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울산 남구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울산 남구의 행정 구역은 19개의 법정동과 그것을 관리하는 1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울산 남구의 면적은 72.69km2이며, 인구는 2013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130,945세대, 354,080명이다.[1]
행정 구역
Remove ads
법정동
Remove ads
연혁
요약
관점

구 설치 이전
신라시대에는 굴아화현의 일부였다. 굴아화현은 757년에 하곡현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에 우풍현, 동진현과 통폐합하여 흥례부가 되었다. 흥례부는 995년에 공화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018년에 다시 울주로 승격하고, 1413년에 울산군이 되었다. 울산에 면이 설치되면서 남구 지역은 대대면(大垈面)이 되었다. 내대면(內大面)과 외대면(外大面)으로 분리되었다가 궁현면(弓峴面)으로 다시 합쳤고, 후에 대현면(大峴面)이 되었다. 고종 31년(1894년)에 여천천을 경계로 내현면(內峴面)과 외현면(外峴面)으로 분리되었고, 1911년에 외현면이 현북면(峴北面)과 현남면(峴南面)으로 분리되었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1917년 10월 1일 : 부내면을 울산면(蔚山面)으로 개칭하였다.
- 1931년 11월 1일 : 울산면이 울산읍(蔚山邑)으로 승격하였다.
- 1945년 4월 1일 : 대현면을 울산읍에 편입하여 대현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46년 1월 1일 : 대현출장소가 대현면으로 분리되었다. 면사무소는 장생포리에 두었다.
- 1952년 4월 25일 :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울산읍의회·대현면의회가 개원하였다.
- 1961년 9월 1일 : 5·16 군사 정변으로 읍·면의회가 해산되었다.
- 1962년 6월 1일 : 울산군 울산읍·대현면이 신설 울산시에 편입되었다. 대현면은 장생포출장소가 되었고, 울산읍은 폐지되었다가 1963년 11월 1일 옛 울산읍 지역에 무거동, 두왕동 등을 편입하여 중앙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72년 10월 1일 : 울산시 53개 법정동을 31개 행정동으로 개편하면서 중앙출장소 관할 구역에 11개 행정동(남구 지역 4개 행정동)이, 장생포출장소 관할 구역에 9개 행정동이 설치되었다.[2]
- 1976년 4월 20일 : 중앙출장소와 장생포출장소가 폐지되었다.
- 1977년 11월 1일 : 신정동을 신정1동과 신정2동으로 분동하고, 용잠동을 장생포동에 편입하였다.
- 1979년 5월 1일 : 신정1동을 신정1동과 신정3동으로, 야음동을 야음1동과 야음2동으로 분동하였다.
- 1982년 9월 1일 : 신정2동을 신정2동과 신정4동으로 분동하였다.
구의 역사
- 1985년 10월 15일 : 야음2동을 야음2동과 야음3동으로 분동하였다.(17동)
- 1992년 1월 20일 : 법정동간 경계조정으로 옥동 일부를 무거동에, 신정동 일부를 삼산동에, 달동 일부를 신정동에 편입하였다.
- 1992년 4월 30일 : 구청 소재지를 야음동 675-11번지(지금의 대현동 주민센터)에서 달동 1320-1번지(현위치)로 이전하였다.
- 1995년 1월 1일 : 경상남도 울산시와 울산군이 통합되어 통합 울산시로 새로이 출범하였다.
- 1995년 3월 2일 : 신정3동을 신정3동과 신정5동으로 분동하고 무거동을 무거1동과 무거2동으로, 달동을 달동과 삼산동으로 각각 분동하였다.(20동)
- 1995년 5월 1일 : 부곡동과 황성동, 용연동을 통합하여 개운동으로 개편하고 여천동을 야음1동에, 매암동을 장생포동에 편입하였다.(16동)
- 1996년 1월 15일 : 울주군 범서면 굴화리 일부(신세대아파트)가 무거2동에 편입되었다.
- 1997년 5월 2일 : 울주군 범서면 굴화리 일부(굴화주공아파트)가 무거1동에 편입되었다.
-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되면서 자치구인 울산광역시 남구로 새롭게 출범하였다.
- 1998년 10월 17일 : 야음1동과 장생포동을 야음1장생포동으로 통폐합하고, 개운동을 선암동에 통합하였다.(14동)
- 2000년 1월 4일 : 행정구역 조정으로 신정4동과 선암동 지역의 일부를 야음3동에 편입하였다.
- 2000년 1월 4일 : 법정동간 경계조정으로 옥동 일부를 무거2동에, 선암동 일부를 야음3동에, 여천동 일부를 삼산동에 편입하였다.
- 2000년 1월 4일 : 법정동간 경계조정으로 용연동 일부를 황성동에, 황성동 일부를 용연동에 편입하였다.
- 2002년 8월 30일 : 남구 무거동의 굴화2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아파트 지역[3]이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로 편입되고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의 공공시설용지 지역[4]이 남구 무거동으로 편입됨.[5]
- 2007년 2월 26일 : 무거1동을 삼호동으로, 무거2동을 무거동으로 개칭하고 야음1장생포동을 야음장생포동으로, 야음2동을 대현동으로, 야음3동을 수암동으로 개칭하였다.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