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YELLOW MAGIC ORCHESTRA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YELLOW MAGIC ORCHESTRA
Remove ads

YELLOW MAGIC ORCHESTRA》은 1978년에 발매한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의 첫 공식 정규 음반이다.

간략 정보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의 정규 음반, 발매일 ...
Remove ads

개요

당시 전성기 아케이드 게임 '서커스'와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음향을 모사한 'COMPUTER GAME', 영화 스타워즈에서 사막 가운데를 C-3POR2-D2가 걸어가는 모습의 'SIMOON'[1], 마크 데니의 원곡을 '외국인이 본 오해된 동양 인상'이라는 YMO 결성 당시 개념에 따라 조르조 모로더풍 디스코 버전으로 편곡한 'FIRECRACKER', 텔레비전에서 봤던 베이징 중앙 악단을 이미지로 문화 대혁명 이후 마오쩌둥 시에 작곡한 중국 레코드를 구입하여 한 곡을 참고한 '동풍'[2], 게이오 대학 불문과 출신의 알파 레코드 사장 비서가 프랑스어로 노래한 '중국 여자'[3], '미친 피에로', 호소노 하루오미 · 야마시타 다쓰로 · 스즈키 시게루의 기획 앨범 《Pacific》에 수록한 「COSMIC SURFIN'」의 YMO 버전이 포함되었다. 앨범 분위기상 맞지 않아 미수록된, '인도'라는 곡은 2000년 《Pre YMO》라는 명의로 발매된다.[4] 앨범 제작비는 당시 두 배에 해당하는 800만 엔이 들어갔다.[5]2003년 복각반은 사카모토 류이치, 다카하시 유키히로의 최신 'YMO 회고하는 인터뷰', 호소노 하루오미의 도시바반(1999년) 인터뷰도 실려 있다.[6]

미국판

1978년 12월 5일 기노쿠니야 홀에서 열린 '알파 퓨전 페스티벌'에 출연할 당시 그것을 본 A & M 프로듀서 토미 리푸마가 해외 발매를 즉결하고 이듬해 LA의 캐피틀 레코드에서 이 앨범의 리믹스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음질이 전반적으로 원만해진 인상이지만, 호소노는 일본판 믹스가 마음에 든다고 발언하였다.[7] 표지는 머리에서 코드가 난 선글라스 게이샤로 변경되어 "전선 게이샤"라는 별명이 있다.[8]

Remove ads

수록곡

원판

자세한 정보 #, 제목 ...
자세한 정보 #, 제목 ...

미국판

자세한 정보 #, 제목 ...
자세한 정보 #, 제목 ...
Remove ads

참여진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

  • 사카모토 류이치 - 키보드, 전자 악기, 타악기, 오케스트레이션
  • 다카하시 유키히로 - 드럼, 전자 드럼, 타악기, 보컬
  • 호소노 하루오미 - 베이스, 전자 악기, 키보드, 편곡

객원

  • 마쓰타케 히데키 - 마이크로 컴퓨터, 프로그래밍
  • 타이론 하시모토(하시모토 슌이치) - 보컬
  • 다카나카 마사요시 - 전기 기타
  • 누노이(에베) 도모코 - 프랑스어 음성 (섹시 보이스로 표시)

제작진

  • 요시자와 노리오 & 사이토 아쓰시 - 레코딩 엔지니어
  • 히카사 마사코 & 이쿠타 아키라 - 매니지먼트
  • 미야스미 슌스케 - 레코딩 코디네이터
  • 와키타 아이지로 - 디자인, 아트 디렉션
  • 하카마다 가즈오 - 일러스트레이션
  • 하리 호소노 - 프로듀서, 믹스 엔지니어
  • 무라이 구니히코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미국판 제작진

  • 요시다 미나코 - 보컬
  • 토미 리푸마 - 수퍼바이저
  • 알 슈미트 - 믹싱 엔지니어
  • 마이크 리스 - 마스터링 엔지니어
  • 롤랜드 영 - 아트 디렉터
  • 아미 나가사와 & 척 비슨- 디자인
  • 루 비치 - 앞 표지 아트
  • 스키타 마사요시 - 뒷 표지 아트

순위표

자세한 정보 연도, 차트 ...

주요 발매 역사

자세한 정보 연도, 판본 형태 ...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