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신안 주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신안 주씨(新安 朱氏)는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 황산 시의 일대의 옛 지명인 신안군(新安郡)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간략 정보 나라, 관향 ...

유래

요약
관점

신안주씨(新安朱氏)의 동국시조(東國始祖)인 주잠(朱潛)은 남송 시대의 유학자 주희의 증손자가 되는 이인데, 남송 휘주(徽州) 출신으로, 몽골 제국의 침략을 피해 아들 주여경(朱餘慶)과 제자를 데리고 바다를 건너 고려로 망명해 금성에 정착하였다.[1]

이후 후손들이 각지로 이주하여 능주(綾州), 전주(全州), 웅천(熊川) 등 87개에 이르는 다른 본관을 칭하였으나, 1902년 원수부 기록국 총장 주석면의 상소로 본관을 신안(新安)으로 고쳤다. 그러므로 현재 주씨(朱氏)는 신안주씨(新安朱氏) 단본(單本)이다.[1]

신안 주씨는 주자[주희]를 시조로 한 1본관(本貫) 1족성(族姓)의 혈족(血族)이다. 한국 시조[동국 시조]인 주잠의 자(字)는 경도(景陶), 호(號)는 청계(淸溪)이다. 주잠은 중국 남송(南宋)의 유명한 유학자인 주희(朱熹)의 증손(曾孫)이다. 주잠은 남송이 원나라에 패망하자 1224년에 고려로 망명을 한다. 망명 후 고려왕의 벼슬을 거부하고 재야 사림(在野士林)으로 청절(淸節)한 기풍(氣風)을 지켰다. 그 뒤 후손들이 벼슬길에 나가면서 근 700여 년 동안 세거지를 따라 관향(貫鄕)을 사용함으로써 능주(綾州), 나주(羅州), 전주(全州), 웅천(熊川), 함흥(咸興) 등의 여러 세거지 본관(本貫)을 사용해오다가 1902년(고종 39)에 종중의 합의로 의정부 찬정(議政府 贊政)인 월산(月山) 주석면(朱錫冕)이 대표가 되어 고종에게 상소하여 왕의 조서(詔書)가 내려짐으로써 신안(新安)을 본관으로 통일하게 되었다. 통일된 본관인 신안은 중국의 옛날 지명으로 하남성(河南城) 신안면(新安面)이다. 현재의 지도에는 강서성(江西城) 무원(婺源)으로 표시되어 있다.

주잠의 아들 주여경(朱餘慶)[5세]은 고려 고종 때 은사과에 올랐고, 주여경의 아들 주열(朱悅)[6세]도 문과에 올랐다. 특기할 점은 주열은 천성이 활달하고 관직이 높아도 검소하였다. 문장에도 능하고 글씨도 뛰어나 원종의 신임이 매우 두터웠다. 원종 때 병부랑중(兵部郞中)으로서 충청·경상·전라 안렴사로 나가 크게 치적을 올렸으며, 충렬왕 때는 1품직인 지도첨의부사(知都僉議府事)에 이르렀고 능성군(綾城君)에 봉해졌다. 주열이 충렬왕 2년에 정조사(正朝使)로 원나라에 파견되었는데 원나라에서 요구한 공녀 2,000명과 일본 공략에 대비한 선박 공출을 철회시킨 일이 있다. 이것은 원사(元史)에도 기록되어 있다.

문정공 주열에게는 고위 관직에 오른 주인장(朱印章)[정숙공, 예부 상서], 주인원(朱印遠)[문간공, 병부 상서], 주인환(朱印還)[첨의부사공, 첨의 부사] 등 아들 3형제가 있었다. 조선조에 들어서면서 주인장과 주인원의 후손들은 이성계가 개국을 하자 새 왕조에의 충성을 거부했다. 이 때문에 조정으로부터 박해를 받았고 조선조의 벼슬길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막내인 주인환은 일찍이 이성계의 고조부 목조(穆祖)와 함께 전주(全州)에서 함경도로 옮겨 살게 되면서 인연을 맺어 그의 아들 주단(朱端)은 이성계의 왕고모부가 되었다. 서울로 도읍을 옮겼을 때 주단은 검교 한성윤(檢校漢城尹)을 지내는 등 이성계의 오른팔 노릇을 했으나 태종 이방원의 등극으로 시련을 겪었다. 주인(朱印)은 태조 이성계가 함흥(咸興)으로 갈 때 조정을 떠나 동행했다.

신안 주씨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본을 숨겨야 하고 벼슬길에 나가지 못할 만큼 핍박을 받았음에도 임진왜란 등의 국난에서는 의병을 일으켜 선봉에서 왜적과 싸웠고, 구한말에는 주석환(朱錫煥) 등의 독립투사도 많이 배출하였다. 주기철(朱基徹)은 웅천(熊川)[창원시 진해구 소재]에서 남학회(南學會)를 조직하여 애국 사상을 고취하고 3·1 만세 운동 때 시위를 주동한 뒤에 뜻한 바 있어 목사가 되었다. 예수 장로회 목사로 평양 산정현(平壤山亭峴) 교회에서 신앙 구국의 일념으로 헌신하였다. 일제 강점기 말에는 신사 참배를 끝까지 거부하여 10년 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에 순교하였다.

