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
문서 |
좌표 |
위치 |
규모 |
사망자 |
설명 |
기원전 1920년경 | 지스샤 홍수 | 북위 35° 동경 102° / 35; 102 | 칭하이성 / 간쑤성 | | | |
512-05-21 | 512년 산시성 지진 | 북위 38.9° 동경 112.8° / 38.9; 112.8 | 다이현 (신저우시), 산시성 (섬서성) | 7.5 Ms | 5,310 (추정) | |
1038-01-09 | 1038년 딩샹 지진 | 북위 38.40° 동경 112.92° / 38.40; 112.92 | 딩샹현, 산시성 (섬서성) | 7.25 Ms | 32,300 | |
1290-09-27 | 직례 지진[1] | 북위 41.5° 동경 119.3° / 41.5; 119.3 | 닝청현, 내몽골 자치구 | 6.8 Ms | 100,000 | |
1303-09-25 | 훙둥 지진[2] | 북위 36.3° 동경 111.7° / 36.3; 111.7 | 산시성 (섬서성) | 8.0 ML | 270,000[3] | 타이위안시와 핑양이 평탄화되었다. |
1337-09-08 | 1337년 화이라이 지진[4] | 북위 40.4° 동경 115.7° / 40.4; 115.7 | 허베이성, 베이징시 | 6.5 Ms | | . |
1536-03-20 | 1536년 시창 지진 | 북위 28.1° 동경 102.1° / 28.1; 102.1 | 쓰촨성 | 7.5 | 수천명 | |
1556-01-23 | 가정대지진 | 북위 34.50° 동경 109.30° / 34.50; 109.30 | 산시성 (섬서성) | 8.0 Mw | 100,000+[5] | 이주, 전염병, 기근으로 인해 인구가 추가로 73만 명 감소했다.[5] |
1604-12-29 | 1604년 취안저우 지진 | 북위 23.54° 동경 117.24° / 23.54; 117.24 | 푸젠성 | 8.1 Mw | 불명 | 중국 남부에서 가장 큰 지진 |
1605-07-13 | 1605년 광둥성 지진 | 북위 19.9° 동경 110.5° / 19.9; 110.5 | 광둥성 | 7.5 Ms | 수천명 | |
1622-10-25 | 1622년 북구위안 지진 | 북위 36.5° 동경 106.3° / 36.5; 106.3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7.2 Mw |
12,000 | |
1626-06-28 | 1626년 링추 지진 | 북위 39.4° 동경 114.2° / 39.4; 114.2 | 산시성 (섬서성) | 7.0 Ms |
>5,200 | |
1668-07-25 | 1668년 탄청 지진 | 북위 34.30° 동경 118.60° / 34.30; 118.60 | 탄청현, 산둥성 | 8.5 Mw | 50,000 | 중국 동부 역사상 기록된 가장 큰 지진 사건.[6] |
1679-09-02 | 1679년 산허-핑구 지진 | 북위 40° 00′ 동경 116° 59′ | 허베이성, 베이징시 | 8.0 Mw | 45,500 | |
1695-05-18 | 1695년 린펀 지진 | 북위 36.0° 동경 111.5° / 36.0; 111.5 | 린펀시 | 7.8 Ms | 52,600 | |
1709-10-14 | 1709년 중웨이 지진 | 북위 37.4° 동경 105.3° / 37.4; 105.3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7.5 Ms | 2,032 | |
1718-06-19 | 1718년 퉁웨이-간쑤 지진 | 북위 35.0° 동경 105.2° / 35.0; 105.2 | 간쑤성 | 7.5 Ms | 75,000 | |
1733-08-02 | 1733년 둥촨 지진 | 북위 26.2° 동경 103.1° / 26.2; 103.1 | 윈난성 | 7.75 Ms | 수천명 | |
1738-12-23 | 1738년 당장 지진 | 북위 33.3° 동경 96.6° / 33.3; 96.6 | 칭하이성 | 6.5 Ms | 336 | |
1739-01-04 | 1739년 인촨–핑뤄 지진 | 북위 38.9° 동경 106.5° / 38.9; 106.5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8.0 Ms | 50,000 | |
1786-06-01 | 1786년 캉딩-루딩 지진[7][8] | 북위 29.9° 동경 102.0° / 29.9; 102.0 | 쓰촨성 | 7.75 ML | 100,000+ | 지진으로 인해 다두허를 막는 인공 진흙댐이 형성되었다. 10일 후 이 댐이 붕괴되어 치명적인 산사태 홍수 사건이 발생했다. |
