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프로토콜 전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프로토콜 전쟁(영어: Protocol Wars)은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벌어진 오랜 논쟁으로, 엔지니어, 조직, 국가들이 어떤 통신 프로토콜이 가장 좋고 견고한 네트워크를 만들 것인지를 놓고 대립했다. 이는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의 인터넷-OSI 표준 전쟁(영어: Internet–OSI Standards War)으로 절정에 달했으며, 1990년대 중반에 인터넷이 급속도로 채택되면서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TCP/IP)가 지배적인 프로토콜 스위트가 되어 궁극적으로 "승리"했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 패킷 교환 기술의 선구자들은 데이터 전송, 즉 자료를 지점이나 노드 간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1970년대 중후반에 이러한 네트워크가 더 많이 등장하면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논쟁은 "접근 표준을 위한 전투"가 되었다. 여러 국가의 우편, 전신 및 전화(PTT) 제공업체와 상업 운영자 간의 국제 협력을 통해 1976년에 X.25 표준이 제정되었고, 이는 전 세계를 커버하는 공공 데이터 네트워크에 채택되었다. 별도로 사유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도 등장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1974년 IBM의 시스템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1975년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의 DECnet이었다.
미국 국방부는 1970년대 동안 미국, 영국, 프랑스의 대학 및 연구원들과 협력하여 TCP/IP를 개발했다.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IPv4)는 1981년에 출시되어 모든 국방부 컴퓨터 네트워킹의 표준이 되었다. 1984년에는 TCP/IP와 호환되지 않는 국제 참조 모델인 OSI 모형이 합의되었다. 많은 유럽 정부(특히 프랑스, 서독, 영국)와 미국 상무부는 OSI 모형 준수를 의무화했고, 미국 국방부는 TCP/IP에서 OSI로 전환할 계획을 세웠다.
한편, 1989년까지 완전한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개발과 다양한 운영 체제에 TCP/IP 소프트웨어를 통합하기 위한 통신 및 컴퓨터 산업과의 파트너십은 TCP/IP가 포괄적인 프로토콜 스위트로 널리 채택되는 기반을 마련했다. 1980년대 후반 OSI가 네트워킹 표준을 개발하는 동안, TCP/IP는 인터네트워킹을 위한 다중 벤더 네트워크와 떠오르는 인터넷의 핵심 구성 요소로 널리 사용되었다.
Remove ads
초기 컴퓨터 네트워킹
요약
관점
패킷 교환 vs 회선 교환
1950년대 후반에 컴퓨터 과학은 컴퓨터 사용자 간 시분할 시스템을 고려하기 시작했고, 나중에는 광역 통신망을 통해 이를 달성할 가능성을 모색하기 시작한 신생 학문이었다. 1960년대 초반, J. C. R. 리클라이더는 볼트 베라넥 & 뉴먼(BBN)에서 일하면서 보편적인 컴퓨터 네트워크의 아이디어를 제안했고, 나중에는 미국 국방부의 고등 연구 프로젝트국(ARPA, 나중에는 DARPA) 산하 정보 처리 기술 사무소(IPTO)를 이끌었다. 독립적으로, 미국 RAND의 폴 배런과 영국 국립 물리학 연구소 (NPL)의 도널드 데이비스 (컴퓨터 과학자)는 컴퓨터 네트워크 설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발명했다.[1][2]
배런은 1960년부터 1964년까지 정보를 "메시지 블록"으로 나누어 분산 네트워크를 통해 동적으로 라우팅하는 방법에 대한 일련의 논문을 발표했다.[3][4][5] 데이비스는 1965~1966년에 고속 인터페이스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 교환 개념을 고안하고 명명했다.[6][7] 그는 영국에서 국가 상업용 데이터 네트워크를 제안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시연하고 연구하기 위해 근거리 NPL 네트워크를 설계했다. 현대적인 데이터 통신 맥락에서 "프로토콜"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67년 4월 데이비스 팀의 두 구성원인 로저 스캔틀베리와 키스 바틀렛이 작성한 "NPL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프로토콜"이라는 메모에서였다.[8][9][10]
리클라이더, 배런, 데이비스는 모두 기존 전화 회사들에게 자신들의 아이디어의 장점을 설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AT&T는 미국에서 통신 인프라에 대한 독점권을 가지고 있었고, 영국에서는 중앙우체국 (영국)(GPO)이 국가 우편, 전신 및 전화 서비스(PTT)였다. 둘 다 음성 트래픽이 계속 지배적일 것이라고 믿었으며 전통적인 전신 기술에 계속 투자했다.[11][12][13][14][15] 전화 회사들은 회선 교환을 기반으로 운영하고 있었고, 그 대안으로는 메시지 교환 또는 패킷 교환이 있었다.[16][17]
밥 테일러는 1966년 IPTO 국장이 되었고, 원격 컴퓨터 간의 자원 공유를 가능하게 하려는 리클라이더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나섰다.[18] 테일러는 래리 로버츠를 고용하여 프로그램을 관리하도록 했다.[19] 로버츠는 레너드 클라인록을 프로젝트에 참여시켰다. 클라인록은 박사 학위 논문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연구하기 위해 수학적 방법을 적용했다.[20] 1967년 10월 운영체제 원리 심포지엄에서 로버츠는 웨슬리 클락의 인터페이스 메시지 프로세서(IMP)를 사용하는 메시지 교환 네트워크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초기 "ARPA Net" 제안을 발표했다.[21] 로저 스캔틀베리는 데이비스의 디지털 통신 네트워크 작업과 폴 배런의 작업을 언급하며 발표했다.[22] 이 중요한 회의에서 NPL 논문은 그러한 자원 공유 네트워크를 위한 데이터 통신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명확히 설명했다.[23][24][25]
래리 로버츠는 데이비스와 배런의 패킷 교환 아이디어를 아파넷 제안에 통합했다.[26][27] 이 네트워크는 BBN이 구축했다. 주로 밥 칸이 설계했으며,[28][29] 네트워크 혼잡 문제를 피하기 위해 NPL의 연결 지향 통신 네트워크 모델에서 벗어났다.[30] 네트워크가 호스트에 제공하는 서비스는 연결 지향이었다. 이는 흐름 제어와 오류 제어(물론 종단 간은 아니었다)를 강제했다.[31][32][33] 각 연결에 대해 네트워크에서 동시에 전송 중인 메시지가 하나만 있어야 한다는 제약 조건으로 인해 메시지의 순서는 종단 간에 보존된다.[31] 이로 인해 아파넷은 나중에 가상 회선 네트워크라고 불리게 되었다.[34]
데이터그램 vs 가상 회선
