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욕계 작용만 하는 마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욕계 작용만 하는 마음(팔리어: kāmāvacara-kriyācittāni 까-마-와짜라 끼리야- 찟따-니, 영어: sense-sphere functional consciousness) 또는 큰 작용만 하는 마음(팔리어: mahākiriya 마하-끼리야, 영어: great functional cittas)은 특히 상좌부의 교학과 아비담마 그리고 수행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붓다를 포함한 아라한만이 가지는 무탐 · 무진 · 무치의 3선근과 함께하는 다음 8가지 욕계에서의 마음을 말한다.[1] 아라한의 마음은 오직 진여의 무분별지를 발현하여 작용할 뿐 그 작용이 끝나고 나면 곧바로 소멸하여 후유를 낳을 어떠한 단서 즉 어떠한 집착 또는 욕망도 남기지 않기 때문에 오직 선한(유익한) 작용만 할 뿐 선업도 쌓지 않아 후유를 낳지 않는다.[2][3]
- 기쁨이 함께한, 지혜와 결합한, 자극받지 않은 마음
- 기쁨이 함께한, 지혜와 결합한, 자극받은 마음
- 기쁨이 함께한, 지혜와 결합하지 않은, 자극받지 않은 마음
- 기쁨이 함께한, 지혜와 결합하지 않은, 자극받은 마음
- 평온이 함께한, 지혜와 결합한, 자극받지 않은 마음
- 평온이 함께한, 지혜와 결합한, 자극받은 마음
- 평온이 함께한, 지혜와 결합하지 않은, 자극받지 않은 마음
- 평온이 함께한, 지혜와 결합하지 않은, 자극받은 마음
위의 8가지 마음에 공통된 지혜 즉 반야는 기본적으로 인과 즉 업과 업의 과보의 법칙 즉 연기법을 아는 것 또는 믿는 것을 말하는데,[4][5][6][7] 붓다를 포함한 아라한의 경우 제법의 고 · 무상 · 무아 즉 공을 철견한 것으로서의 반야를 말한다.
욕계 작용만 하는 마음은 다음의 분류 또는 체계에 속한다.
- 작용만 하는 마음 20가지
- 욕계 마음의 원인 없는 마음 중 원인 없는 작용만 하는 마음 3가지 一 누적 3가지
- 욕계 마음의 욕계의 아름다운 마음 중 욕계 작용만 하는 마음 8가지 一 누적 11가지
- 색계 마음의 색계 작용만 하는 마음 5가지 一 누적 16가지
- 무색계 마음의 무색계 작용만 하는 마음 4가지 一 누적 20가지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