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Separation Anxiety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Separation Anxiety》는 2008년 3월 20일 발매된 넬의 통산 6집 앨범이자 정규 4집 앨범이며, 2006년 3집 《Healing Process》 이후 1년 6개월 만의 정규 앨범이다. 이 앨범에서는 〈기억을 걷는 시간〉이 타이틀곡, 〈멀어지다〉가 후속곡이다.
수록곡
전체 작사·작곡: 김종완
Remove ads
평가
일렉트로니카, 록, 그리고 오케스트라 간의 절묘한 조화를 통해 전에 없이 세련되고 풍성한 사운드를 구현하여, 넬의 앨범 중 가장 성숙한 앨범이라는 평가도 있으나, 넬의 색깔을 잃어버린 데에 대한 아쉬움을 표출하는 사람들도 있고, 예전의 사운드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다.
사연 및 가설
- 팬들 사이에서 이 앨범은 '세앵 앨범', '분리 불안 앨범' 등으로 불린다.
- 김종완은 평소 알던 전문의로부터 '분리 불안'(Separation Anxiety)에 대한 자문을 구하기 위해서 직접 정신과를 방문하였다.[1]
- 〈Separation Anxiety〉는 낙태에 관련된 곡이라는 의견이 있다. 후에 영화 외톨이의 OST로 삽입되었다.
- 〈Moonlight Punch Romance〉는 곡 작업을 끝낸 후에도 제목이 지어지지 않아 고민했던 곡이다. 제목에 '달빛'을 넣고 싶어 '달빛의 노래' 등의 여러 후보들을 두고 마땅한 것이 없어 고민하던 중 정재원이 장난으로 '달빛로망펀치'라고 외친 것을 김종완이 영어로 바꿔 제목을 지었다. 예쁜 멜로디와 달리 자살 노래이다. 동반자살 노래가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 〈기억을 걷는 시간〉은 넬이 SBS 인기가요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처음으로 공중파 음악 방송 차트에서 1위를 한 곡이다. 최대한 심플하게 녹음하고자 드럼도 작은 방에서 최소한의 마이크를 두고 녹음했다. 〈마음을 잃다〉, 〈Good Night〉 등이 일반 대중들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가게 해준 곡들이라면 이 곡은 SBS 인기가요뿐 아니라 다른 음악 방송 차트, 음원차트 등 에서도 모두 상위권에 랭크되어 일반 대중들에게서까지 사랑을 받은 곡이다. 그들이 1위를 하고 나서 김종완과 이정훈이 어이 없는 일이라고 했다. 이 앨범에서 이정훈이 가장 좋아하는 곡이자, 김종완이 동시에 멜로디와 가사를 쓴 곡이다.
- 〈Promise Me〉는 이 앨범에서 이재경이 가장 좋아하는 곡이다. 김종완이 멤버들을 생각하며 만든 곡이라는 소문이 있다.[출처 필요]
- 〈1:03〉은 곡 작업이 끝난 시간이 새벽 1시 3분이라 지어진 제목이다. 에픽하이의 곡 중 1:03이라는 제목의 곡이 있었으나, 그 곡이 수록된 앨범이 발매되기 전 넬의 앨범 트랙에 같은 제목이 있는 것을 보고 놀란 타블로가 '서울, 1:13 AM'으로 제목을 바꾼 에피소드가 있다. 이 앨범에서 정재원이 가장 좋아하는 곡들 중 하나이다.
- 〈Fisheye Lens〉는 기독교 성서에 나오는 소돔과 고모라에 관한 멸망을 풀어서 쓴 것이라 해석되고 있다. 어안렌즈가 실물을 실제보다 부풀리거나 왜곡해서 본다는 뜻으로, 다른 이들을 왜곡하거나 꼬아서 보는 사람들을 향한 곡이라는 소문도 있다.
- 〈Afterglow〉는 안락사 당하는 이에 관한 이야기라는 해석이 있다.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과 마지막까지 함께 있고 싶다는 가사와 함께, 드럼 소리가 심장 소리나 시계 초침 소리를 표현한 것 같다는 의견이 있다.
- 〈Tokyo〉는 김종완과 이정훈이 도쿄의 악기 매장에 갔다가 그 곳에서 즉석으로 만든 곡이다. 이 앨범에서 정재원이 가장 좋아하는 곡들 중 하나이다.
- 〈12 seconds〉는 자살 노래라는 해석이 많은 곡이며, 곡에서의 바람소리는 옥상 위의 바람소리, 곡 중간에 들리는 종이에 글을 쓰는 소리는 유서 쓰는 소리라는 의견이 많다. 제목에 대해서는 사람이 죽고 난 뒤 삶이 주마등처럼 스쳐지나가는 동안의 시간 혹은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이자 인류의 첫 비행시간 등 많은 해석이 있으나 정확한 것은 없다. 이 앨범에서 김종완이 가장 좋아하는 곡이다.
- 〈_〉(Under Bar, 언더 바)는 김종완이 가사가 현실적이고 직설적이라 굳이 제목을 지을 필요가 없을 것 같아 고민하다, 이정훈이 지은 제목이다. 가사가 잘 들리지 않도록 과도한 기계음을 이용해 목소리를 변형시켰고, 그런 이유로 앨범의 가사집에도 가사가 적혀있지 않다. 이스트소프트의 알송 내에 들어있는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2키를 낮춰들으면 김종완의 실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백워드 마스킹
백워드 마스킹(Backward Masking)이란 인위적으로 본래의 곡에 가사나 멜로디를 거꾸로 삽입하는 것이다.
- Separation Anxiety(02:47~03:10) : 높은 음으로 새로운 목소리와 불분명한 가사가 들린다.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