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캘리포니아주의 산불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음은 캘리포니아주의 산불에 대한 부분적이고 불완전한 목록이다. 캘리포니아는 봄부터 늦가을까지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며 종종 더운 날씨 조건을 보여 보통에서 심각한 산불을 발생시킬 수 있다. 1800년 이전에는 이 지역이 훨씬 더 숲이 우거지고 생태계가 훨씬 더 회복력이 있었을 때, 연간 440만~1190만 에이커(180만~480만 헥타르)의 숲과 관목지가 불에 탔다.[2] 캘리포니아의 총 면적은 99,813,760 에이커 또는 약 1억 에이커이므로, 2000년 이후 연간 불에 탄 면적은 90,000 에이커(0.09%)에서 1,590,000 에이커(1.59%)에 달했다.[3] 2020년 산불 시즌에만 8,100건 이상의 화재가 거의 450만 에이커의 토지를 태웠다.



Remove ads
원인
캘리포니아주의 기후 변화는 20세기 중반부터 화재 시즌을 연장하고 더 극심하게 만들었다.[4][5]
2010년대 초반부터 캘리포니아의 산불은 숲의 목재 연료 축적, 인구 증가, 특히 퍼시픽 가스 앤드 일렉트릭이 서비스하는 지역의 노후화되고 종종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전력 송배전선 때문에 더욱 위험해졌다.[6][7][8] 미국의 납세자들은 산불 진압에 연간 약 미화 30억 달러를 지출하며, 대형 화재는 수십억 달러의 재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9] 때로는 이러한 산불이 주 북부 지역에서 발생할 때 디아블로 바람으로, 남부 지역에서 발생할 때 샌타앤나 바람으로 알려진 강하고 건조한 바람에 의해 부채질되거나 악화되기도 한다. 그러나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1850년 이전에는 연간 약 450만 에이커(17,000 km2)가 수개월 동안 지속된 화재로 불에 탔으며, 산불 활동은 약 30년마다 최고조에 달하여 최대 1,180만 에이커(47,753 km3)의 토지가 소실되었다.[10][11] 과거의 훨씬 더 큰 산불 시즌은 캘리포니아주 원주민이 정기적으로 맞불을 놓아 자연 화재가 자연스럽게 진행되도록 허용하여 파괴적인 산불이 주를 덮치는 것을 막았기 때문이다.[10] 산불 발생 시 피해를 줄이는 데 필요한 일부 맞불을 막는 보존 문제가 있다.[12]
Remove ads
영향
캘리포니아에서 35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화재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간주되는 마을에 완전히 거주한다. 전체적으로 27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매우 높은 화재 위험 구역"에 살고 있으며, 여기에는 덜 위험한 지역도 포함된다.[13]
CAL FIRE의 관할 보호 구역(즉, 연방 또는 지역 책임 구역 아님)에서는 1980년 이후 산불 발화의 대부분이 인간에 의해 발생했다. CAL FIRE 보호 구역에서 산불 발화의 가장 흔한 네 가지 원인은 순서대로 장비 사용, 전력선, 방화, 그리고 번개이다.[14]
2023년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산불은 캘리포니아주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서식지를 파괴하고 있다.[15][16] 이 연구는 2020년과 2021년 화재 시즌 동안 산불 피해 지역의 58%가 2012년 이후 이 두 시즌에 발생했음을 발견했다.[15][16] 이 두 화재는 50종의 서식지 중 30%를 파괴했으며, 100종의 서식지 중 10%가 불에 탔다. 5-14%의 종 서식지가 "심각한 수준"으로 불에 탔다.[15][16]
Remove ads
통계
연간 소실 면적


2001년부터 국립 산불 관리 센터는 각 주에서 불에 탄 총 면적에 대한 더 정확한 기록을 유지하기 시작했다.[17]
가장 큰 산불
요약
관점
2024년 10월 2일 기준[update] 현재 캘리포니아주 산림 및 화재 방호국에 따르면 가장 큰 20개 산불은 다음과 같다.[55]
Remove ads
가장 치명적인 산불
요약
관점
2025년 1월 28일 기준[update] 현재 캘리포니아주 산림 및 화재 방호국에 따르면 가장 치명적인 20개 산불은 다음과 같다.[56]
Remove ads
가장 파괴적인 산불
요약
관점
2025년 1월 28일 기준[update] 현재 캘리포니아주 산림 및 화재 방호국에 따르면 가장 파괴적인 20개 산불은 다음과 같다.[57]
Remove ads
반복 발화 지역

캘리포니아주 일부 지역에서는 화재가 정기적으로 재발한다. 예를 들어 오클랜드에서는 1923년, 1931년, 1933년, 1937년, 1946년, 1955년, 1960년, 1961년, 1968년, 1970년, 1980년, 1990년, 1991년, 1995년, 2002년, 2008년, 2024년에 다양한 규모와 원인의 화재가 발생했다.[58][59][60] 오렌지군, 리버사이드군, 샌버너디노군, 로스앤젤레스군도 다른 예이다. 오렌지군과 샌버너디노군은 치노 힐스 주립공원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경계를 공유하며, 이 공원의 경관은 넓은 푸른 해안 현무암 관목, 초원, 소림부터 가뭄이나 더운 여름으로 인해 건조해진 갈색의 드문드문한 식생 지역까지 다양하다. 계곡의 풀과 황무지는 건조한 시기와 가뭄에 쉽게 취약해져 산불과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최적의 장소가 되며, 1914년 이후 많은 화재가 발생했다. 언덕과 협곡에서는 1914년, 1920년대, 1930년대,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그리고 현재까지도 덤불이나 산불이 발생했다.[61]
때때로 뇌우로 인한 번개도 과거에 발화가 있었던 지역에 산불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예로는 1999년 메그램 산불, 2008년 캘리포니아주 산불, 그리고 LNU와 SCU 라이트닝 복합 산불(둘 다 2020년)이 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 캘리포니아주의 기후
- 캘리포니아주의 홍수 목록
- 캘리포니아주의 토네이도 목록
- 캘리포니아주의 허리케인 목록
- 산불 목록
- 미국의 산불
- 애리조나주의 산불 목록
- 뉴멕시코주의 산불 목록
- 오리건주의 산불 목록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