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위의
교환 행렬은 다음과 같다.


체
위의
정사각 행렬
의 부전치(副轉置, 영어: secondary transpose)는
이다. 여기서
은 전치 행렬이다. 이는
을 부대각선에 대하여 전치한 것과 같다. 즉, 각
에 대하여

이다.
부전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행렬의 종류들을 정의할 수 있다.
- 만약
라면,
을 부대칭 행렬이라고 한다.[1][2]
- 만약
이 대칭 행렬이면서 부대칭 행렬이라면,
을 쌍대칭 행렬(雙對稱行列, 영어: bisymmetric matrix)이라고 한다.[2]
- 만약
라면,
을 부반대칭 행렬(反副對稱行列, 영어: secondary skew-symmetric matrix, per-antisymmetric matrix)이라고 한다.[2]
- 만약
라면,
을 부직교 행렬(副直交行列, 영어: secondary orthogonal matrix)이라고 한다.
2차 자기 동형
을 갖는 체
위의
정사각 행렬
의 부켤레 전치(副-轉置, 영어: secondary conjugate transpose)는
이다. 여기서
는 켤레 전치이다. 이는
을 부대각선에 대하여 켤레 전치한 것과 같다. 즉, 각
에 대하여

이다.
부켤레 전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행렬의 종류들을 정의할 수 있다.
- 만약
라면,
을 부에르미트 행렬(副-行列, 영어: secondary Hermitian matrix, per-Hermitian matrix)이라고 한다.[2]
- 만약
라면,
을 부반에르미트 행렬(副-行列, 영어: secondary skew-Hermitian matrix)이라고 한다.
- 만약
라면,
을 부유니터리 행렬(副-行列, 영어: secondary Unitary matrix)이라고 한다.
- 만약
라면,
을 부정규 행렬(副正規行列, 영어: secondary normal matrix)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