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가운뎃점

문장 부호 중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가운뎃점(문화어: 가운데점)은 문장 부호 중 하나로, 단어를 구분하기 위해 사이에 넣는 작은 점이다.

간략 정보 ·, 가운뎃점 ...
간략 정보 문장 부호, 일반 타이포그래피 ...
Remove ads

용례

한국어

한국어에서 가운뎃점은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낸다.[1]

  •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뉠 때에 쓴다. 아래는 이에 대한 예시이다.
  1. 철수·영이, 영수·순이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2. 공주·논산, 천안·아산 등 각 지역구에서 2명씩 국회 의원을 뽑는다.
  3. 시장에 가서 사과·배·복숭아, 고추·마늘·파, 조기·명태·고등어를 샀다.
  •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쓴다. 아래는 이에 대한 예시이다.
  1. 3·1 운동, 8·15 광복
  •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쓴다. 아래는 이에 대한 예시이다.
  1. 경북 방언의 조사·연구
  2. 충북·충남 두 도를 합하여 충청도라고 한다.
  3. 동사·형용사를 합하여 용언이라고 한다.

일본어

일본어에서는 복합어를 구분하려고 가운뎃점을 쓴다. 그리고 이름은 나카구로(일본어: 中黒)며, 유니코드는 U+30FB(・)다.

  • 여러 단어를 대등하게 나열할 때 쓰인다.
  • 외래어를 가타카나로 표기할 때, 단어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쓰인다. 사람 이름이 아니면, 생략하기도 한다.
    •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 トーマス・エジソン - 토머스 에디슨(Thomas Edison)
  • 사람 이름과 직함을 구분하려고 쓰인다.
    • 部長補佐・鈴木 - 부장 보좌 스즈키
  • 숫자를 세로쓰기를 하거나 한자로 적을 때, 소수점을 나타내는데 쓰인다.
    • 三・一四 - 3.14
Remove ads

로마자

비슷한 기호

자세한 정보 기호, Character Entity ...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