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700 |
산성동 |
↔ |
유구 |
종합터미널, 상서, 우성, 신영, 사곡, 신풍, 만천 |
산성동발 24회 유구발 27회 |
휴일 6회 감회 운행[3] 산성동발 평일 4회 수촌삼거리 경유 유구발 20:40, 21:30 터미널 종착[4] |
702 |
유구 |
↔ |
종합터미널 |
옥룡동 행정복지센터, 종합터미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상서리, 우성초등학교, 신영3리, 사곡, 마새, 복골, 신풍, 만천, 공주마이스터고등학교, 유구읍 행정복지센터, 수촌교삼거리, 석남1리 |
2회 |
편도 운행 |
703 |
유구 |
↔ |
종합터미널 |
공주마이스터고등학교, 만천, 신풍, 복골, 마새, 사곡, 신영3리, 우성초교, 상서리,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
2회 |
편도 운행 |
706 |
종합터미널 |
↔ |
유구 |
공산성, 무령왕릉, 공주의료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상서리, 우성초등학교, 신영3리, 사곡, 마새, 복골, 신풍, 만천, 공주마이스터고등학교 |
2회 |
편도 운행 |
800 |
유구 |
↔ |
불당골 |
창말, 신달, 추계, 추동, 문금 |
왕복 6회 |
|
810 |
유구 |
↔ |
탑곡 |
창말, 신달, 추계, 추동, 문금 |
왕복 3회 |
평일 유구발 06:30 검단 경유[4] |
820 |
유구 |
↔ |
명곡 |
창말, 신달 |
왕복 4회 |
|
830 |
유구 |
↔ |
신영 |
창말 |
왕복 2회 |
휴일 운휴 |
840 |
유구 |
↔ |
노동 |
백교 |
왕복 3회 |
휴일 막차 운휴 |
850 |
유구 |
↔ |
차동 |
녹천 |
왕복 2회 |
휴일 운휴 |
860 |
유구 |
↔ |
유구(마곡사) |
구계고개, (세동), 연종, 동해동, 부곡, 마곡사, 상원골, 구계고개 |
3회 |
순환(마곡사 회차) |
861 |
유구 |
↔ |
종합터미널(마곡사) |
구계고개, (세동), 연종, 동해동, 부곡, 마곡사, 가교, 사곡, 우성, 상서 |
1회 |
순환(마곡사 회차) |
870 |
유구 |
↔ |
쌍대 |
만천, 신풍, 백룡, 토끼울 |
왕복 2회 |
|
871 |
유구 |
↔ |
쌍대 |
만천, 신풍, 백룡, 봉갑 |
왕복 1회 |
|
880 |
유구 (종합터미널) |
↔ |
조평 |
만천, 신풍, 백룡, 입동 |
왕복 3회 |
유구 첫차 터미널 출발 |
881 |
유구 |
↔ |
종합터미널(봉갑) |
만천, 신풍, 백룡, 조평, 봉갑 |
1회 |
|
882 |
종합터미널 |
↔ |
유구(봉갑) |
상서, 우성, 사곡, 백룡, 봉갑, 백룡, 신풍, 만천 |
1회 |
|
890 |
유구 |
↔ |
유구(정산) |
만천, 신풍, 백룡, 송학, 정산, 송학, 봉갑, 백룡, 신풍, 만천 |
1회 |
순환(정산 회차) 휴일 정산 미운행 |
891 |
유구 |
↔ |
유구(정산) |
만천, 신풍, 백룡, 봉갑, 쌍대, 송학, 정산, 송학, 백룡, 신풍, 만천 |
1회 |
순환(정산 회차) 휴일 정산 미운행 2014년 1월 1일부터 대박리 미경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