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르놀트 뵈클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르놀트 뵈클린
Remove ads

아르놀트 뵈클린(Arnold Böcklin, 1827년 10월 16일~1901년 1월 16일)은 스위스 상징주의 화가였다. 그의 다섯 가지 죽음의 섬 버전은 여러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간략 정보 아르놀트 뵈클린Arnold Böcklin, 신상정보 ...
Remove ads

생애

아르놀트 뵈클린은 바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뵈클린(1802년 출생)은 샤프하우젠의 유서 깊은 가문 출신으로 비단 무역에 종사했다. 그의 어머니 우르술라 리페는 같은 도시 출신이었다.[1] 아르놀트는 뒤셀도르프 아카데미에서 시르머에게 그림을 배웠으며,[1] 안젤름 포이어바흐의 친구가 되었다. 그는 뒤셀도르프 화파와 관련이 깊다. 그에게서 비범한 재능을 알아본 시르머는 그를 안트베르펜브뤼셀로 보내 플랑드르네덜란드 거장들의 작품을 모사하게 했다. 그후 뵈클린은 파리로 가서 루브르 박물관에서 일하며 여러 풍경화를 그렸다.[1]

군 복무를 마친 후, 뵈클린은 1850년 3월 로마로 향했다. 로마의 많은 풍경은 그의 마음에 신선한 자극이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영향으로 그의 작품에는 우의적이고 신화적인 묘사로 나타났다. 1856년 그는 뮌헨으로 돌아와 4년 동안 그곳에 머물렀다.

그의 첫 약혼녀는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두 번째 여인은 결혼을 거절했다. 로마에서 그는 1853년에 안젤라 로사 로렌자 파스쿠치와 결혼했다. 부부는 열네 명의 자녀를 두었지만, 다섯 명은 어린 시절에 사망했고 다른 세 명은 뵈클린보다 먼저 사망했다. 그 자신도 1859년 장티푸스로 거의 사망할 뻔했다.[2]

Remove ads

경력

Thumb
안젤리카를 구하는 로제, 1873

그는 고대 신화를 다룬 초기 작품 중 하나인 <대공원(Great Park)>을 전시했다. 이 시기의 작품으로는 1858년의 <님프와 사티로스>, <영웅적 풍경>과 사포(1859)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은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렌바흐의 추천으로 바이마르 아카데미의 교수로 임명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2년 동안 재직하면서 <비너스와 사랑>, <렌바흐의 초상화>, <성 캐서린> 등의 작품을 남겻다.[1]

그는 1862년에 로마로 돌아와 1866년까지 <마담 뵈클린의 초상화>와 <황야의 은둔자>(1863), <로마 선술집>, <해변의 빌라>(1864) 등의 작품에서 환상과 강렬한 색채에 대한 취향을 마음껏 펼쳤다.

뵈클린은 1866년에 바젤로 돌아와 갤러리의 프레스코화를 완성하고, 여러 초상화 외에 <그리스도와 함께 있는 막달레나>(1868), <아나크레온의 뮤즈>(1869), <성과 전사들>(1871) 등을 그렸다.

<죽음이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자화상>(1872)은 뮌헨으로 다시 돌아온 후 제작한 작품으로, 그는 그곳에서 <켄타우로스의 전투>, <무어 기병이 있는 풍경>, <농장>(1875) 등의 작품을 전시했다.

1876년부터 1885년까지 뵈클린은 피렌체에서 작업하며 <피에타>, <율리시스와 칼립소>, <프로메테우스>, <신성한 숲> 등을 그렸다.[1]

1886년부터 그는 취리히에 정착했고, 그 후 피렌체 근처에 있는 산 도메니코 수도원에 거주했다.[1] 이 시기의 작품으로는 <노는 나이아스>, <바다 목가>, <전쟁> 등이 있다.

Thumb
아르놀트 뵈클린의 무덤, 알로리 묘지, 이탈리아 피렌체

뵈클린은 1901년 1월 16일 피에솔레에서 사망했다. 그는 이탈리아 피렌체 남부 교외의 알로리 묘지에 묻혔다.

Remove ads

상징주의

Thumb
해변의 빌라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은 뵈클린의 상징주의적는 신화와 전설에서 파생된 이미지 를 많이 사용했는데, 이는 라파엘 전파의 미학과 겹치는 부분이 있다. 그는 고전 세계를 뛰어난 상상력으로 해석하거나,[3] 기묘한 판타지 세계를 배경으로 고전 건축이 등장하는 신화적 주제를 묘사하며, 죽음과 필멸성을 우의적으로 탐구하는 작품이 많다.