패킷 교환은 연결 비지향 또는 연결 지향 모드를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 통신에 대한 다른 접근 방식이다. 연결 비지향 데이터그램 서비스는 두 호스트 간에 데이터 패킷을 다른 패킷과 독립적으로 전송한다. 이 서비스는 최선형이다(즉, 순서가 뒤바뀐 패킷 전달 및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가상 회선 서비스를 사용하면 네트워크에 가상 회선이 설정된 후에만 두 호스트 응용 프로그램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그 후, 대상 및 중간 네트워크 노드에 필요한 만큼 소스에 흐름 제어가 부과된다. 데이터는 원래의 순서대로 대상에 전달된다.[35][36]
두 개념 모두 적용 분야에 따라 장단점이 있다. 최선형 서비스가 허용되는 경우, 데이터그램의 중요한 장점은 부분망을 매우 간단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점은 트래픽이 많을 때 어떤 서브네트워크도 그 자체로 혼잡 붕괴로부터 보호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최선형 서비스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자원 사용은 "공정성"에 대한 어떤 정의도 강제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 클래스 간의 상대적 지연을 의미한다.[37][38][39]
데이터그램 서비스는 네트워크에서 다음 링크를 찾기 위한 정보를 모든 패킷에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라우터는 도착하는 각 패킷을 검사하고 라우팅 정보를 확인하며 어디로 라우팅할지 결정한다. 이 접근 방식의 장점은 회로를 설정하는 데 본질적인 오버헤드가 없다는 것으로, 단일 패킷을 긴 스트림만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단일 라우팅 테이블만 업데이트하면 되고 모든 가상 회선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으므로 문제 발생 시 라우팅을 더 간단하게 만든다. 또한 가상 회선당 하나가 아닌 모든 목적지에 대해 하나의 경로만 저장하면 되므로 메모리가 덜 필요하다. 단점은 모든 데이터그램을 검사해야 하므로 (이론적으로) 속도가 느리다는 것이다.[36]
아파넷에서 호스트 컴퓨터(즉, 사용자)를 IMP(즉, 패킷 스위치)에 연결하는 1969년의 출발점은 1822 프로토콜이었는데, 이는 밥 칸이 작성했다.[28][40]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의 대학원생이었던 스티브 크로커는 그 해에 네트워크 워킹 그룹(NWG)을 결성했다. 그는 "많은 개발이 거창한 계획에 따라 진행되었지만, 프로토콜 설계와 RFC 생성은 대부분 우연이었다"고 말했다.[nb 1] UCLA의 레너드 클라인록의 후원 아래,[41] 크로커는 존 포스텔을 포함한 다른 대학원생들을 이끌고 네트워크 제어 프로그램(NCP)으로 알려진 호스트-호스트 프로토콜을 설계했다.[42][nb 2] 그들은 텔넷과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이라는 별도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아파넷 전체에서 기능을 실행할 계획이었다.[nb 3][43][44] 특정 이국적인 요소들을 제외하도록 명령했던 ARPA의 배리 웨슬러의 승인 후,[45][46] NCP는 NWG에 의해 1970년 12월에 완성되고 배포되었다. NCP는 아파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공식화하여 설정하기 쉽게 만들고 더 많은 사이트가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47][48]
로저 스캔틀베리는 1969년 NPL에서 영국 우체국 통신부(BPO-T)로 파견되었다. 그곳에서 엔지니어들은 실험용 패킷 교환 서비스(EPSS)를 위해 기본 원리부터 패킷 교환 프로토콜을 개발했는데, 이는 가상 호출 기능을 기반으로 했다. 그러나 프로토콜은 복잡하고 제한적이었다. 데이비스는 이를 "난해하다"고 묘사했다.[49][50]
레미 데프레는 1971년 CNET(프랑스 PTT의 연구 센터)에서 실험용 패킷 교환 네트워크(RCP로 알려짐) 개발을 시작했다. 그 목적은 미래의 공공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제공될 프로토타입 패킷 교환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이었다.[51][52] 데프레는 가상 호출 방식을 단순화하고 개선하여 1972년에 "우아한 포화 작동" 개념을 도입했다.[53] 그는 "가상 회선"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RCP 네트워크에서 이 개념을 검증했다.[54] 일단 설정되면 데이터 패킷은 라우팅 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없어 패킷 구조를 단순화하고 채널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라우터도 경로 설정이 한 번만 이루어지므로 더 빠르다. 그 이후에는 패킷이 기존 링크를 따라 단순히 전달된다. 단점은 연결 길이 동안 라우팅 정보를 저장해야 하므로 장비가 더 복잡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단점은 가상 연결 설정에 종단 간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작은 메시지의 경우 이 시간이 상당히 길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35][36][55]
TCP vs CYCLADES and INWG vs X.25

데이비스는 데이터그램 네트워크를 구상하고 설명했으며,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 작업을 수행하고 로컬 라인을 갖춘 단일 패킷 스위치를 구축했다.[25][56] 루이 푸진은 아파넷보다 광역 네트워킹에 더 간단한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하다고 생각했다.[56] 1972년, 푸진은 CYCLADES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며, 프랑스 PTT의 협력을 받아 무료 회선과 모뎀을 제공받았다.[57] 그는 나중에 인터네트워킹이라고 불릴 것을 연구하기 시작했다.[58][57] 당시 그는 연결된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catenet"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59] "데이터그램"이라는 이름은 할보르 보트너-바이가 만들었다.[60] 위베르 짐머만은 푸진의 주요 연구원 중 한 명이었고, 팀에는 미셸 엘리(Michel Elie)와 제라르 르 란 등이 포함되었다.[nb 5]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동안 그들은 BBN의 컨설턴트 자문을 받았다.[61] 푸진의 팀은 최선형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에 신뢰할 수 있는 가상 회선을 제공하는 매우 복잡한 문제를 처음으로 해결했다.[62] 이 네트워크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신뢰할 수 없는 표준 크기의 데이터그램을 사용하고 전송 계층에서는 가상 회선을 사용했다.[58][63] 1973년에 처음 시연된 이 네트워크는 데이터그램 모델, 기능 계층화, 엔드 투 엔드 원리 사용의 선구자였다.[61] 르 란은 종단 간 연결에서 신뢰할 수 있는 오류 및 흐름 제어를 달성하기 위해 슬라이딩 윈도 방식을 제안했다.[64][65][66] 그러나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은 CYCLADES 네트워크에 구현되지 않았고 다른 네트워크와 상호 연결되지도 않았다(전통적인 전신 기술을 사용한 제한적인 시연은 제외).[67][68]