Remove ads

관향의 연혁

신안(新安)은 중국 중앙부, 양자강 하류 및 회하 유역의 안휘성 휘주부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항렬자

  • 대동항렬(중시조로 1세)
자세한 정보 31세, 32세 ...

인물

주 열 : 고려, 호 죽수, 시호 문절공, 지도첨의부사.

주인장 : 고려, 호 도곡,시호 정숙공, 예부상서.

주인원 : 고려, 시호 문간공, 병부상서.

주인환 : 고려, 첨의부사.

주 의 : 고려, 시호 헌정공, 이부상서, 부마.

주 간 : 고려, 시호 문정공, 이부상서.

주홍득 : 고려, 시호 충렬공, 홍문관 교리.

주사충 : 고려, 시호 문충공, 밀직부사.

주 부 : 고려, 시호 문숙공, 예부시랑.

주순정 : 고려, 시호 장경공, 호주상서.

주자정 : 조선, 좌찬성.

주원부 : 조선, 시호 충무공, 영중추원사.

주추학 : 조선, 호 죽제, 이조참의.

주몽룡 : 조선, 금산군수.

주남로 : 조선, 실학자.

주택정 : 조선, 병조정랑.

주형정 : 조선, 별제.

주항도 : 조선, 부총관.

주의식 : 조선, 현감.

주필웅 : 조선, 판결사.

Remove ads

과거 급제자

신안 주씨는 조선조에서 문과 급제자 31명을 배출하였다.

고려 문과

주열(朱悅)

문과

주만리(朱萬离) 주인강(朱寅降) 주항도(朱恒道) 주계정(朱繼禎) 주선림(朱善林) 주격(朱格) 주경환(朱景煥) 주기(朱杞) 주낙규(朱洛珪) 주남길(朱南吉) 주대축(朱大畜) 주명상(朱明相) 주목(朱楘) 주영섬(朱榮暹) 주욱환(朱昱煥) 주재빈(朱在賓) 주정(朱椗) 주종훈(朱宗壎) 주중순(朱重純) 주양우(朱良佑) 주중옹(朱重翁) 주진민(朱鎭民) 주진정(朱震楨) 주택정(朱宅正) 주필상(朱弼相) 주형리(朱炯离) 주형질(朱炯質) 주덕원(朱德元) 주소(朱邵) 주문익(朱文翊) 주의(朱懿)

무과

주갑생(朱甲生) 주경선(朱擎善) 주계창(朱繼昌) 주대청(朱大淸) 주덕해(朱德海) 주도창(朱道昌) 주봉우(朱鳳羽) 주서도(朱瑞道) 주선월(朱善月) 주세정(朱世廷) 주윤점(朱潤點) 주응허(朱應虛) 주즙(朱濈) 주처정(朱處正) 주경순(朱景順) 주경채(朱璟采) 주광순(朱光順) 주광하(朱光夏) 주명리(朱明离) 주성변(朱成釆) 주익로(朱益魯) 주일삼(朱日三) 주창국(朱昌國) 주철수(朱喆洙) 주응립(朱應立) 주응정(朱應貞) 주몽룡(朱夢龍) 주후재(朱厚載)

생원시

주남규(朱南奎) 주담(朱澹) 주명선(朱命先) 주명준(朱命濬) 주엽(朱曄) 주윤호(朱潤鎬) 주창건(朱昌鍵) 주경정(朱烱正) 주경준(朱景俊) 주경환(朱景煥) 주남익(朱南翼) 주도정(朱道正) 주도흠(朱道欽) 주명상(朱明相) 주세봉(朱世鳳) 주여명(朱汝明) 주여삼(朱汝參) 주여정(朱汝井) 주영렬(朱榮烈) 주윤리(朱允离) 주정(朱椗) 주중순(朱重純) 주진억(朱鎭億) 주진혁(朱鎭赫) 주처정(朱處正) 주철훈(朱哲勳) 주태하(朱泰夏) 주항선(朱恒善) 주형리(朱炯离)

진사시

주건하(朱建夏) 주기용(朱基瑢) 주성진(朱星鎭) 주식(朱埴) 주원(朱源) 주윤호(朱潤鎬) 주인강(朱寅降) 주재규(朱在圭) 주종도(朱宗道) 주학종(朱學宗) 주헌남(朱憲南) 주형욱(朱衡旭) 주계(朱棨) 주기(朱杞) 주면환(朱冕煥) 주명일(朱命一) 주명집(朱命集) 주봉섭(朱鳳燮) 주양섭(朱亮燮) 주여익(朱汝翼) 주운한(朱雲漢) 주일환(朱日煥) 주정(朱椗) 주정섭(朱禎燮) 주중록(朱重祿) 주중순(朱重純) 주태현(朱泰炫) 주택하(朱宅夏) 주형구(朱炯龜) 주형리(朱炯离) 주형원(朱炯遠)

율과

주천록(朱天祿)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