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매직 머시룸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매직 머시룸스(영어: The Magic Mushrooms)는 1960년대에 활동하던 미국의 사이키델릭 개러지 록 밴드이다. 필라델피아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다섯 명의 학생이 결성하였다. 멤버로는
- 조 라카베라 (드럼)
- 스튜 프리먼 (보컬, 기타)
- 테드 카힐 (리드 기타, 오토하프) (본명 에드워드 나비에 카힐; 1947년 9월 19일 ~ 2020년 3월 16일)[1]
- 딕 리처드슨 (키보드)
- 찰스 잉게르솔 (베이스)
매직 머시룸은 1학년이 시작된지 얼마 되지 않아 함께 모여 연습을 시작하였다. 매직 머시룸이라는 이름은 앨런 긴즈버그가 1965년 가을 강의를 위해 대학교에 방문했을 때 붙인 것이다.[2] 1966년 봄, 밴드는 보컬, 플루트, 하모니카를 연주하던 펜 캠퍼스의 경쟁 밴드 조시 라이스를 합류시켰다. 그로부터 2달에서 3달이 지난 후 조시가 왔을 때 딕과 찰스는 밴드를 떠났으며, 자리는 각각 밥 그래디와 크리스 바비에리로 대체됐다.
밴드는 나중에 가을에 드렉셀 대학교에서 연주할 당시 소니 카셀라의 귀에 들어갔으며, 카셀라는 밴드와 계약하였다. 매직 머시룸스는 1966년 봄까지 필라델피아 지역에서 공연을 진행했고, 대부분은 새 매니저가 만들어낸 것이었다.
밴드의 첫 싱글인 〈It's A-Happening〉은 1966년 9월에 발매되어 빌보드 핫 100 93위에 이름을 올렸으며,[3] 11월의 딱 한 주만 진입했다.[4] 이후 1972년 《Nuggets》 컴필레이션에 수록됐다.[5]
〈It's A-Happening〉은 스튜 프리먼과 조시 라이스가 썼다. 소니 카셀라가 프로듀싱과 편곡, 믹싱을 맡았다. A&M 레코드의 허브 앨퍼트가 매직 머시룸스의 의미를 알게 되었고, 밴드가 이름을 바꾸려고 하지 않자 음반을 시장에 내놓지 않았다.[6]
샌디에고에서는 오직 하나의 싱글 〈I'm Gone〉(B 사이드 〈Cry Baby〉)를 발매한 동명의 사이키델릭 개러지 밴드 매직 머시룸(영어: The Magic Mushroom)이 존재했다.
Remove ads
디스코그래피
- It's A-Happening b/w Never More (1966)
- Look In My Face b/w Never Let Go (1967)
- Municipal Water Maintenance Man b/w Let The Rain Be Me (1968)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