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Off the Deep End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Off the Deep End
Remove ads

Off the Deep End》는 미국의 패러디 음악가 "위어드 알" 얀코빅의 일곱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1992년에 발매되었다. 이 음반은 여섯 장의 음반을 릭 데린저와 함께한 이후, 얀코빅이 처음으로 직접 프로듀싱한 음반이다. 1990년 6월부터 1992년 1월까지 녹음되었으며, 얀코빅의 1989년 영화 《UHF》의 실패한 사운드트랙 이후에 발매되었다. 《Off the Deep End》와 리드 싱글 〈Smells Like Nirvana〉는 1988년 싱글 〈Fat〉 이후 침체기에 있던 얀코빅의 경력을 다시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간략 정보 "위어드 알" 얀코빅의 정규 음반, 발매일 ...
자세한 정보 평가 점수, 출처 ...

이 음반의 음악 스타일은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의 록 음악, 그리고 새롭게 등장한 그런지 음악을 중심으로 한 패러디와 패스티시로 구성되어 있다. 음반의 절반은 너바나, MC 해머, 뉴 키즈 온 더 블록, 헤라르도, 밀리 바닐리를 패러디한 곡들로 이루어져 있다. 나머지 절반은 오리지널 곡으로, 기존 아티스트들의 스타일을 모방한 "스타일 패러디"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타일 패러디에는 비치 보이스, 제임스 테일러, 잔 앤 딘과 같은 특정 아티스트들의 음악적 특징을 모방한 곡들이 있다.

《Off the Deep End》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빌보드 200 차트에서 17위에 올랐다. 또한 이 음반은 얀코빅의 가장 유명한 싱글 중 하나인 〈Smells Like Nirvana〉를 배출했다. 이 곡은 너바나의 대표 히트곡 〈Smells Like Teen Spirit〉을 패러디한 곡으로,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35위에 올랐다. 이는 1984년에 발표된 〈Eat It〉 이후 얀코빅의 두 번째로 높은 순위 기록이다. 음반의 커버는 너바나의 음반 《Nevermind》의 커버를 패러디한 것으로, 원본에서 물속에 있는 아기와 낚싯바늘에 걸린 1달러 지폐 대신 얀코빅 본인과 도넛이 등장한다.

《Off the Deep End》는 얀코빅의 네 번째 골드 레코드에 해당하며, 이후 미국 내 판매량 100만 장을 돌파하여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또한 이 음반은 1993년 그래미 어워드 베스트 코미디 레코딩 부문에 후보로 지명되었다.

Remove ads

배경

1989년, 얀코빅은 매니저 제이 레비와 공동 집필하고 오클라호마주 털사에서 촬영한 장편 영화 《UHF》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이 작품은 텔레비전 및 영화 산업을 풍자한 영화로, 마이클 리처즈, 프랜 드레셔, 빅토리아 잭슨 등이 함께 출연했다. 이 영화는 침체기에 있던 오리온 영화사가 《로보캅》 이후 가장 높은 시사회 점수를 기록하는 데 기여했다.[6] 그러나 약 500만 달러의 제작비에 비해 북미에서 600만 달러 남짓을 벌어들이는 데 그쳐 상업적으로는 실패한 것으로 간주되었다.[6]

얀코빅은 또한 1989년 말 영화의 사운드트랙 형식의 음반 《UHF –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and Other Stuff》를 발매했다. 이 음반에는 영화에 사용된 곡들과 광고 패러디뿐만 아니라 얀코빅의 새로운 스튜디오 트랙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음반은 흥행에 실패했으며, 빌보드 200 차트에서 146위에 오른 후 빠르게 차트에서 사라졌다.[7] 《UHF》 발매 이후, 얀코빅은 후속 음반을 제작하기 위해 다시 스튜디오로 돌아갔다.[8]

Remove ads

커버 아트

《Off the Deep End》의 커버는 너바나의 유명한 음반 《Nevermind》의 커버를 패러디한 것이다. 《Nevermind》의 커버는 수영장의 깊은 곳에서 낚싯바늘에 매달린 1달러 지폐를 쫓아가는 아기 모습을 담고 있다.[9] 《Off the Deep End》의 커버에서는 아기의 자리를 대신해 얀코빅이 도넛을 잡으려고 수영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Nevermind》의 커버가 완전히 나체의 아기를 사용한 것과 달리, 얀코빅은 수영복을 입었으며 몸의 자세로 그것을 가린 상태였다. 그는 이후 농담으로 "제 음반 커버에서 완전 노출을 할 거라고는 생각해본 적이 없다"라고 말했다.[10]

CD, 라이너 노트, 커버 아트 또한 《Nevermind》의 인쇄물에 사용된 파란 물결 조명 그래픽을 차용해 패러디를 이어간다.[9][11]

Remove ads

곡 목록

자세한 정보 #, 제목 ...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