진출', '탈락'으로 표시를 했으며, 알 수 없는 경우에는 '?'표시, 다른 회에서 진출을 했다고 알 수 있는 경우에도 '진출'으로 표시를 했다.
- 각 심사위원은 본선 1라운드 녹화 도중 단 1번 씩만 심사위원 재량으로 해당 팀을 다음 라운드로 진출시키는 와일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선 2라운드 상중하 오디션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본선 2라운드 오디션 시작 전 참가자들이 JYP(박진영), YG(양현석), 안테나 뮤직(유희열)중 1명을 골라 각 심사위원들에게 개인 점검을 받은 뒤, 각각 상, 중, 하그룹으로 배정을 받고 시작한다.[5]
- 본 오디션에서는 상, 중, 하 그룹 참가자들이 한꺼번에 입장해서 순서대로 공연을 보여주고 심사평을 들은 뒤, 마지막에 세 심사위원의 합의[6]로 다음 라운드 진출자를 결정한다.
- 상 그룹은 합격에 제한이 없으며, 중 그룹은 1/3 이상 탈락하고 나머지만 다음 라운드 진출. 하 그룹은 최대 3명만이 다음 라운드만 진출하게 된다.
- 조편성으로 인한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지막에 세 심사위원의 합의로 몇 명을 추가 선발했다.
- 결과의 경우 '진출', '탈락'으로 표시했다.
본선 3라운드 쇼케이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본선 3라운드 쇼케이스 시작 전 참가자들이 알아서 팀을 구성한다. 그리고 그 팀으로 하나의 공연을 준비해 심사위원들에게 보여준다.
- 본선 3라운드 쇼케이스에서 보여준 공연을 바탕으로 쇼케이스 때의 팀을 유지하거나 심사위원의 재량으로 팀을 재구성한다.[7]
- 결과의 경우 '유지', '해체'으로 표시했다.
본선 3라운드 파이널 오디션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본선 3라운드 쇼케이스에서 최종적으로 확정된 팀으로 또 하나의 공연을 준비해 심사위원들에게 보여준다.
- 이번에는 전 시즌과는 달리 추첨을 통해 선발된 팀과 1대 1로 공연을 하며, 승리 팀은 전원 합격이고, 패배 팀은 팀원 중 1명 이상이 무조건 탈락한다.[8]
- 9회에서는 심사위원과 제작진의 합의로 2장의 와일드 카드를 얻어 2팀을 추가 합격 시켰다.
- 결과의 경우 '승', '패'으로 표시했다.
- 브로디 B와 정세운이 와일드 카드로 합격하였으며, 이 중 정세운은 김아현 과 남은 시합을 썸띵이라는 그룹으로 활동할 것을 조건으로 합격되었다.
본선 4라운드 캐스팅 오디션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기존의 캐스팅 오디션 파이널과 비슷하게 참가자의 경연이 끝난 후 세 심사위원 각각 6장[9]씩 가지고 있는 캐스팅 카드를 이용하여 참가자들을 합격시킨다. 이 때 캐스팅을 받지 못한 참가자는 탈락하며, 캐스팅을 받으면 해당 심사위원의 소속사에서 트레이닝을 받는다.
- 이번에는 전 시즌과는 달리 캐스팅 오디션이 단 한번 뿐이다.[10]
- 이번 시즌에는 시즌 2[11]와 마찬가지로 심사위원 재량으로 그룹으로 경연한 참가자들을 남은 시합을 같은 그룹으로 활동할 것을 조건으로 한꺼번에 캐스팅 할 수 있으며, 이 때 캐스팅 카드는 1장만 사용한 것으로 처리한다.
- 특이한 점은 심사위원이 자신의 캐스팅 순서가 아닐 때에도 심사위원에게 단 1장씩만 주어지는 우선권을 이용해서 참가자를 한꺼번에 캐스팅 할 수 있다.[12]
- 참가자는 심사위원의 결정에 따라 기존 3라운드 팀 미션 파이널과 같은 팀으로 참가하거나[13], 팀을 해체하고 솔로로 혹은 더 작은 팀으로 참가하거나[14], 혹은 서로 다른 팀에 있었던 팀원들을 각각 차출 및 재결합하여 새로운 팀을 만들기도 하였다.[15]
- 솔로로 참가한 경우 팀명에 솔로, 팀명이 언급되지 않은 경우 팀명에 -으로 표시한다.
- 허은율은 안테나뮤직에 남은 1장의 캐스팅 카드로 추가 합격되었다.
- YG에 캐스팅된 투미닛의 장한나는 솔로로 확정되고, 대신 아비가일김을 투미닛에 합류하였다.