1815-10-23 | 1815년 핑루 지진 | 북위 34.8° 동경 111.2° / 34.8; 111.2 | 산시성 (산서성) | 6.8 Ms | 13,000 | |
1830-11-10 | 1830년 츠셴 지진 | 북위 36.4° 동경 114.2° / 36.4; 114.2 | 허베이성 | 7.4 Mw | 7,477 | |
1833-09-06 | 1833년 쑹밍 지진 | 북위 25° 24′ 동경 103° 00′ | 윈난성 | 8.0 Mw | 6,000 | |
1850-09-12 | 1850년 시창 지진 | 북위 27.8° 동경 102.3° / 27.8; 102.3 | 쓰촨성 | 7.6–7.9 Mw | 20,650 | |
1870-04-11 | 1870년 바탕 지진 | 북위 30.0° 동경 99.1° / 30.0; 99.1 | 쓰촨성 | 7.3 Mw | 5,000 | |
1879-07-01 | 1879년 우두 지진 | 북위 33.2° 동경 104.7° / 33.2; 104.7 | 간쑤성 | 8.0 Ms | 22,000 | |
1902-08-22 | 1902년 튀르케스탄 지진 | 북위 40.0° 동경 77.0° / 40.0; 77.0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7.7 Mw | 2,500-20,000 | |
1906-12-22 | 1906년 마나쓰 지진 | 북위 44.3° 동경 85.6° / 44.3; 85.6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8.0 Mw | 280 | |
1912-12-21 | 1913년 어산 지진 | 북위 24.26° 동경 102.83° / 24.26; 102.83 | 어산, 윈난성 | 6.8 Mw | 942+ | |
1918-02-13 | 1918년 난아오 대지진 | 북위 23.54° 동경 117.24° / 23.54; 117.24 | 산터우시, 광둥성 | 7.2 Mw | 1,000+ | |
1920-12-16 | 하이위안 지진 | 북위 36.50° 동경 105.70° / 36.50; 105.70 | 하이위안현, 닝샤 후이족 자치구 | 7.8 ML | 265,000[9] | |
1923-03-24 | 1923년 런다 지진 | 북위 31.295° 동경 100.750° / 31.295; 100.750 | 루훠현, 쓰촨성 | 7.0 Ms | 4,800 | |
1925-03-16 | 1925년 다리 지진 | 북위 25.7° 동경 100.4° / 25.7; 100.4 | 다리, 윈난성 | 7.0 Ms | 5,000 | |
1927-05-23 | 구랑 지진 | 북위 37.39° 동경 102.31° / 37.39; 102.31 | 구랑현, 간쑤성 | 7.6 Mw | 40,900 | |
1931-08-10 | 1931년 푸윈 지진[10] | 북위 47.1° 동경 89.8° / 47.1; 89.8 | 푸윈현, 신장 위구르 자치구 | 8.0 Mw | 10,000[11] | |
1932-12-25 | 창마 지진 | 북위 39.7° 동경 96.7° / 39.7; 96.7 | 간쑤성 | 7.6 Ms | 275 | |
1933-08-25 | 1933년 뎨시 지진 | 북위 32.0° 동경 103.7° / 32.0; 103.7 | 마오현, 쓰촨성 | 7.5 MS | 9,000 | |
1937-07-31 | 허쩌 대지진 | 북위 35.269° 동경 115.190° / 35.269; 115.190 | Mudan District, 산둥성 | 6.9 MS | 3,252+ | |
1950-08-15 |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12] | 북위 28.36° 동경 96.45° / 28.36; 96.45 | Zayü County, 티베트 | 8.6 Mw | 4,000 | 중국에서 기록된 가장 큰 지진 사건이자 육지에서 알려진 가장 큰 지진 사건. 중국 주장 영토에서 3,300명 사망 |
1952-08-18 | 1952년 당슝 지진 | 북위 30° 38′ 53″ 동경 91° 36′ 4″ | 당슝현, 티베트 | 7.5 Mw | 54 | |
1955-04-14 | 1955년 저둬탕 지진[13] | 북위 31.295° 동경 100.750° / 31.295; 100.750 | 쓰촨성 | 7.1 Mw | | |
1955-09-23 | 유자 지진 | 북위 26.60° 동경 101.80° / 26.60; 101.80 | 윈난성 | 6.8 MS | 728 | |
1966-03-08 | 싱타이 지진[14] | 북위 37° 04′ 동경 114° 29′ | 허베이성 | 6.8 Mw | 8,064 | |
1969-07-26 | 1969년 양장 지진 | 북위 21.61° 동경 111.83° / 21.61; 111.83 | 양장시, 광둥성 | 6.4 Mw | 3,000 | |