대규모 인터네트워킹을 촉진하려는 루이 푸진의 아이디어는 1972년 6월 파리에서 스티브 크로커, 푸진, 데이비스, 피터 T. 커스틴이 설립한 비공식 그룹인 국제 네트워크 워킹 그룹(INWG)을 통해 ARPA 연구원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는 워싱턴에서 아파넷을 시연한 국제 컴퓨터 통신 회의(ICCC) 몇 달 전이었다.[56][69] ICCC에서 푸진은 인터네트워킹에 대한 자신의 아이디어를 처음 발표했고, 빈트 서프는 스티브 크로커의 추천으로 INWG의 의장으로 승인되었다. INWG는 다른 미국 연구원들, 프랑스 CYCLADES 및 RCP 프로젝트 구성원들, NPL 네트워크, EPSS 및 제안된 유럽 정보 네트워크(EIN), 즉 데이터그램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영국 팀들을 포함하도록 성장했다.[67][70] 1960년대 중반 배런과 마찬가지로, 로버츠가 AT&T에 아파넷을 인수하여 공용 패킷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문의했을 때 그들은 거절했다.[71][72]
밥 칸은 1972년 후반에 IPTO에 합류했다. 처음에는 다른 분야에서 일할 예정이었지만, 그는 위성 패킷 네트워크와 지상 무선 패킷 네트워크 작업을 시작했고, 둘 모두에서 통신할 수 있는 가치를 인식했다. 1973년 봄, 빈트 서프는 스탠퍼드 대학교로 옮겼다. DARPA의 자금 지원을 받아 그는 NCP를 대체하고 인터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할 새로운 프로토콜에 대해 칸과 협력하기 시작했다. 서프는 스탠퍼드에서 단편화 가능한 데이터그램 사용을 연구하는 연구팀을 구축했다. 제라르 르 란은 1973-74년 동안 팀에 합류했고, 서프는 그의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을 연구 작업에 통합했다.[73]
또한 미국에서는 밥 메칼프와 팰로앨토 연구소(PARC)의 다른 연구원들이 이더넷과 PARC Universal Packet(PUP)을 인터네트워킹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74][75] INWG는 1973년 6월 스탠퍼드에서 회의를 가졌다.[76] 짐머만과 메칼프가 토론을 주도했다.[73][77] 회의록은 서프와 BBN의 알렉스 맥켄지가 기록했으며, 번호가 매겨진 INWG 노트(일부는 RfC이기도 했다)로 출판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칸과 서프는 1973년 9월 영국 서식스 대학교에서 열린 네트워킹 컨퍼런스에서 논문을 발표했다.[67] 그들의 아이디어는 데이비스, 스캔틀베리, 푸진, 짐머만과의 긴 논의를 통해 더욱 다듬어졌다.[78][79] 대부분의 작업은 칸과 서프가 듀오로 함께 수행했다.[76]
피터 커스틴은 1973년 6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UCL)에서 인터네트워킹을 실천에 옮겨 아파넷을 영국 학술 네트워크에 연결했으며, 이는 최초의 국제 이종 컴퓨터 네트워크였다. 1975년에는 40개의 영국 학술 및 연구 그룹이 이 연결을 사용했다.[80]
1974년 서프와 칸이 발표한 기념비적인 논문 "패킷 네트워크 상호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A Protocol for Packet Network Intercommunication)"은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패킷 단편화 및 재조립을 포함하여 특성이 다른 데이터그램 네트워크 간의 인터네트워킹에 관련된 근본적인 문제들을 다루었다.[81][82] 이 논문은 다른 미국, 영국, 프랑스 연구원들과의 협력 및 경쟁을 통해 개발된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확장되었다.[83][84][67] DARPA는 그 해 후반에 전송 제어 프로그램(TCP)의 첫 버전을 공식화하기 위한 작업을 후원했다.[85] 스탠퍼드에서 그 사양, RFC 675는 12월에 서프가 요겐 달랄과 칼 선샤인과 함께 모놀리식(단일 계층) 디자인으로 작성했다.[67] 다음 해에는 스탠퍼드, BBN,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서 동시 구현을 통해 테스트가 시작되었지만,[86] 이때 아파넷에 설치되지는 않았다.
인터네트워킹을 위한 프로토콜은 INWG에서도 추구되고 있었다.[87][88] 두 가지 경쟁적인 제안이 있었는데, 하나는 서프와 칸이 제안한 초기 전송 제어 프로그램(단편화 가능한 데이터그램 사용)을 기반으로 했고, 다른 하나는 푸진, 짐머만, 엘리가 제안한 CYCLADES 전송 프로토콜(표준 크기의 데이터그램 사용)을 기반으로 했다.[67][89] 절충안이 합의되었고, 서프, 맥켄지, 스캔틀베리, 짐머만은 "국제" 종단 간 프로토콜을 작성했다.[90][91] 이는 1975년 데렉 바버가 CCITT에 제출했지만 CCITT나 아파넷에 채택되지 않았다.[70][73][nb 6]
그해 후반에 열린 제4차 데이터 통신 심포지엄에는 데이비스, 푸진, 데렉 바버, 이라 코튼이 패킷 교환 네트워킹의 현재 상태에 대해 발표했다.[nb 7] 이 회의는 컴퓨터월드 잡지에서 데이터그램과 가상 회선 간의 "접근 표준을 위한 전투"에 대한 기사와 "새로운 공공 패킷 교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표준 접근 인터페이스의 부족이 사용자들에게 '어떤 종류의 괴물'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기사로 다루어졌다. 회의에서 푸진은 유럽 PTT의 압력으로 캐나다의 데이터팩 네트워크가 데이터그램 방식에서 가상 회선 방식으로 변경되었다고 말했지만,[92] 역사가들은 이를 IBM이 독점 프로토콜 수정을 거부한 탓으로 돌린다.[93] 푸진은 데이터그램을 강력히 옹호하고 가상 회선과 독점 기업에 대한 공격에 거침이 없었다. 그는 "데이터그램 대 가상 회선 논쟁의 정치적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했으며, 이는 "통신 사업자와 컴퓨터 산업 간의 권력 투쟁에서 초기 매복. 모두가 결국에는 IBM 대 통신을 용병을 통해 의미한다는 것을 안다"고 보았다.[73]
래리 로버츠와 배리 웨슬러가 1973년 ARPA를 떠나 미국의 상업용 패킷 교환 네트워크인 텔레넷을 설립한 후, 그들은 표준화가 완료되기 직전에 가상 회선을 기반으로 한 패킷 교환 프로토콜을 표준화하려는 국제적인 노력에 동참했다.[94] 프랑스, 영국, 일본 PTT의 기여, 특히 레미 데프레의 RCP 및 트랜스팩 작업과 캐나다의 DATAPAC, 미국의 Telenet 개념이 더해져 X.25 표준은 1976년 CCITT에 의해 합의되었다.[nb 8][60][95] X.25 가상 회선은 간단한 호스트 프로토콜 지원을 허용했기 때문에 쉽게 마케팅될 수 있었다.[96] 또한 각 서브네트워크가 혼잡으로부터 자체 보호를 행사할 수 있다는 1972년 INWG의 기대를 충족시켰다(데이터그램에는 없는 기능).[97][98]