- 최종결과(캐스팅 순서로)
본선 5라운드 배틀 오디션(18팀, 25명)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이번에는 상대 전력을 미리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틀 오디션 10일 전에 예비 시합을 가졌다.
- 회사별로 6명씩 캐스팅한 총 18팀을 회사가 정한 공연 순서에 의하여 1팀씩 출연 3팀이 Round별 대결한다.
- Round 대결공연에 대하여 심사위원 협의하에 순위를 1위 ~ 3위까지 결정하고 1위는 Top10 진출, 2위는 보류하였다가 추후 재대결하여 결정, Top10에 진출하게 되며, 3위는 무조건 탈락한다.
- 결과의 경우 1위 'Top10 진출', 2위 '재대결(보류)', 3위 '탈락'으로 표시했다.
- 13회 4라운드에서 1위, 3위가 없어 8팀이 재대결을 펼친 후 심사위원의 협의 하에 따라 5팀이 Top10 경연에 진출을 하게 되었다.
- 최종결과 YG가 6팀 중 4팀을 합격시켜 가장 높은 66.7%의 합격률을 보였고, 안테나뮤직, JYP가 6팀 중 3팀으로 50%의 합격률을 나타내었다.
본선 6라운드 스테이지 오디션(TOP 10 경연 : Top 8 결정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Top10 합격자 명단 (가나다 순)
- 권진아 : 1997년 7월 18일생 : 예문여자고등학교
- 남영주 : 1991년 8월 3일생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실용음악과 (2010-2011), 호원대학교 실용음악과 재학 (2012-)
- 배민아 : 6월 9일생 : 한국외국인학교
- 버나드박 : 1993년 1월 29일생 : 조지아위닛대학
- 샘김 : 1998년생 2월 19일생 : 미국 시애틀
- 썸띵
- 김아현 : 1992년 12월 30일생
- 정세운 : 1997년 5월 31일생 : 금성고등학교
- 알맹
- 이해용 : 1990년 10월 31일생
- 최린 : 1991년 10월 11일생
- 장한나 : 1996년 1월 9일생 : 덕소고등학교 졸업, 서울예술대학교 합격
- 짜리몽땅
- 류태경 : 1995년 9월 5일생 : 경북예술고등학교
- 박나진 : 1995년 8월 18일생 : 경북예술고등학교
- 여인혜 : 1995년 3월 4일생 : 경북예술고등학교
- 한희준 : 1989년 4월 20일생 : 미국 뉴욕
- Top10 오디션
- 양현석, 박진영, 유희열 세 심사위원 뿐 아니라 100인의 시청자 심사위원들이 평가하는 오디션
- 여기서 뽑힌 TOP8이 생방송 오디션에 돌입된다.
- Top10을 조 추첨으로 5팀씩 A조와 B조로 나누어 경연을 하여 각 조의 상위 3팀은 Top8로 바로 진출하고
각 조의 하위 2팀은 탈락후보대상으로 공연이 끝난 후에 시청자 심사위원의 비밀투표로 탈락후보대상 4팀중 Top8에 진출할 2팀을 뽑는다.
본선 7라운드 생방송 오디션(TOP 8 경연 : Top 6 결정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TOP8 합격자 명단 (가나다순)
- 권진아 : 1997년 7월 18일생 : 예문여자고등학교
- 배민아 : 1999년 6월 9일생 : 한국외국인학교
- 버나드박 : 1993년 1월 29일생 : 조지아위닛대학교
- 샘김 : 1998년생 2월 19일생 : 미국 시애틀
- 알맹
- 이해용 : 1990년 10월 31일생
- 최린 : 1991년 10월 11일생
- 장한나 : 1996년 1월 9일생 : 덕소고 졸업, 서울예대 합격
- 짜리몽땅
- 류태경 : 1995년 9월 5일생 : 경북예술고등학교
- 박나진 : 1995년 8월 18일생 : 경북예술고등학교
- 여인혜 : 1995년 3월 4일생 : 경북예술고등학교
- 한희준 : 1989년 4월 20일생 : 미국 뉴욕
- Top8 생방송 오디션(MC 전현무, 유혜영)
- 본격적인 생방송에 돌입하는 ‘TOP6 결정전’부터 국내외를 망라한 글로벌한 ‘실시간 투표’ 제도를 도입
- 문자 투표(#0606)와 더불어 스마트폰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카카오톡’으로도 참여할 수 있게 된 것.
- ‘카카오톡’ 사용자라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투표에 참여할 수 있게 된 만큼 다양한 대중의 의견이 심사에 반영.
