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트솔트호(Great Salt Lake)는 로키산맥 중의 와사치 산맥 서쪽 기슭에 있는 호수이다. 분지(盆地)이기 때문에 흘러드는 강은 있어도 빠져나가는 강이 없으므로 염분(鹽分)이 22%나 되어 어류는 살지 못하고 사람의 몸도 가라앉지 않는다. 옛날에는 지금보다 수면이 30m 이상 높았고, 호수의 면적도 컸지만, 지금은 4,700km2이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염도가 높은 내륙호이다.[1] 사해와 같이 그레이트솔트호는 사막에 위치해 있는데, 물의 화학성분은 바닷물과 비슷하다. 바닷물과 다른 점은 염도인데, 강으로 유입되는 수량보다 증발량이 많기 때문에 염도가 높은 것이다.
간략 정보 나라, 지방 ...
| 그레이트솔트호 |
| Great Salt Lake |
| (지리 유형: 호수) |
5년 간의 가뭄 후의 2003년의 위성 사진 최저 수심 기록 갱신에 가까웠던 상태 |
| 나라 |
미국 |
| 지방 |
유타주 |
| 도시 |
솔트레이크시티 · 오그던 |
|
| 섬 |
앤털로프 섬 · 스탠스버리 섬 · 프리몬트 섬 등 8-15개 (변동적) |
|
| 위치 |
미국 유타주 |
| - 좌표 |
북위 41° 10′ 00″ 서경 112° 35′ 00″ |
|
| 유형 |
내륙호 · 염호 |
| 유입 |
베어강 · 조던강 · 웨버강 |
| 유출 |
없음(증발) |
|
| 길이 |
120 km (75 mi) |
| 너비 |
45 km (28 mi) |
| 고도 |
|
| - 평균 |
1,283 m (4,209 ft) 전체 이력 평균 |
| - 2006년 |
1,279 m (4,196 ft) 2006년 8월 24일 |
| 수심 |
|
| - 평균 |
10 m (33 ft) |
| - 최대 |
14 m (46 ft) 1987년 |
| - 최소 |
7.3 m (24 ft) 1963년 |
| 수량 |
18.92 km3 (668 kcu ft) |
| 면적 |
|
| - 표면 |
4,400 km2 (1,699 sq mi) |
| - 유역 |
55,685 km2 (21,500 sq mi) |
|
세계에서의 그레이트솔트호의 위치
미국에서의 그레이트솔트호의 위치
미국 유타주에서의 그레이트솔트호의 위치
|
|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