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칼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칼표(dagger)는 타이포그래피 기호이다. 유니코드상 U+2020 †, HTML상 † 또는 † 로 표현된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필사본에 사용한 ÷ 기호에서 유래되었다.
Remove ads
현대의 사용
칼표 표기는 별표(*)가 이미 사용된 경우 하나의 주석의 의미로 사용된다.[1] 이후로 언급되는 3번째 각주의 경우 이중 칼표로 나타낸다.[2] 그 이후로 언급되는 각주들의 경우 일정하지 않으며 여러 가지 기호로 표기되며(‖, §, ¶) 이 가운데 일부는 현대의 초기 타이포그래피에서 존재하지 않았다.
칼표는 사망[2][3], 멸종[4], 구식화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사용된다.[1][5] 연도 옆에 배치할 경우 별표와 칼표는 출생연도와 사망연도를 각각 의미한다.[2] 이는 독일어에서 특히 흔히 사용된다. 인명 앞뒤에 배치하는 경우 칼표는 이 인물이 사망했음을 의미한다.[2][6][7][8] 이를 사망 칼표(death dagger)라고 부른다.[9]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칼표 기호는 구식 기호를 의미한다.[5]
수학에서는 켤레전치를 나타내는 기호로 쓴다.

Remove ads
인코딩
- U+2020 † dagger (HTML:
†
†
Alt+0134
in Windows oroption-t
in macOS) - U+2021 ‡ double dagger (HTML:
‡
‡
Alt+0135
in Windows oroption-shift-7
in macOS) - U+2E36 ⸶ dagger with left guard – used in Alexander John Ellis's "palaeotype" transliteration to indicate retracted pronunciation[10]
- U+2E37 ⸷ dagger with right guard – used in Alexander John Ellis's "palaeotype" transliteration to indicate advanced pronunciation[10]
- U+2E38 ⸸ turned dagger – used in Alexander John Ellis's "palaeotype" transliteration to indicate retroflex pronunciation[10]
- U+2E4B ⹋ triple dagger – A variant with three handles.[11]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