래리 로버츠는 Telenet에서 X.25를 채택했으며, 1978년에는 "데이터그램 패킷이 VC 패킷보다 더 비싸다"는 것을 발견했다.[72] 빈트 서프는 로버츠가 Telenet을 구축할 때 TCP를 사용하자는 자신의 제안을 거절했다고 말했다. 로버츠는 사람들이 가상 회선만 구매할 것이고 데이터그램은 팔 수 없다고 말했다.[56][87] 로버츠는 "패킷 교환의 지속적인 진화의 일환으로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들이 분명히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72] 푸진은 "PTT는 사람들이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서비스를 받도록 강요함으로써 자신들의 사업을 늘리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99]
공통 호스트 프로토콜 vs 프로토콜 간 변환
인터네트워킹 프로토콜은 아직 초기 단계였다.[100] ARPA 연구원, CYCLADES 팀, INWG에 참여한 다른 그룹을 포함한 다양한 그룹은 두 네트워크 간 연결을 위한 게이트웨이 사용을 포함한 관련 문제들을 연구하고 있었다.[70][101] 영국 국립 물리학 연구소에서 데이비스 팀은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데 관련된 "기본적인 딜레마"를 연구했다. 공통 호스트 프로토콜은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존 네트워크를 재구성해야 한다. 이 딜레마를 탐구하기 위해 NPL 네트워크는 두 가지 다른 호스트 프로토콜 간 변환, 즉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EIN과 연결했다. 동시에 NPL의 EPSS 연결은 두 네트워크에서 공통 호스트 프로토콜을 사용했다. NPL 연구는 공통 호스트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일 것이라고 확인했다.[58]
그러나 CYCLADES 프로젝트는 예산, 정치 및 산업적 이유로 1970년대 후반에 중단되었고 푸진은 "그가 영감을 주고 만드는 데 기여했던 분야에서 추방되었다".[73]
DoD 모델 vs X.25/X.75 vs 독점 표준

전송 제어 프로그램의 설계는 호스트 간의 연결 지향 링크와 데이터그램 서비스를 모두 통합했다. 1977년 7월 ARPANET, SATNET, PRNET을 연결한 DARPA의 인터네트워킹 실험은 그 실행 가능성을 입증했다.[102][103] 이어서 DARPA와 스탠퍼드, UCL, BBN 등 협력 연구원들은 일련의 Internet Experiment Notes를 발행하면서 인터넷 작업을 시작했다.[104][105] 밥 칸의 노력으로 데이브 클락과 데이브 리드가 MIT에서 제안한 데이터 스트림 프로토콜(DSP)이 1978년 1월 서프(현재 DARPA 소속)와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정보과학연구소의 존 포스텔이 작성한 TCP 버전 3에 흡수되었다.[106][107] 제록스 팰로앨토 연구소의 요겐 달랄과 로버트 메칼프와의 논의를 거쳐,[108][109] 1978년 9월에 처음 초안된 버전 4의 TCP에서 포스텔은 전송 제어 프로그램을 두 개의 별개 프로토콜로 분리했다. 하나는 신뢰할 수 있는 연결 지향 서비스인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이었고, 다른 하나는 비연결형 서비스인 인터넷 프로토콜(IP)이었다.[110][111] TCP 서비스가 필요 없는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IP의 기본 서비스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이라는 대안이 추가되었다.[112] 1978년 12월부터 TCP/IP라고 불렸으며,[113] 버전 4는 1982년 3월에 모든 군사 컴퓨터 네트워킹의 표준이 되었다.[114][115] 이는 SATNET에 설치되었고 3월에는 NORSAR/노르웨이 국방 연구소(NDRE)가, 11월에는 UCL의 피터 커스틴 그룹이 채택했다.[43] 1983년 1월 1일 "플래그 데이"로 알려진 날에 아파넷에 TCP/IP가 설치되었다.[115][116] 이로 인해 DoD 인터넷 아키텍처 모델(줄여서 DoD 모델) 또는 DARPA 모델로 알려진 네트워킹 모델이 탄생했다.[85][117][118] 레너드 클라인록이 1970년대 중반에 발표한 아파넷 성능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프로토콜 개발 과정에서 언급되었다.[119][120][121]
영국 우체국 통신과 영국 대학 학계에서 개발된 컬러드 북 프로토콜은 최초의 완전한 X.25 표준으로 국제적으로 어느 정도 인정을 받았다. 1975년에 처음 정의된 이 프로토콜은 영국에 "다른 나라들보다 몇 년 앞선" 우위를 제공했지만, 국제적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잠정 표준"으로 의도되었다.[122][123][124][125] X.25 표준은 유럽 국가들과 유럽 경제 공동체 (EEC)로부터 정치적 지지를 얻었다. 데이터그램을 기반으로 한 EIN은 X.25를 사용하는 유로넷으로 대체되었다.[126][127] 피터 커스틴은 유럽 네트워크가 컴퓨터 및 사용자 수가 적은 단기 프로젝트인 경향이 있다고 썼다. 그 결과, 유럽 네트워킹 활동은 X.25를 제외하고는 강력한 표준으로 이어지지 않았고,[nb 9] X.25는 15~20년 동안 유럽의 주요 데이터 프로토콜이 되었다. 커스틴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그의 그룹이 광범위하게 참여했다고 말했는데, 부분적으로는 그들이 가장 전문성이 높은 그룹 중 하나였기 때문이고, 부분적으로는 JANET NRS와 같은 영국 활동이 미국에서 너무 멀리 벗어나지 않도록 노력하기 위해서였다.[80] X.25 프로토콜 스위트를 기반으로 한 공공 데이터 네트워크 구축은 1980년대 내내 계속되었고, 국제적인 예로는 International Packet Switched Service(IPSS)와 SITA 네트워크가 있었다.[95][128] 유럽 내 국가 PTT 네트워크와 북미 상업 네트워크 간 인터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한 X.75 표준으로 보완되어 상업적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글로벌 인프라가 구축되었다.[129][130][131]
컴퓨터 제조업체들은 IBM의 시스템 네트워크 아키텍처(SNA),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DEC)의 DECnet, 제록스의 제록스 네트워크 시스템즈(XNS, PUP 기반), 버로스 코퍼레이션의 BNA와 같은 사유 프로토콜 프로토콜 스택을 개발했다.[nb 10] 1970년대 말까지 IBM의 네트워킹 활동은 어떤 면에서는 아파넷보다 두 자릿수나 더 큰 규모였다.[132]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대부분 동안 개방형 네트워킹 옵션은 여전히 부족했다. 따라서 사유 표준, 특히 SNA와 DECnet, 그리고 일부 XNS 변형(예: 노벨 넷웨어와 바냔 바인즈)은 사설 네트워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사실상 "사실상" 업계 표준이 되었다.[123][133] DEC, 인텔, 제록스가 홍보한 이더넷은 제너럴 모터스와 보잉이 홍보한 MAP/TOP를 능가했다.[134] DEC는 피어투피어(peer-to-peer) 접근 방식을 지원하는 컴퓨터 제조업체 중 예외였다.[135]
미국에서는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미국 항공 우주국(NASA), 미국 에너지부(DoE) 모두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이는 DoD 모델, DECnet, IP over X.25를 기반으로 했다.
