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문경 대승사 묘적암 나옹화상 영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문경 대승사 묘적암 나옹화상 영정map
Remove ads

문경 대승사 묘적암 나옹화상영정(聞慶 大乘寺 妙寂庵 懶翁和尙影幀)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대승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나옹화상 영정이다. 2008년 11월 3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408호로 지정되었다.[1]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Remove ads

개요

이 불화의 주인공인 나옹화상(1320~1376)은 고려 말의 고승으로 보우(普愚)와 함께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운 위대한 고승으로 평가받고 있다. 묘적암은 그가 21세 때 출가하여 수행한 사찰이며, 조선 후기까지 불교의 성지로 부각되었다.[1]

대승사 묘적암에 모셔진 이 나옹화상 영정은 화기(畵記)를 통해 1803년에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화면에는 가사 장삼을 입은 나옹화상이 주장자를 들고 염주를 잡은 채 측면향으로 가부좌하고 있다. 고승 뒤로 용(龍) 장식이 화려한 불자(拂子)가 세워져 있으며, 바닥과 벽면이 구분되어 있다. 화면 왼쪽 위에는 주인공의 존호를 밝힌 영제(影題)가 적혀있고 맨 아래에 제작연대와 제작자를 밝힌 화기(畵記)가 있다. 왼쪽 어깨의 커다란 가사 고리가 금(金)으로 장식되어 있는 등 비교적 많은 양의 금(金)을 사용하고 있다. 이 불화는 제작연대를 알 수 있어 나옹화상 영정 연구에 기준작이 되는 중요한 자료라고 판단되므로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로 지정한다.[1]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