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렘노스의 필로스트라토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렘노스의 필로스트라토스(고대 그리스어: Φιλόστρατος ὁ Λήμνιος, 서기 190년경 – 230년경)는 마찬가지로 렘노스 출신의 소 필로스트라토스와 구분 짓기 위해 대 필로스트라토스라고도 불린 인물로, 로마 제정 시대에 활동한 그리스의 소피스트이다. 그는 소피스트인 아테네의 필로스트라토스의 조카로 추정되며, 과거에 숙부가 쓴 것으로 알려졌던 책 두 의 저자로 인정받고 있다.
활동
'에이코네스'(Εἰκόνες, '형상' 혹은 '상상')는 겉보기에는 네아폴리스의 한 화랑에 전시된 64점의 그림을 묘사한 작품이다. 괴테, 벨커, 브룬, E. 베르트랑, 헬비히 등은 이 묘사들이 실제로 존재했던 예술 작품들을 설명한 것이라고 보았으나, 하이네와 프리데릭스는 이를 부정한다. 어찌 되었든 이 작품은 고대 예술가들이 신화적 주제나 기타 소재를 어떤 방식으로 다루었는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로우며, 예술적 식견과 세련된 문체로 쓰였다. '에이코네스'의 2편은 그의 손자에 의해 집필되었다.
소 필로스트라토스는 분명히 '에이코네스' 2편의 저자이며, 서문에서 제1편을 쓴 대 필로스트라토스에게 감사를 표했기에[1] 이 작품은 과거 아테네의 필스트라토스의 것으로 여겨졌으나, 결국 필스트라토스의 저서로 밝혀졌다.
'헤로이코스' 또는 '영웅들에 대해'는 트로이 전쟁의 영웅들에 대해 쓴 평론이다. 헬레스폰토스 해안에서 트라키아인 포도밭 관리원 그리고 영웅 프로테실라오스로부터 전해들었다고 하는 페니키아인 상인 사이의 대화 형식으로 쓰여 있으며, 팔라메데스는 오디세우스를 폄하하는 방식으로 찬양되고, 호메로스가 그에게 불공평하게 대했다는 점이 비판된다. 필로스트라토스가 이 부분에서 율리아 돔나의 궁전에 있던 일련의 영웅화(英雄畵)들을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견해가 제기된 바 있다.
'헤로이코스'는 전통적으로 아테네의 필로스트라토스의 작품으로 여겨졌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렘노스의 필로스트라토스의 것으로 보는 견해이다.
Remove ads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