Remove ads
인터넷–OSI 표준 전쟁
요약
관점
데이터 네트워크 및 프로토콜에 대한 초기 연구 개발과 표준화는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의 인터넷-OSI 표준 전쟁으로 절정에 달했다. 엔지니어, 조직, 국가들은 어떤 표준이 가장 좋고 견고한 컴퓨터 망을 만들 것인지를 놓고 대립했다.[136][137] 두 표준 모두 개방적이고 비독점적이지만 호환되지 않는다.[138] 하지만 "개방성"은 OSI에 불리하게 작용했을 수 있지만 인터넷 지지자들에 의해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139][140][141][142][143]
OSI 참조 모델
영국 등지의 연구원들은 더 높은 수준의 프로토콜을 정의할 필요성을 인식했다.[144] 영국의 국립 컴퓨팅 센터 발행물 '분산 컴퓨팅의 필요성(Why Distributed Computing)'은 컴퓨터 시스템의 미래 잠재적 구성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기반으로 했으며,[145] 1977년 3월 시드니에서 열린 ISO 회의에서 이 분야를 다루는 국제 표준 위원회를 설립할 것을 영국이 제안하게 했다.[146][140]
위베르 짐머만과 찰스 바크먼은 의장으로서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참조 모델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들은 기술이 아직 발전하고 있는 동안 구속력 있는 표준을 정의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특정 표준에 대한 돌이킬 수 없는 약속이 장기적으로 최적이 아니거나 제약이 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147] 컴퓨터 제조업체가 지배했지만,[135] 그들은 많은 경쟁적인 우선순위와 이해관계에 직면해야 했다. 기술 변화의 속도로 인해 사실 후에 절차를 표준화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스템이 수렴할 수 있는 모델을 정의해야 했다. 이는 전통적인 표준 개발 방식과는 반대였다.[148] 비록 그 자체로 표준은 아니었지만, 기존 및 미래의 표준을 수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프레임워크였다.[149]
1978년부터 국제적인 작업이 시작되어 1980년에 초안 제안서가 나왔다.[150] 제안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컴퓨터 제조업체와 PTT, 그리고 이들 모두와 IBM 사이에 의견 충돌이 있었다.[70][151] 최종 OSI 모형은 1984년 국제 표준화 기구(ISO)와 PTT가 지배하는 ITU-T의 제휴로 발표되었다.[140][152]
OSI 모델의 가장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계층화된" 아키텍처였다. 계층화 개념은 원리적으로는 간단했지만 실제로는 매우 복잡했다. OSI 모델은 엔지니어들이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재정의했다.[147]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DoD 모델 및 X.25, SNA와 같은 다른 기존 프로토콜은 1970년대 후반에 모두 빠르게 계층화된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147][153] OSI 모델이 PTT와 IBM으로부터 소규모 제조업체와 사용자로 권력을 이동시켰지만,[147] "전략적 전투"는 ITU의 X.25와 특히 SNA와 같은 사유 표준 간의 경쟁으로 남아있었다.[154] 둘 다 OSI를 완전히 준수하지는 않았다. 사유 프로토콜은 폐쇄형 표준을 기반으로 했고 계층화를 채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X.25는 속도 및 응용 프로그램에 중요해질 고수준 기능 면에서 제한적이었다.[55] 이미 1982년에 RFC 874는 OSI 참조 모델의 "열성적인" 지지자들을 비판하고 X.25 프로토콜의 기능과 이를 "전송 또는 호스트-호스트 프로토콜"의 의미에서 "종단 간"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것을 비판했다.
빈트 서프는 1979년에 네트워크의 아키텍처 진화와 기술적 질문을 감독하기 위해 인터넷 구성 제어 위원회(ICCB)를 설립했다.[155] 그러나 DARPA는 여전히 통제권을 가지고 있었고, 초기 인터넷 커뮤니티 외부에서는 TCP/IP가 보편적인 채택 후보조차 아니었다.[156][157][154][158] 1985년 폴 모카페트리스가 USC에서 제안한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구현은 네트워크 간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네트워크 성장을 가능하게 했고,[159] 반 제이콥슨이 1986-88년에 개발한 TCP 혼잡 방지 알고리즘은 1989년 RFC 1122 및 RFC 1123에 명시된 완전한 프로토콜 스위트로 이어졌다. 이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로 알려지게 된 TCP/IP의 포괄적인 프로토콜 스위트로서의 성장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160]
DARPA는 게이트웨이를 연구하고 구현했으며,[101][55] 이는 X.25를 경쟁 네트워킹 패러다임으로서 무력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컴퓨터 과학 역사가인 재닛 애비트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X.25 위에서 TCP/IP를 실행함으로써 DARPA는 X.25의 역할을 데이터 통로 제공으로 축소했고, TCP가 종단 간 제어 책임을 맡았다. 완전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의도되었던 X.25는 이제 DARPA 자체 네트워킹 계획의 보조 구성 요소에 불과했다. OSI 모델은 X.25 역할에 대한 이러한 재해석을 강화했다. 일단 프로토콜 계층 구조 개념이 받아들여지고 TCP, IP, X.25가 이 계층 구조의 다른 계층에 할당되자, 이들을 단일 시스템의 보완적인 부분으로 생각하기가 더 쉬워졌고, X.25와 인터넷 프로토콜을 별개의 경쟁 시스템으로 보기가 더 어려워졌다."[161]
국방부는 네트워크 연구 자금을 줄였고,[135] 거버넌스 책임은 미국 국립과학재단으로 넘어갔으며, 아파넷은 1990년에 폐쇄되었다.[162][146][163]
철학적, 문화적 측면
