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WGS 위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WGS 위성은 미국 국방부와 호주 국방부가 공동으로 구축중인 군용 통신위성 시스템이다. Wideband Global SATCOM system이라고 부른다.

MQ-1 프레데터 무인기 등에 WGS SATCOM 송수신기를 탑재하여, 미국 본토에서 조종사가 조종하고, 지구 반대편에서도 작전할 수 있다.
현재 미군이 사용하는 SATCOM인 DSCS 위성과 GBS 위성을 대체한다. DSCS III 위성은 X 밴드를 사용하며, 1982년부터 2003년까지 발사되었으며 현재 14기가 사용중이다. GBS 위성은 Ka 밴드 통신위성이다.
WGS-1 위성은 무게 3.4톤에 35,900 km 고도의 정지궤도 위성으로, 2.4 Gbit/s의 광대역(wideband)이다. 14개의 DSCS III 위성 전체의 대역폭을 합친 광대역이다. DSCS III 위성 1개는 8.4 GHz(X 밴드) 6개 채널을 가졌다.
WGS-6까지 발사되었으며, 2016년 WGS-7, 2017년 WGS-8, 2018년 WGS-9가 발사될 계획이다. 보잉사는 최근 WGS-10의 주문을 미국 국방부로부터 받았다.
3기가 한 세트로 전 세계를 중계한다. 현재 6기가 발사되어 2개 세트가 구축되었다.
Remove ads
대한민국
미군의 Ka 밴드 정지궤도 군용통신위성은 2.4 Gbps 속도의 WGS인데 비해, 한국군의 Ka 밴드 정지궤도 군용통신위성은 536 Mbps 속도의 무궁화 5호이다.[1] 미국의 WGS는 3기가 지구를 둘러싸고 있어 전 세계 교신이 되지만, 한국의 무궁화 5호는 1기만 사용중이어서, 전 세계 교신은 불가능하고, 한반도 주변 6,000 km까지 교신이 가능하다.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