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무어 공간 (대수적 위상수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무어 공간(Moore space)과 피터슨 공간(Peterson space)은 특정 차수를 제외한 호몰로지 군(코호몰로지 군)이 모두 자명군인 위상 공간이다. 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군에 대한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과 비슷한 개념이다.
정의
요약
관점
아벨 군 와 양의 정수 에 대하여 무어 공간 은 다음과 같은 축소 호몰로지 군을 갖는 위상 공간이다.
아벨 군 와 양의 정수 에 대하여 피터슨 공간 은 다음과 같은 축소 코호몰로지 군을 갖는 위상 공간이다.
문헌에 따라 양쪽 모두 단순 연결 공간이라는 조건이 더 붙기도 한다.
Remove ads
성질
존재성
가 유한 생성 아벨 군일 경우 무어 공간 은 항상 만들 수 있다.[1]:Example 2.40
피터슨 공간은 모든 에 대해서 항상 존재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만약 가 유한 생성 아벨 군이며 라면 피터슨 공간 은 항상 존재하며, 추가로 이라면 그 호모토피 유형은 에 의하여 유일하게 결정된다.[2]:§6
Remove ads
예
역사
무어 공간은 1954년 존 콜먼 무어가 언급하였다.[3]:550 1956년 프랭클린 폴 피터슨은 계수가 있는 코호모토피 군을 연구하기 위해 무어 공간을 이용했다.[4]:262
같이 보기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