역사가 앤드류 L. 러셀은 대니 코헨(Danny Cohen)과 존 포스텔과 같은 인터넷 엔지니어들이 유동적인 조직 환경에서 지속적인 실험에 익숙해져 TCP/IP를 개발했다고 썼다. 그들은 OSI 위원회를 지나치게 관료적이고 기존 네트워크 및 컴퓨터와 동떨어져 있다고 보았다. 이로 인해 인터넷 커뮤니티는 OSI 모델에서 소외되었다. 인터넷 아키텍처 위원회(IAB)가 인터넷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OSI 연결 비지향 네트워크 프로토콜(CLNP)로 대체할 것을 제안한 후 인터넷 커뮤니티 내에서 논쟁이 벌어졌다. 이에 대해 빈트 서프는 1992년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 회의에서 발표하면서 쓰리피스 정장을 입은 채 스트립쇼를 하여 "모든 것에 IP"라는 문구가 새겨진 티셔츠를 공개했다. 서프에 따르면, 그의 의도는 IAB의 목표가 모든 기본 전송 매체에서 IP를 실행하는 것임을 재확인하는 것이었다.[164] 같은 회의에서 데이비드 D. 클락은 IETF 접근 방식을 유명한 말 "우리는 왕, 대통령, 투표를 거부한다. 우리는 대략적인 합의와 실행 가능한 코드를 믿는다"로 요약했다.[164] 인터넷 협회 (ISOC)는 그 해에 설립되었다.[165]
서프는 나중에 아파넷 작업 중에 처음 발전한 사회 문화(집단역학)가 인터넷 거버넌스가 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규모와 문제에 적응하는 데 기술적 발전만큼 중요하다고 말했다.[141][155]
프랑수아 플뤼키게르는 "시스코와 같이 인터넷 시장에서 승리하는 기업들은 작다. 간단히 말해, 그들은 인터넷 문화를 가지고 있고, 인터넷에 관심이 있으며, 특히 IETF에 참여한다"고 썼다.[142][166]
또한 인터넷 커뮤니티는 SNA와 같은 독점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것과 같은 균일한 네트워킹 방식에 반대했다. 그들은 많은 다른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로 결합될 수 있는 다원적인 인터네트워킹 모델을 옹호했다.[167]
기술적 측면
러셀은 코헨, 포스텔 등이 OSI의 기술적 측면에 불만을 가졌다고 지적한다.[164] 이 모델은 1계층의 물리 미디어부터 7계층의 응용 프로그램까지 7개의 컴퓨터 통신 계층을 정의했는데, 이는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커뮤니티가 예상했던 것보다 많은 계층이었다. 1987년 스티브 크로커는 1970년대 초에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구상했지만 "고대 신비주의자들에게 자문을 구했다면 7개 계층이 필요하다는 것을 즉시 알았을 것"이라고 말했다.[44] 일부 자료에서는 이것이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4개 계층이 불충분하다는 인정이었다고 말한다.[168]
OSI의 엄격한 계층화는 인터넷 지지자들에게 비효율적이며 성능 향상을 위한 절충("계층 위반")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보였다. OSI 모델은 일부 사람들이 너무 많다고 여겼던 전송 프로토콜(TCP/IP의 두 개에 비해 다섯 개)을 허용했다. 또한 OSI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데이터그램과 가상 회선 방식을 모두 허용했는데, 이들은 상호 운용이 불가능한 옵션이다.[136][135]
1980년대 초까지 회의 분위기는 더욱 격렬해졌다. 칼 선샤인은 1989년에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돌이켜보면, 네트워킹 논쟁의 대부분은 책임성, 신뢰성, 견고성, 자율성, 효율성, 비용 효율성과 같은 기본적인 네트워크 설계 목표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견고성과 자율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DoD 인터넷 설계로 이어졌고, PDN은 책임성과 제어 가능성을 강조했다."[135]
OSI 참조 모델의 초기 기여자였던 리처드 데스 자르댕(Richard des Jardins)은 1992년 기사에서 "두 커뮤니티의 선의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일하여 두 글자 단어든 세 글자 단어든 최선의 해결책을 찾도록 계속 노력하자. 그리고 광신자들은 벽에 줄 세워 총살하자"고 말하며 경쟁의 강도를 나타냈다.[164]
1996년 RFC 1958은 "인터넷의 건축 원리"를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매우 일반적인 용어로, 커뮤니티는 목표가 연결성이고, 도구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며, 지능은 네트워크에 숨겨져 있지 않고 종단 간에 있다고 믿는다."
실제적, 상업적 측면
1980년대 초부터 DARPA는 통신 및 컴퓨터 산업과의 상업적 파트너십을 추구하여 TCP/IP 채택을 가능하게 했다.[106] 유럽에서는 CERN이 1984년부터 1988년 사이에 인트라넷용 TCP/IP가 탑재된 유닉스 시스템을 구매했다.[11][169]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 학술 및 연구 네트워크(EARN) 이사회 영국 대표인 폴 브라이언트(Paul Bryant)는 "JNT(JANET 영국 학술 네트워크)가 등장했을 때 [1984년] 우리는 X25를 시연할 수 있었고… 우리는 BT(브리티시 텔레콤)가 우리에게 네트워크 인프라를 제공하고 전용선과 실험 작업을 없앨 수 있다고 굳게 믿었다. 만약 우리가 DARPA와 함께 갔다면 공공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을 것이다. 돌이켜보면 그 주장의 결함은 명확하지만 당시에는 그렇지 않았다. 우리가 하는 일에 대해 상당히 자부심을 가졌지만, 그것이 국가적 자존심이나 반미 정서 때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는 올바른 일을 하고 있다고 믿었을 뿐이다. 후자가 종교적 교리로 바뀌었다"고 말했다.[87] JANET은 학술용 무료 X.25 기반 네트워크였고 연구용이 아니었으며, 실험 및 기타 프로토콜은 금지되었다.[170]
DARPA 인터넷은 여전히 상업적 트래픽이나 영리 서비스를 허용하지 않는 연구 프로젝트였다. NSFNET은 1986년에 TCP/IP를 사용하여 운영을 시작했지만, 2년 후 미국 상무부는 OSI 모델 준수를 의무화했고, 국방부는 TCP/IP에서 OSI로 전환할 계획을 세웠다.[171] 칼 선샤인(Carl Sunshine)은 1989년에 "1980년대 중반까지... (TCP/IP에서) 심각한 성능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무상태' 데이터그램 네트워킹 비판자들이 일부 지점에서 옳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고 썼다.[135]
