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부 (2017년~2021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제45대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이끌었던 미국의 행정부이다.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통령 후보가 승리하면서 2017년 1월 20일 정식 출범하였다.
행정부 구성원 명단
Remove ads
사법부
임기 중 닐 고서치, 브렛 캐버노, 에이미 코니 배럿, 커탄지 브라운 잭슨 등미국 연방 대법원의 4명의 종신 대법관을 임명하였다.
국내 문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하여 미국 내 사망자가 급증하였다.[1]
외교 문제
취임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다양한 방면에서 외교 활동을 진행하였다. 우선 파리 협정을 탈퇴하고, 유네스코에서 이스라엘과 동반으로 탈퇴하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우방국, 경쟁국 및 적국에 대해서 이를 적용할 것이라고 분명하게 밝혔다.[2] 이는 동맹국인 한국 내 주둔하고 있는 주한 미군 비용 증대 및 한미 자유 무역 협정 개정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미국 대통령 최초로 북한의 지도자인 김정은과 두 차례의 정상회담을 가졌다.[3] 또한 미국의 잠재적 경쟁 국가로 인식되어온 중국에 있어서도 통상 분야에서 압박을 가하였다. 미중 패권 경쟁에서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 보호무역주의에 기반하여 중국을 압박하기 시작하였다.[4][5][6]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제45대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이끌었던 미국의 행정부이다.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통령 후보가 승리하면서 2017년 1월 20일 정식 출범하였다.
Remove ads
행정부 구성원 명단
Remove ads
사법부
임기 중 닐 고서치, 브렛 캐버노, 에이미 코니 배럿, 커탄지 브라운 잭슨 등미국 연방 대법원의 4명의 종신 대법관을 임명하였다.
국내 문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하여 미국 내 사망자가 급증하였다.[7]
외교 문제
취임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다양한 방면에서 외교 활동을 진행하였다. 우선 파리 협정을 탈퇴하고, 유네스코에서 이스라엘과 동반으로 탈퇴하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우방국, 경쟁국 및 적국에 대해서 이를 적용할 것이라고 분명하게 밝혔다.[8] 이는 동맹국인 한국 내 주둔하고 있는 주한 미군 비용 증대 및 한미 자유 무역 협정 개정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미국 대통령 최초로 북한의 지도자인 김정은과 두 차례의 정상회담을 가졌다.[9] 또한 미국의 잠재적 경쟁 국가로 인식되어온 중국에 있어서도 통상 분야에서 압박을 가하였다. 미중 패권 경쟁에서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 보호무역주의에 기반하여 중국을 압박하기 시작하였다.[10][11][12]
성범죄 혐의
제프리 엡스타인
2025년 봄, 미국 법무장관 팸 본디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그의 이름이 제프리 엡스타인 관련 비공개 문서에 언급되었다고 알렸다. 이 보고는 FBI와 검찰이 2019년 사망한 에피스타인 사건을 재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디와 부장관 토드 블랑슈는 트럼프를 포함한 여러 고위 인사의 이름이 문서에 등장했다고 설명했지만, 추가 수사나 기소의 사안은 없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에피스타인과 1990년대 초부터 친구 사이였으며, 2000년대 초 불화로 관계가 소원해졌고, 이후 마러라고 클럽에서 그를 추방했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본디의 통보 사실을 트럼프는 공개적으로 부인했고, 관련 문서 일부는 민주당의 조작이라며 반박했다. 트럼프는 2024년 대선 때 에피스타인 관련 파일을 공개하겠다고 약속했으나, 2025년 7월 법무부와 FBI는 클라이언트 리스트는 존재하지 않으며 수사를 종결한다고 발표했고, 피해자 사생활 보호를 이유로 자료 공개를 거부하자 트럼프 지지층의 반발이 거세지며 정치적 내분으로 번지고 있다.[13]
갤러리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