- Top8이 조 추첨하여 1:1 배틀라운드에서 승자 4팀은 생방송 Top6라운드에 진출 확정되고 패자는 탈락후보가 된다.
- 탈락후보 4팀 중 문자투표 상위 1팀과 심사위원 선택 1팀이 생존하여 Top6라운드에 진출한다.
본선 8라운드 생방송 오디션(TOP 6 경연 : Top 4 결정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TOP6 합격자 명단 (가나다순)[20]
- 권진아 : 1997년 7월 18일생 : 예문여자고등학교
- 버나드박 : 1993년 1월 29일생 : 조지아위닛대학교
- 샘김 : 1998년생 2월 19일생 : 미국 시애틀
- 알맹
- 이해용 : 1990년 10월 31일생
- 최린 : 1991년 10월 11일생
- 짜리몽땅
- 류태경 : 1995년 9월 5일생 : 경북예술고등학교
- 박나진 : 1995년 8월 18일생 : 경북예술고등학교
- 여인혜 : 1995년 3월 4일생 : 경북예술고등학교
- 한희준 : 1989년 4월 20일생 : 미국 뉴욕
- Top6 생방송 오디션(부천실내체육관 : MC 전현무, 유혜영)
- 이번 경연은 사상 첫 ‘3사(社) 위크(week)’ 제도를 선보이며 ‘TOP4 결정전’을 한다.
- ‘3사(社)위크(week)제’는 심사위원이 참가자들을 캐스팅했던 이전 시즌들과 달리, 결승전 직후 우승자가 무대 위에서 직접 심사위원을 선택하는 ‘역발상 오디션’ 룰이 적용된다.
- ‘3사(社)위크(week)’제란 참가자들은 각각 1주씩 YG, JYP, 안테나뮤직 3사(社)에서 더 나은 다음 무대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받고 ‘3사(社)위크(week)’제를 통해 참가자들과 세 심사위원이 서로를 탐색할 기회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 YG-JYP-안테나뮤직의 기본 시스템을 토대로, 해당 주에 속한 심사위원은 조력자로서 추가 참여하게 된다.
- 첫 주자로 양현석의 YG가 TOP6 지원 사격에 나서며 ‘3사(社)위크제(week)’의 문을 연다.
- 우승자가 YG-JYP-안테나뮤직 중 한 곳을 선택하게 되는 만큼 3사(社)를 고루 경험하여 ‘3사(社)위크(week)’ 제도를 통해 우승자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했다.
- TOP6 스페셜 스테이지
- 이하이 - 1, 2, 3, 4
본선 9라운드 생방송 오디션(TOP 4 경연 : TOP 3 결정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TOP4 합격자 명단 (가나다순)[21]
- 권진아 (18) : 1997년 7월 18일생 : 예문여자고등학교
- 버나드 박 (22) : 1993년 1월 29일생 : 조지아그위닛대학교
- 샘 김 (16) : 1999년생 : 미국 시애틀
- 짜리몽땅
- 류태경 (20) : 1995년 9월 5일생 : 경북예술고등학교
- 박나진 (20) : 1995년 8월 18일생 : 경북예술고등학교
- 여인혜 (20) : 1995년 3월 4일생 : 경북예술고등학교
- TOP4 생방송 오디션 (MC 전현무, 유혜영 아나운서)
- 이번 경연은 JYP 위크(week)이며 TOP3 결정전을 한다.
- TOP4 스페셜 스테이지
본선 10라운드 생방송 오디션(준결승전 : SEMIFINAL)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TOP3 합격자 명단 (가나다순)
- 권진아 (18) : 1997년 7월 18일생 : 예문여자고등학교
- 버나드 박 (22) : 1993년 1월 29일생 : 조지아그위닛대학교
- 샘 김 (16) : 1999년생 : 미국 시애틀
- TOP3 스페셜 스테이지
본선 11라운드 생방송 오디션(결승전 : FINAL)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TOP2 합격자 명단 (가나다순)[22]
- 버나드 박 (22) : 1993년 1월 29일생 : 조지아그위닛대학교
- 샘 김 (16) : 1999년생 : 미국 시애틀
- 결승 스페셜 스테이지
Remove ads
방송 종영 후 출연진들의 캐스팅
순위
Remove ads
고득점 무대
논란
본선 1라운드 출연자 중 김은주 양이 뛰어난 가창력으로 찬사를 받았으나 일진설에 휘말려 많은 네티즌들에게 하차요구를 받았다. 사실인지 거짓인지는 불명확하다. 본선 1라운드 이후 김은주 양은 방송에 방영되지 않았으며 그 외 사항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다.
경쟁 프로그램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