주요 유럽 국가들과 EEC는 OSI를 지지했다.[nb 11] 그들은 RARE와 관련된 국영 네트워크 운영자(예: DFN, SURFnet, SWITCH)를 설립하여 OSI 프로토콜을 홍보하고, OSI 비준수 프로토콜에 대한 자금 지원을 제한했다.[nb 12] 그러나 1988년까지 인터넷 커뮤니티는 다중 벤더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장치(예: 라우터)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NMP)을 정의했으며, Interop '88 무역 박람회는 TCP/IP 기반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신제품을 선보였다.[172][112] 같은 해, 유럽 유닉스 네트워크인 EUnet은 인터넷 기술로의 전환을 발표했다.[142] 1989년에는 OSI 지지자 브라이언 카펜터가 "OSI는 너무 늦었는가?"라는 제목으로 기술 회의에서 연설을 했고, 이는 기립박수를 받았다.[140][173][174] OSI는 공식적으로 정의되었지만, 컴퓨터 제조업체의 공급업체 제품과 PTT의 네트워크 서비스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135][175][176] 이에 비해 TCP/IP는 공식 표준이 아니었지만(비공식 RFC에 정의됨), 이더넷과 TCP/IP가 모두 포함된 유닉스 워크스테이션은 1983년부터 사용 가능했으며 이제 사실상의 상호 운용성 표준 역할을 했다.[136][143] 칼 선샤인은 "다양한 지연 및 초고속 네트워크에서 TCP/IP 성능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언급했다.[135] 그러나 밥 메칼프는 "TCP에서 TP4로 가는 10년의 기다림은 가치가 없었지만, OSI는 이제 피할 수 없다"고 말했고, 선샤인은 "OSI 아키텍처와 프로토콜이 미래를 지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135] 이듬해인 1990년 서프는 "이제는 누구든지 TCP/IP로 뭔가를 하고 있다는 무역 언론 기사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없다. 국제 표준 기구를 통해 국제 표준인 OSI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한 대규모 노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결국에는 달성될 것이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있을 뿐이다"라고 말했다.[177]
1990년대 초반에는 일부 소규모 유럽 국가들이 TCP/IP를 채택했다.[nb 13] 1990년 2월, RARE는 "OSI 정책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으면서, [RARE]는 TCP/IP 프로토콜 제품군을 과학 및 기술 응용 분야에 잘 적합한 개방형 다중 벤더 제품군으로 인정한다"고 밝혔다. 같은 달, CERN은 미국 코넬 대학교와 대서양 횡단 TCP/IP 링크를 구축했다.[142][178] 반대로, 1990년 8월부터 NSFNET 백본은 TCP/IP 외에 OSI CLNP를 지원했다. CLNP는 1991년 4월 NSFNET에서 운영 시연되었고, 미국과 유럽 사이트 간 상호 연결을 포함한 OSI 시연은 그 해 10월 Interop '91 회의에서 계획되었다.[179]
1991년 1월 영국 러더퍼드 애플턴 연구소(RAL)에서 DECnet은 트래픽의 75%를 차지했으며, 이는 VAX 간의 이더넷 때문이었다. IP는 트래픽의 20%를 차지하는 두 번째로 인기 있는 프로토콜 세트였으며, 이는 "IP가 자연스러운 선택"인 유닉스 시스템 때문이었다. RAL의 통신 및 소형 시스템 책임자인 폴 브라이언트(Paul Bryant)는 "경험에 따르면 IP 시스템은 SNA 및 X.25, 컬러드 북과 같이 시스템이 훨씬 더 복잡한 시스템과 대조적으로 설치 및 사용이 매우 쉽다"고 썼다. 이어서 저자는 "학술 트래픽을 위한 미국 내 주요 네트워크는 이제 IP를 기반으로 한다. IP는 최근 유럽 내 사이트 간 트래픽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이러한 활동을 조정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이처럼 대규모의 결합된 미국/유럽 네트워크의 등장으로 영국 사용자들은 이에 대한 좋은 접근성을 갖는 것에 큰 매력을 느낀다. 이는 컬러드 북 프로토콜을 IP로 게이트웨이하거나 IP가 영국에 침투하도록 허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품질 저하와 좌절의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IP가 침투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영국의 네트워킹 전략을 뒤엎을 수도 있다"고 썼다.[124] 당시 루이 푸진을 포함한 다른 사람들도 비슷한 견해를 공유했다.[140] CERN에서 플뤼키게르는 "이 기술은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 통합되어 있어 사용자 컴퓨터에 비용이 들지 않는다. 시스코와 같이 라우터를 상업화한 최초의 회사들은 건실해 보이고 좋은 제품을 공급한다. 무엇보다도, 로컬 캠퍼스 네트워크와 연구 센터에 사용되는 기술은 원격 센터를 간단하게 상호 연결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142]
1991년 3월부터 JANET IP 서비스(JIPS)는 기존 네트워크에서 IP 트래픽을 호스팅하기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로 설정되었다.[180] 8개월 이내에 IP 트래픽이 X.25 트래픽 수준을 넘어섰고, 11월에는 IP 지원이 공식화되었다. 또한 1991년 다이 데이비스(Dai Davies)는 기존 X.25 네트워크를 통해 범유럽 NREN인 유로파넷에 인터넷 기술을 도입했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에 대한 개인적인 반대에 부딪혔다.[181][182] EARN과 RARE는 비슷한 시기에 IP를 채택했고,[183][nb 14] 유럽 인터넷 백본 EBONE은 1992년에 가동되었다.[142] NSFNET의 OSI 사용량은 TCP/IP에 비해 낮게 유지되었다. 영국에서는 JANET 커뮤니티가 X.400 메일로의 전환을 첫 단계로 OSI 프로토콜로의 전환에 대해 논의했지만, 이는 결코 실현되지 않았다. X.25 서비스는 1997년 8월에 종료되었다.[184][185]
1980년대에는 메일이 유닉스-유닉스 복사 프로그램(UUCP)을 통해 일반적으로 전송되었는데, 이는 간헐적으로 연결되는 시스템 간 메시지 전송에 매우 적합했다.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 개발된 정부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프로파일(GOSIP)은 X.400 채택으로 이어졌을 것이다. 독점 상업 시스템은 대안을 제시했다. 실제로 인터넷 이메일 프로토콜 스위트(SMTP, POP 및 IMAP)의 사용이 빠르게 증가했다.[186]