1970-01-04 | 1970년 퉁하이 지진 | 북위 24.19° 동경 102.54° / 24.19; 102.54 | 퉁하이현, 윈난성 | 7.1 Mw | 15,621 | |
1973-02-06 | 1973년 루훠 지진 | 북위 31.398° 동경 100.581° / 31.398; 100.581 | 루훠현, 쓰촨성 | 7.5 MS[15] | 2,175 | |
1974-05-10 | 다관 지진 | 북위 28.2° 동경 104.0° / 28.2; 104.0 | 자오퉁시, 윈난성 | 6.8 | 20,000[16] | |
1975-02-04 | 1975년 하이청 지진 | 북위 40.66° 동경 122.68° / 40.66; 122.68 | 하이청, 랴오닝성 | 7.4 Mw | 2,041 | 역사상 성공적으로 예측된 몇 안 되는 지진 중 하나[17] |
1976-05-29 | 1976년 룽링 지진 | 북위 24.49° 동경 98.96° / 24.49; 98.96 | 윈난성 | 6.9 MS 7.0 MS | 98 | 이중지진 |
1976-07-27 | 1976년 탕산 대지진 | 북위 39.63° 동경 118.10° / 39.63; 118.10 | 탕산시, 허베이성 | 7.5 Mw | 300,000+[18] | 중국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지진. 중국 재해 사망자수 순위 상위권. |
1976-08-16 | 1976년 쑹판-핑우 지진 | 북위 32.69° 동경 104.2° / 32.69; 104.2 | 쓰촨성 | 7.2 MS | 41 | 군발지진 |
1981-01-23 | 1981년 다오푸 지진 | 북위 30.93° 동경 101.10° / 30.93; 101.10 | 쓰촨성 | 6.8 ML | 150 | |
1988-11-06 | 1988년 란창-겅마 지진 | 북위 22.789° 동경 99.611° / 22.789; 99.611 | 윈난성 | 7.6 Ms 7.2 Ms | 939 | 미얀마 샨주 국경 근처에서 발생. 이중지진 |
1990-04-26 | 1990년 궁허 지진 | 북위 35.986° 동경 100.245° / 35.986; 100.245 | 칭하이성 | 7.0 MS | 126 | |
1996-02-03 | 1996년 리장 지진 | 북위 27.30° 동경 100.29° / 27.30; 100.29 | 윈난성 | 7.0 MS | 309 | |
2000-01-14 | 2000년 야오안 지진 | 북위 25.61° 동경 101.06° / 25.61; 101.06 | 윈난성 | 5.9 Mw | 7 | |
2001-02-23 | 2001년 쓰촨성 지진[19] | 북위 29.513° 동경 101.129° / 29.513; 101.129 | 쓰촨성 | 5.6 Mw | 3 | |
2001-11-14 | 2001년 쿤룬산맥 서부 지진 | 북위 36.12° 동경 90.54° / 36.12; 90.54 | 칭하이성 | 7.8 Mw | 0 | |
2003-02-24 | 가스-마랄베시 지진 | 북위 39.61° 동경 77.24° / 39.61; 77.24 | 마랄베시 (바추)현, 신장 위구르 자치구 | 6.3 Mw | 261 | |
2003-12-01 | 2003년 자오쑤 지진 | 북위 42.905° 동경 80.515° / 42.905; 80.515 | 자오쑤현, 신장 위구르 자치구 | 6.0 Mw | 10 | |
2005-11-26 | 2005년 차이쌍 지진 | 북위 29.657° 동경 115.717° / 29.657; 115.717 | 뤼창시, 장시성 | 5.2 Mw | 14 | |
2006-07-22 | 2006년 옌진 지진 | 북위 27.992° 동경 104.215° / 27.992; 104.215 | 윈난성 | 5.2 Mw | 22 | 보통의 피해 |
2008-05-12 | 2008년 쓰촨 대지진 | 북위 31.021° 동경 103.367° / 31.021; 103.367 | 원촨현, 쓰촨성 | 7.9 Mw | 87,587 | 역사상 18번째로 치명적인 지진 |
2008-08-21 | 2008년 더훙 지진 | 북위 24.9° 동경 97.8° / 24.9; 97.8 | 윈난성 | 6.0Mw | 5 | |
2008-08-30 | 2008년 판즈화 지진 | 북위 26.2° 동경 101.9° / 26.2; 101.9 | 쓰촨성 | 5.7 Mw | 41 | |
2008-10-06 | 2008년 당슝 지진 | 북위 29.45° 동경 90.187° / 29.45; 90.187 | 당슝현, 티베트 | 6.4 Mw | 10 | |
2010-04-14 | 2010년 위수 지진 | 북위 33.3° 동경 96.7° / 33.3; 96.7 | 위수, 칭하이성 | 6.9 Mw | 2,698 | 270명 실종 |
