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지역별 재외한인 현황 남아시아·태평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음은 2019년 기준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조사한 남아시아·동남아시아·오세아니아·태평양 지역 재외한인 현황이다.

전체

자세한 정보 지역별, 재외국민 ...
Remove ads

구역별 재외한인 현황

요약
관점

네팔의 기 네팔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Department of Immigration, Ministry of Home Affairs, Government of Nepal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네팔 주재 동포 상당수는 선교사이며, 최근 주재국이 선교 금지 법안을 발효하는 등 종교 관련한 활동을 규제하면서 선교를 하는 동포들의 비자 연장이 어려워짐에 따라 동포 수가 감소하였으며, 비교적 발급이 용이한 학생비자를 신청하는 인원이 늘어남에 따라 유학생 수는 증가함.

뉴질랜드의 기 뉴질랜드

주 뉴질랜드 대한민국 대사관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뉴질랜드 통계청 (2017년 센서스/뉴질랜드 이민성 비자종류별 발급현황/뉴질랜드 내무부 시민권 발급현황)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직전 통계자료 수치 중 시민권 인원의 누락 오류로 인하여 시민권 증가율 변동이 큼
  • 일반비자 소지자 수 증가는 워킹홀리데이 인원의 증가로 인함
    • 영주권자 수 - Source: (Department of Internal affairs / DIA)[1]
    • 일반비자 소지자 수 - Source: (Ministry of business, Innovaition and Employment / MBIE)[2]
    • 학생비자 소지자 수 - Source: (Ministry of business, Innovaition and Employment / MBIE)[3]
    • 시민권자 수 - Source: (Ministry of business, Innovaition and Employment / MBIE)[4]

※ 남녀비율의 산출은 뉴질랜드전체인구의 남녀 비율(남 :49%, 여 51%)적용
※ 지역별 통계관련

  • 각 지역의 거주자격별(영주권자/일반체류자/유학생/외국국적동포)의 대한 상세 통계는 이민성에서 집계하고 있지 않기에 금번 작성 통계자료는 이민성 자료를 토대로 당관에서 임의로 추산한 자료

주 오클랜드 대한민국 분관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뉴질랜드 통계청 (2017년 센서스/뉴질랜드 이민성 비자종류별 발급현황/뉴질랜드 내무부 시민권 발급현황)
※ 조사대상범위가 훈령과 다른 경우 그 사유 : 해당 없음.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직전 통계자료 수치 중 시민권 인원의 누락 오류로 인하여 시민권 증가율 변동이 큼
  • 일반비자 소지사 수 증가는 워킹홀리데이 인원의 증가로 인함

※ 남녀비율의 산출은 뉴질랜드전체인구의 남녀 비율(남 :49%, 여 51%)적용

통가의 기 통가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자체조사

사모아의 기 사모아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자체조사

쿡 제도의 기 쿡 제도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동티모르의 기 동티모르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직접조사
※ 조사대상범위가 훈령과 다른 경우 그 사유 : 없음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딜리지역 기독교 선교인 가족단위 유입
※ 외국국적동포 중 피입양인 수 : 0명 (재외동포총수 대비 비율 0%)

라오스의 기 라오스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재외국민등록부, 한인회 통계 및 각 지역 영사협력원 제공자료
※ 조사대상범위가 훈령과 다른 경우 그 사유 : 해당사항 없음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지속적인 우리동포 방문수 증가 및 대 라오스 투자증가에 따른 우리동포 유입 증가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주재국 이민국 통계를 기준으로 한인회, 각 지역 영사협력원 추정치 고려 가중치 부여
※ 조사대상범위가 훈령과 다른 경우 그 사유 : 해당없음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자녀교육 목적 또는 은퇴 거주 등 미디어 홍보로 인해 이주한 동포들의 숫자가 급증함
※ 외국국적동포 중 입양인 수 : 통계 없음

몽골의 기 몽골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몽골 외국인관리청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몽골의 외국인 근로자수 감축 정책에 따라 취업비자 발급 조건이 까다로와져 체류자수 감소

미얀마의 기 미얀마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재외국민등록대장, 한인단체(한인회, 봉제협회 등) 외국인유학기관(양곤대학교, 양곤외대, 만달레이외대, 불교대학) 등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주재국의 2011년 민선정부 출범이후 개혁.개방 정책 과 민주화 그리고 한국에 대한 무비자정책 실시에 따라 자영업자, 상사주재원 및 투자 기업 임직원 유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방글라데시의 기 방글라데시