1989년 팀 버너스리가 CERN에서 인터넷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발명하면서,[187] 이전에는 학술 및 연구 기관을 위한 네트워크였던 것에 많은 사회적, 상업적 용도를 가져왔다.[188][189] 웹은 1993-94년에 일상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90] 미국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는 1994년에 GOSIP이 TCP/IP를 통합하고 OSI 준수 요구 사항을 없애야 한다고 제안했으며,[171] 이는 이듬해 연방 정보 처리 표준에 채택되었다.[nb 15][191] NSFNET은 1991년에 상업적 트래픽을 허용하도록 정책을 변경했으며,[192] 1995년에 폐쇄되어 인터넷을 상업적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것에 대한 마지막 제한이 제거되었다.[193] 이어서 인터넷 백본은 상업적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었고, 인터넷 접속은 보편화되었다.[194][195]
Remove ads
유산
인터넷이 진화하고 기하급수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IPv4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상된 프로토콜인 IPv6가 개발되었다.[196][nb 16] 21세기에는 사물인터넷이 새로운 유형의 장치를 인터넷에 연결하게 되면서 서프의 "모든 것에 IP"라는 비전이 현실이 되고 있다.[198]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인터넷에는 멀티호밍에 대한 불충분한 지원과 같은 단점이 존재한다.[199][200] Recursive Network Architecture,[201] 및 Recursive InterNetwork Architecture와 같은 대안들이 제안되었다.[202]
7계층 OSI 모형은 여전히 교육 및 문서화를 위한 참조로 사용된다.[203] 그러나 이 모델을 위해 고안된 OSI 프로토콜은 인기를 얻지 못했다. 일부 엔지니어는 OSI 참조 모델이 클라우드 컴퓨팅과 여전히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204] 다른 사람들은 원래의 OSI 모델이 오늘날의 네트워킹 프로토콜에 맞지 않으며 대신 단순화된 접근 방식을 제안했다.[205]
X.25 및 SNA와 같은 다른 표준은 여전히 틈새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206]
역사 서술
케이티 해프너와 매튜 라이언은 아파넷과 인터넷으로 이어진 과정을 심도 있고 포괄적으로 다룬 최초의 역사서 중 하나를 출판했다. 《마법사들이 밤샘하는 곳: 인터넷의 기원》(Where Wizards Stay Up Late: The Origins of the Internet, 1996)은 "예측력과 결단력을 가지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추구하고 기술과 사회의 미래에 영향을 미친 이론가, 컴퓨터 프로그래머, 전자 엔지니어, 컴퓨터 전문가"를 다루며 아파넷 개발의 "인간적 측면"을 탐구한다.[207][208]
로이 로젠츠바이크는 1998년에 인터넷의 역사에 대한 단 하나의 설명으로는 불충분하며, 여러 책의 측면을 포함하는 더 적절한 역사가 쓰여져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43][209]
재닛 애비트의 1999년 저서 《인터넷 발명》(Inventing the Internet)은 특히 초기 네트워킹 개발에서 사회 역학의 역할과 비미국인 참여를 강조하는 컴퓨팅 역사 및 네트워킹에 대한 중요한 작품으로 널리 평가되었다.[210][211] 이 책은 또한 역사를 전달하기 위해 기록 자료를 사용한 것에 대해서도 칭찬받았다.[212] 그녀는 이후 역사가들이 인터넷 역사에 대해 글을 쓸 때 취하는 관점을 인식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썼고, 미국에서 기술이 확산되는 관점이 아닌 "기술, 사용 및 지역 경험"의 관점에서 인터넷을 정의하는 함의를 탐구했다.[213][214]
"네트워킹 역사"에 대한 그의 많은 출판물에서 앤드류 L. 러셀은 학자들이 인터넷 역사를 다르게 바라볼 수 있고 그래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연구는 인터넷의 기원과 TCP/IP 추진과 경쟁하고 협력했던 유럽의 현대 작업에 대한 학문적 및 대중적 이해를 변화시킨다.[215][216][217] 제임스 펠키(James Pelkey)는 1980년대 후반에 인터넷 선구자들을 인터뷰했으며, 앤드류 러셀과 함께 2022년에 자신의 책을 완성했다.[1]
마틴 캠벨-켈리와 발레리 셰이퍼(Valérie Schafer)는 패킷 교환, 인터네트워킹 및 인터넷 개발에서 영국과 프랑스의 기여뿐만 아니라 글로벌 및 국제적 고려 사항에 초점을 맞췄다.[218][132][73][214]
Remove ads
같이 보기
- 인터넷의 역사
- 이메일의 역사
- 월드 와이드 웹의 역사
- 인터넷 선구자 목록
내용주
- 크로커는 "NCP"가 나중에 프로토콜 이름으로 사용되었지만 [참조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 (아파넷)], 원래는 연결을 관리하는 운영 체제 내의 프로그램을 의미했다. 프로토콜 자체는 단지 '호스트-호스트 프로토콜'로 알려져 있었다"고 말했다.
- NPL 팀은 1968년에 데이터 전송 수준의 필요성을 구상했다. 둘 다 OSI 모델에 통합된 프로토콜 계층화 개념의 초기 예시였다.
- 왼쪽부터: 베르나르 자메 (프랑스), 가토 마사오 (일본), 폴 기노도 (프랑스), 클로드 마르텔 (캐나다), 번 맥도널드 (캐나다), 레미 데프레 (프랑스), 할보르 보트너-바이 (노르웨이), 필립 켈리 (영국), 이시노 F. (일본), 안톤 리브친스키 (캐나다), 래리 로버츠 (미국).
- 미셸 엘리는 이전에 UCLA의 아파넷 프로젝트 팀의 일원이었다.
- 알렉스 맥켄지는 BBN에 고용되어 아파넷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위베르 짐머만은 CYCLADES 프로젝트에서 루이 푸진의 대리인이었다. 데렉 바버는 제출 직전에 INWG 의장이 되었다. 그는 시작부터 의장이었던 빈트 서프의 뒤를 이었다. 바버는 영국 국립 물리학 연구소에서 데이비스의 대리인이었으며 유럽 정보 네트워크의 이사였다.
- X.25 설계에 참여한 사람들은 캐나다(DATAPAC), 프랑스(PTT), 일본(NTT), 영국(Post Office), 미국(Telenet)의 엔지니어들을 포함한다.
- X.25는 OSI 모델보다 먼저 나왔지만, 세 가지 X.25 레벨은 OSI 계층 1에서 3에 해당한다.
- 프랑스, 서독, 영국은 정부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프로파일(GOSIP)을 통해 OSI 모델을 선도적으로 옹호했다.
- EARN과 RARE는 1994년에 합병하여 TERENA를 설립했다.
- FIPS 146-2는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 및 국제 전기 통신 연합, 전기 통신 표준화 부문(ITU-T)에서 개발한 것과 같은 개방형, 자발적 표준에 기반한 다른 사양..."을 허용했다.
- IP 버전 5는 인터넷 스트림 프로토콜, 즉 채택되지 않은 실험용 스트리밍 프로토콜에서 사용되었다.[197]
Remove ads
각주
더 읽어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