2011-03-10 | 2011년 잉장 지진 | 북위 24.710° 동경 97.994° / 24.710; 97.994 | 윈난성 | 5.4 Mw | 26 | |
2012-09-07 | 2012년 이랑 지진 | 북위 27.582° 동경 103.990° / 27.582; 103.990 | 이량현, 윈난성 | 5.6 Mw | 81 | |
2013-03-03 | 2013년 윈난성 지진 | 북위 25.919° 동경 99.725° / 25.919; 99.725 | 다리, 윈난성 | 5.5 Mw | 0 | 주택 2,500채 피해 |
2013-04-20 | 2013년 야안 지진 | 북위 30.284° 동경 102.956° / 30.284; 102.956 | 루산현, 쓰촨성 | 6.9 Mw | 193 | 24명 실종[20] |
2013-07-22 | 2013년 간쑤성 지진 | 북위 34.5° 동경 104.2° / 34.5; 104.2 | 민현, 간쑤성 | 5.9 Mw | 95 | CENC에 따르면 규모 M(s)6.6. |
2013-08-31 | 2013년 윈난성 지진 | 북위 28.220° 동경 99.343° / 28.220; 99.343 | 더첸, 윈난성 | 5.8 Mw | 5 | |
2014-05-24 | 2014년 잉장 지진 | 북위 25.0° 동경 97.8° / 25.0; 97.8 | 잉장현, 윈난 | 5.6 Mw | 0 | 주택 9,412채 파괴.[21] |
2014-08-03 | 2014년 루뎬현 지진 | 북위 27.245° 동경 103.427° / 27.245; 103.427 | 루뎬현, 윈난 | 6.1 Mw | 617 | 112명 실종[22] |
2017-08-08 |
2017년 주자이거우 지진 |
북위 33.20° 동경 103.82° / 33.20; 103.82 | 주자이거우현, 쓰촨성 |
6.5 Mw |
25 |
산사태 |
2019-06-17 |
2019년 이빈 지진 |
북위 28.405° 동경 104.957° / 28.405; 104.957 | 창닝현, 쓰촨성 |
5.8 Mw |
13 |
20,000채 주택 피해 |
2020-01-19 |
2020년 카슈가르 지진 |
북위 39.835° 동경 77.108° / 39.835; 77.108 |
가스현, 신장 위구르 자치구 |
6.0 Mw |
1 |
2명 부상, 1,000채 주택 피해 |
2020-05-18 |
2020년 차오자 지진 |
북위 27.266° 동경 103.288° / 27.266; 103.288 |
차오자현, 윈난성 |
5.1 Mw |
4 |
24명 부상, 광범위한 피해 |
2021-05-21 |
2021년 양비 지진 |
북위 25.761° 동경 100.008° / 25.761; 100.008 |
다리, 윈난성 |
6.1 Mw |
3 |
32명 부상, 12,882채 주택 피해 |
2021-05-22 |
2021년 마둬 지진 |
북위 34.586° 동경 98.255° / 34.586; 98.255 |
마둬, 칭하이성 |
7.3 Mw |
20 |
19명 부상 (공식), 20명 사망 300명 부상 (비공식) |
2021-08-16 |
2021년 루현 지진 |
북위 29.194° 동경 105.374° / 29.194; 105.374 |
루, 쓰촨성 |
5.4 Mw |
3 |
146명 부상, 6만명 대피 |
2022-01-07 |
2022년 칭하이성 지진 |
북위 37.811° 동경 101.275° / 37.811; 101.275 |
먼위안, 칭하이성 |
6.6 Mw |
0 |
제한적 피해, 9명 부상 |
2022-06-01 |
2022년 야안 지진 |
북위 30.416° 동경 102.989° / 30.416; 102.989 |
루산현, 쓰촨성 |
5.9 Mw |
4 |
|
2022-09-05 |
2022년 루딩 지진 |
북위 29.726° 동경 102.279° / 29.726; 102.279 |
캉딩시, 쓰촨성 |
6.6 Mw |
93 |
30명 실종, 423명 부상 |
2023-12-18 |
2023년 지스산 지진 |
북위 35.743° 동경 102.827° / 35.743; 102.827 |
지스산, 간쑤성 |
5.9 Mw |
151[23] |
982명 부상 |
2024-01-22 |
2024년 우스 지진 |
북위 41.269° 동경 78.649° / 41.269; 78.649 |
우스현, 신장 위구르 자치구 |
7.0 Mw |
3 |
74명 부상 |
2025-01-07 |
2025년 티베트 지진 |
북위 28.639° 동경 87.361° / 28.639; 87.361 |
딩르현, 르카쩌시 |
7.1 Mw |
126 |
351명 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