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나노 큐플러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나노 큐플러스
Remove ads

나노 큐플러스(NanoQplus)[1]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만든 센서 네트워크 노드용 초소형 운영체제이다. 나노 큐플러스는 손쉬운 응용 개발에 초점을 맞췄으며, 기본적인 C 문법을 알고 있다면 누구나 손쉽게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특징을 갖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2007년 9월 16일 나노 큐플러스 2.3 버전의 소스 코드를 일반에 공개하였다.[2]

간략 정보 개발자, 상태 ...
Remove ads

구성 및 특징

플랫폼

나노 큐플러스는 공개 버전으로 ATmega128MSP430 등 2 가지 프로세서를 지원한다. 비공개 버전(상용 버전)으로 TI의 CC2430, Radiopulse의 MG2455-F48, ARM 프로세서인 S3FN41F(ARM Cortex-M0), ARM-TDMS-S, 그리고 MC9S12XDP512 프로세서도 지원한다. 지원하는 대표적인 무선 센서 노드 플랫폼은 다음과 같다.

  • 휴인스의 UBee430[3]
  • 아이앤테크의 Kmote[4]
  • Moteiv의 Tmote-Sky[5]
  • 하이버스의 HMote2420[6]
  • MEMSIC의 MICAz[7]
  • 한백전자의 Zigbex[8], Ubi-msp430[9], Ubi-coin[10]
  • 옥타컴의 Nano24[11], OCX-Z[12]

커널

나노 큐플러스는 멀티 스레드를 지원하며, 우선순위 기반 선점형 라운드-로빈 방식의 스케줄러를 사용한다. 커널이 제공하는 주요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나노 큐플러스센서 네트워크 노드운영체제IEEE 802.15.4 기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CC2420 드라이버와 MAC 프로토콜 및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MAC 프로토콜

  • NanoMAC: 단일 홉 통신을 위한 간결한 MAC 프로토콜로 저전력을 위하여 IEEE 802.15.4 중 최소한의 필수 기능들만으로 구현되어 있음.

라우팅 프로토콜

인터넷 프로토콜

나노 큐플러스는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위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Remove ads

참조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