뵈클린은 특히 1880년에서 1886년 사이에 그린 다섯 가지 버전의 죽음의 섬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그림은 그의 스튜디오 근처에 있었으며, 그의 어린 딸 마리아가 묻혔던 "피렌체 영국인 묘지"를 연상시키는 면이 있다. 첫 버전은 꿈같은 분위기의 그림을 원했던 미망인 베르나 부인의 의뢰로 그려졌다.[4]

1947년 클레멘트 그린버그는, 뵈클린의 죽음의 섬이 "19세기 후반에 대해 싫어하는 모든 것을 가장 완벽하게 표현한 것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5]

영향

요약
관점
Thumb
죽음의 섬 (Die Toteninsel): 세 번째 버전, 1883년. 구 국립미술관, 베를린.
Thumb
생명의 섬 (Die Lebensinsel), 1888년. 바젤 시립 미술관, 바젤.

뵈클린은 생전에 특히 중앙유럽에서 상당히 높게 인정 받았으며 한스 토마와 같은 젊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6] 하지만 1901년 그가 사망한 이후, 그의 작품의 특성이 구식으로 치부디면서 명성이 급격히 하락했다.[6]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은 조르조 데 키리코[7]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 그는 "뵈클린의 모든 작품은 충격이다"라고 말했다[3]막스 에른스트살바도르 달리와 같은 초현실주의 화가들에게도 찬사를 받았다. 하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야 뵈클린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부활하기 시작했다.[6]

마르셀 뒤샹은 가장 좋아하는 화가가 누구냐는 질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아르놀트 뵈클린이 자신의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다. 뒤샹이 이 주장을 진지하게 했는지 여부는 여전히 논쟁 중이다.

H. R. 기거는 죽음의 섬을 바탕으로 한 <뵈클린에 대한 오마주>(Homage à Böcklin)이라는 그림을 만들었다.[8][9]

뵈클린의 여러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미술관으로는 바젤 시립 미술관취리히 미술관이 있다.

음악에 미친 영향

뵈클린의 그림, 특히 죽음의 섬은 여러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구스타프 말러의 가곡집 어린이의 이상한 뿔피리에 수록된 "파도바의 안토니우스의 물고기 설교"(Des Antonius von Padua Fischpredigt)는 뵈클린의 1892년 그림 "물고기에게 설교하는 성 안토니우스"에서 영감을 받았다. 또한 말러교향곡 2번 (말러)의 스케르초 악장에도 영감을 미쳤다.
  • 1891년, 포르투갈 피아니스트 조제 비아나 다 모타는 뵈클린의 그림 "바다의 목가"(Meeresidylle)와 "파도의 유희"(Im Spiel der Wellen)를 바탕으로 두 곡을 작곡했다.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하인리히 슐츠-보이텐은 모두 죽음의 섬를 바탕으로 교향시를 작곡했다. 라흐마니노프는 또한 그의 전주곡 B단조, Op. 32, 10번을 작곡할 때 뵈클린의 그림 "귀향"(Die Heimkehr 또는 The Return)에서 영감을 받았다.[10][11]
  • 스웨덴 낭만주의 작곡가 안드레아스 할렌은 1898년에 교향시 "죽음의 섬"(Die Toteninsel)을 작곡했다.
  • 1903년, 오스트리아 태생의 미국 작곡가 칼 바이글은 피아노를 위한 교향시 "죽음의 섬"(Die Toteninsel)을 작곡했다.
  • 1913년 막스 레거는 "바이올린을 켜는 은둔자"(Der geigende Eremit), "파도의 유희"(Im Spiel der Wellen), "죽음의 섬"(Die Toteninsel), "바쿠스 축제"(Bacchanal) 악장으로 구성된 뵈클린의 네 개의 교향시를 작곡했다.
  • 마크 롭슨 감독의 영화 죽음의 섬 (1945)에서 디즈니 작곡가 리 할라인의 우울한 음악은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을 사용한다.
  • 한스 후버의 두 번째 교향곡은 화가와 그의 그림을 따서 "뵈클린 교향곡"(Böcklin-Sinfonie)이라고 불린다.
  • 펠릭스 보이르슈는 3개의 뵈클린 판타지(Die Toteninsel, Der Eremit, Im Spiel der Wellen), Op. 53 (1910)을 작곡했다.
  • 풀비오 칼디니는 전자 악기를 위한 그의 Op.85 "뵈클린의 섬"(L'isola di Böcklin)을 작곡했다(2001).

기타

슈리프트기세라이 오토 바이저트 주조소는 1904년에 아르누보 글꼴을 디자인하고 그를 기리기 위해 "아르놀트 뵈클린" 글꼴이라고 명명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뵈클린의 작품을 좋아했으며 한때 그의 그림 11점을 소유했다.[12]

로저 젤라즈니의 소설 죽음의 섬에는 그림에서 영감을 받아 자신의 세계 중 하나에 죽음의 섬을 만드는 행성 건설 캐릭터가 등장하며, [딘 엘리스]]이 그린 에이스 북스 판의 표지 그림은 뵈클린의 작품을 연상시킨다.[13]

소련 과학 아카데미의 학자였던 예멜리안 야로슬라프스키는 1942년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교향곡 7번에 대한 찬사 기사를 뵈클린의 그림 "전쟁"에 대한 암시로 시작했다.[14]

Remove ads

작품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