본국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주재국 이민국 및 재외동포 단체

부탄의 기 부탄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자체 조사

베트남의 기 베트남

주 베트남 대한민국 대사관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베트남 출입국 기관의 통계시스템 미비로 인하여 당관 관할 하노이, 다낭, 하이퐁, 푸토 한인회 등을 통하여 비공식 추정치로 통계자료 취합
※ 조사대상범위가 훈령과 다른 경우 그 사유 : 재외국민 등록 지역별 파악 불가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기업의 수요에 따른 남성 노동자 수 증가 및 거주 가구 수 증가
  • 하노이와 호치민 유학생의 경우 재외한국학교 학생 등 실질 수 반영

주 호찌민 대한민국 총영사관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호치민시, 껀터시, 동나이성, 빈즈엉성 외 8개성(바리아붕따우성, 롱안성, 짜빙성, 하우장성, 안장성, 닌뚜언성, 빈뚜언성, 박리에우성) 제공 자료 및 당관 민원처리 자료를 통해 추정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우리 기업 투자 진출 및 한-베 양국 교역액 증가 등

브루나이의 기 브루나이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대사관 직접 조사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토목 프로젝트 지상사/협력업체 인원 감소
※ 외국국적동포 중 피입양인 수 : 0명

스리랑카의 기 스리랑카

본국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재외국민등록현황 및 주요기업을 통한 직접 조사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투자기업(현대건설코오롱건설) 직원 및 협력업체 증가
※ 외국국적동포 중 피입양인 수 : 0명

몰디브의 기 몰디브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몰디브는 단기간 체류하는 리조트 근무자가 다수여서 재외국민 등록율이 낮음.

※ 통계자료의 출처 : 직접조사(몰디브내 리조트에 직접 연락하여 확인)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몰디브내 리조트 취업자 증가

싱가포르의 기 싱가포르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싱가포르 이민국 통계자료(영주권자, 유학생, 장기체류자(단, 취업자 및 그 가족 제외)) 및 영사업무(여권 및 공증접수 등) 자료 종합
※ 조사대상범위가 훈령과 다른 경우 그 사유 : 해당사항 없음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싱가포르 이민국 통계 및 연도별 영사민원업무 현황 종합
※ 외국국적동포 중 피입양인 수 : 해당사항 없음

아프가니스탄의 기 아프가니스탄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자체조사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우리 진출 기업 주재원 증가
※ 외국국적동포 중 피입양인 수 : 0명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주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대사관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2016 호주인구조사, 2018 내무부 비자 발급 관련 자료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2016.8월 호주 인구통계총조사 실시(2017.10월 결과 발표)로 인한 자료 반영
  • 워홀러 및 임시 기술 비자 소지자 감소
  • 학생비자 승인 건수 감소 및 방학기간 귀국 학생으로 인한 체류 학생 수 감소

※ 2018.6월 기준, 2,440명의 한국 국적 불법체류자가 호주 내 체류하고 있으며 상기 자료에는 미포함
※ 호주 전지역 피입양인 수: 2,367명 (재외동포총수 대비 비율 1.41%, 1987년 이후 피입양인 총수, 출처: AIHW)

주 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2016 호주인구조사, 2018 내무부 비자 발급 관련 자료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2016.8월 호주 인구통계총조사 실시(2017.10월 결과 발표)로 인한 자료 반영
  • 워홀러 및 임시 기술 비자 소지자 감소
  • 학생비자 승인 건수 감소 및 방학기간 귀국 학생으로 인한 체류 학생 수 감소

주 멜버른 대한민국 분관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통계자료의 출처 : 2016 호주인구조사, 2018 내무부 비자 발급 관련 자료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2016.8월 호주 인구통계총조사 실시(2017.10월 결과 발표)로 인한 자료 반영
  • 워홀러 및 임시 기술 비자 소지자 감소
  • 학생비자 승인 건수 감소 및 방학기간 귀국 학생으로 인한 체류 학생 수 감소

인도의 기 인도

주 인도 대한민국 대사관

자세한 정보 지역별, 구분 ...

※ 직전통계 대비 증감률 3% 이상인 경우 그 사유 : 우리나라 기업 진출(삼성전자 노이다 공장) 등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