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래부 순절도 (울산 유형문화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동래부 순절도 (울산 유형문화재)map
Remove ads

동래부 순절도(東萊府 殉節圖)는 울산광역시 남구 울산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그림이다. 2013년 8월 16일 울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30호로 지정되었다.[1]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Remove ads

개요

1592년(선조25년) 4월 15일 동래부사 송상현과 군민들이 왜군에 맞서 싸우다 순절한 사건을 묘사한 회화작품으로, 1834년 변곤의 작품이다.[1]

동래성에서 동래부 군사와 왜군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 경상좌병사 이각과 그 군졸이 도망가는 장면, 송상현 일행의 순절장면 등을 한 폭에 담고 있다.[1]

동래부순절도는 이 그림 외 1760년 변박작품(육군박물관소장, 보물 제392호), 송상현 종가 소장품(충북유형문화재 제223호, 작자미상)이 있다.[1]

다른 동래부순절도에는 보이지 않는 발리봉(鉢里峯), 농주산(弄珠山) 등의 지명이 함께 명기되어 있어 정보전달의 기능과 더불어 당시 유행하던 회화식지도의 영향 등을 추이해 볼 수 있다.[1]

전반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화면에 제작연대, 제작자 성명, 제작자의 직위 등의 적혀있어 가치가 매우 높으며, 서양적 색채의 등장, 회화식 지도의 영향, 초기 원근법의 사용, 궁중기록화적 요소 반영 등 19세기 회화의 특징이 보여지므로, 화화사적으로 매우 가치가 높다.[1]

Remove ads

각주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