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기독교 신학의 역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기독교 신학의 역사는 성경에 대한 해석에서 파생된 역사이다. 원시기독교 이후에 기독교의 정체성에서 시작된 신학의 형성은 시대를 거듭하면서 철학과 수사학 그리고 논리학 등의 도움으로 오늘날의 형태의 기독교를 정립하게 되었다.
기독교의 신학의 역사
요약
관점
시대마다 신학은 세상의 문화 그리고 철학 사상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았고, 반대로 윤리와 문화 그리고 정치 등 많은 영역에 큰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고대 교회
그리스어 변증가들
제국 내에서 상대적으로 이질적인 집단으로 인식되었던 기독교인들에 대한 이교도들의 태도는 크게 둘로 구별할 수 있다. 하나는 주로 주민들의 편견과 증오로부터 비롯된 기독교 박해였고,[1] 다른 하나는 수사적인 저술을 통해 기독교인들의 범죄를 부풀렸던 유명 철학자들의 공격이었다.[2] 박해로부터 교회를 보호하기 위해 그리고 비난자들에 맞서기 위해 "변증"이 등장했다. 볼프-디터 하우실트에 따르면, 변증은 “기독교 종교의 진리를 증명하는 데 전념하는 특정 문학 장르”를 의미한다.[3] 특히 다음 저술가들이 대표적이다: 순교자 유스티누스, 타티아노스, 아테나고라스, 테오필로스, 테르툴리아누스. 유스티누스는 153년( 또는 그 직후)에 작성한 "안토니누스 피우스에게 보낸 기독교인들의 변호"("첫 번째 변호")에서 기독교인들에 대한 차별에 대한 행정적 개입을 요청하고 이교도들의 비난이 근거가 없음을 보여주려 했다.[4]
중세의 신학
중세기는 동방 교회의 약화로 인해 서방 교회가 주도하였다. 교회의 감독들이 스스로 교황으로 승격한 후에 교회를 제도적으로 조직화하여 계급적 교권을 만들었고, 세속권에 대한 지배를 확장시켜 교회를 세상의 제일 원리가 되게 했다. 이런 교권의 확장 가운데 가장 성공한 도시의 교회는 로마교회였다. 로마교회의 신학이란 교황의 권위에 의한 강권의 신학으로 그 핵심은 성례전(sacramentum)에 나타난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과 질료의 개념을 도입하여, 은혜의 주입 사상(gratia infusa)과 화체설(transubstantiatio)과 같은 중요한 로마 가톨릭 신학의 핵심 교리들을 만들어냈다. 신학의 철학화로 재생된 스콜라신학이 발생한 것이다.
종교 개혁시대의 신학
부패한 로마 가톨릭 신학을 개혁하려는 시도가 루터와 츠빙글리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개혁자들은 교황의 권위에 대항하여 오직 성경의 권위와 하나님의 은혜 그리고 오직 구원을 위하여 이신칭의를 주장하였다. 그리고 부처와 파렐 그리고 불링거와 칼뱅 같은 개혁자들은 성경적 종교개혁 사상을 후대에 전달해 주었다. 종교개혁의 반동으로 위기에 처한 로마 가톨릭교회는 트렌트 회의(The Council of Trent, 1545-1563)를 통하여 신학적, 교회적 결속을 다지게 되었다. 특별히 로마교회가 종교개혁자들의 성경관과 해석에 대한 반대로 결정한 것은 성경 해석의 권리는 개인에게 있지 않고 추기경이나 감독들에게 있다는 것이다. 성경은 이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권위 있는 자가 반드시 해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개혁자들은 성경의 명료성을(the clarity of Scripture) 강조하였다. 기독교의 구원 진리에 관해 성경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누구에게나 분명하다는 것이다. 이 성경의 명료성은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해야 한다”(Scriptura sui ipsius interpres)라는 종교개혁자들의 새로운 성경 해석 원리를 사용하도록 했다. 이런 점에서 칼빈은 성경의 명료성을 근거로 자신의 신학적 성경 해석 방법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칼뱅은 자신의 독창적인 성경 해석 방법으로 간결성과 용이성(brevitas et facilitas)의 방법을 사용하여 독자들이 성경을 이해하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개혁자들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잘못된 교리에 있어서는 하나였지만 중요한 신학적 해석의 차이를 보이기 시작했다. 그것이 바로 성만찬 해석에 관한 논쟁이었다. 루터와 츠빙글리가 마르부르크 회의(Marburg Colloquy, 1529)에서 갈라짐으로써 루터파는 공재설을, 츠빙글리는 기념설을 주장하였다. 앞서 두 견해의 중간에 위치한 칼뱅은 영적 임재설을 주장함으로써, 개혁자들은 일치를 보지 못했다. 개혁의 후예들은 지역과 나라, 언어와 문화, 신학적 차이를 따라 루터파, 개혁파, 재세례파로 구분되어 각자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었다. 이 기간을 특히 구개신교 정통주의 시대로 부른다. 이것이 성경 본문에 근거한 성경적 신학 탐구보다는 철학적 논리적 교리의 체계를 강화시켜 태동된 개신교 스콜라신학이었다. 바로 이때 지나친 교리로 인해 죽은 정통신학에 반기를 들었던 운동이 슈페너를 중심으로 한 경건주의였다. 이 운동은 딱딱한 교리보다는 실제적인 기독교의 삶을 강조하고 신앙의 실천을 강조하였다.
근대의 신학
르네상스의 열기는 식지 않고, 인간 이성의 중요성을 모든 면에서 인식시켜 주었다. 철학의 영향으로 지성인들은 신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인간의 이성과 자율성에 최고의 심판권을 부여하기 시작하게 되었다. 그 결과로서 이성의 역할을 강조한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성경은 인간의 이성과 체험에 의하여, 즉 인간의 인식 한계 안에서 역사적이며 비평적으로 비판을 받게 되었다.
Remove ads
참고 문헌
고대 교회와 동방 교회의 지속적인 발전
- Christoph Horn/Christoph Riedweg/Dietmar Wyrwa (Hg.): Philosophie der Kaiserzeit und der Spätantike (= Die Philosophie der Antike 5/1–3, in: Grundriss der Geschichte der Philosophie), Basel 2018.
- Alexander Brungs/Georgi Kapriev/Vilem Mudroch (Hg.): Byzanz. Judentum (= Die Philosophie des Mittelalters 1, in: Grundriss der Geschichte der Philosophie), Basel 2019.
중세
- Kurt Flasch: Das philosophische Denken im Mittelalter, Stuttgart 1986.
- Volker Leppin: Theologie im Mittelalter (= KGiE 11), Leipzig 2007.
- Laurent Cesalli/Ruedi Imbach/Alain de Libera/Thomas Ricklin (Hg.): 12. Jahrhundert (= Die Philosophie des Mittelalters 3/1f., in: Grundriss der Geschichte der Philosophie), Basel 2020/2021.
- Alexander Brungs/Vilem Mudroch/Peter Schulthess (Hg.): 13. Jahrhundert (= Die Philosophie des Mittelalters 4/1f., in: Grundriss der Geschichte der Philosophie), Basel 2017.
종교개혁
- Joachim Rogge: Anfänge der Reformation. Der junge Luther 1483–1521/Der junge Zwingli 1484–1523 (= KGiE II/3+4), Berlin 1983.
- Rudolf Mau: Evangelische Bewegung und frühe Reformation 1521–1532 (= KGiE II/5), Leipzig 2000.
- Hubert Kirchner: Reformationsgeschichte von 1532 bis 1555/1556. Festigung und Reformation/Calvin/Katholische Reform und Konzil von Trient (= KGiE II/6), Berlin 1987.
- Ernst Koch: Das konfessionelle Zeitalter – Katholizismus, Luthertum, Calvinismus (1563–1675) (= KGiE II/8), Leipzig 2000.
종교개혁에서 계몽주의까지
- Emanuel Hirsch: Geschichte der neuern evangelischen Theologie im Zusammenhang mit den allgemeinen Bewegungen des europäischen Denkers, Bd. 1–4, Gütersloh 1949.
- Karl Aner: Die Theologie der Lessingzeit, Halle 1929.
19세기
- Emanuel Hirsch: Geschichte der neuern evangelischen Theologie im Zusammenhang mit den allgemeinen Bewegungen des europäischen Denkers, Bd. 5, Gütersloh 1949.
- Eckhard Lessing: Geschichte der deutschsprachigen evangelischen Theologie von Albrecht Ritschl bis zur Gegenwart, Bd. 1: 1870–1918, Göttingen 2000.
- Jan Rohls: Protestantische Theologie der Neuzeit, Bd. 1: Die Voraussetzungen und das 19. Jahrhundert, Tübingen 1997.
20세기
- Eckhard Lessing: Geschichte der deutschsprachigen evangelischen Theologie von Albrecht Ritschl bis zur Gegenwart, Bd. 2: 1918–1945, Göttingen 2004; Bd. 3: 1945–1965, 2009.
- Jan Rohls: Protestantische Theologie der Neuzeit, Bd. 2: Das 20. Jahrhundert, Tübingen 1997.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