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스터리즘(asterism)은 별표 세 개가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다용도의 기호이다. 이름은 천문학 용어인 성군에서 왔다.[1]
간략 정보 ⁂, 애스터리즘 ...
⁂ |
---|
|
유니코드에서 | U+2042 ⁂ asterism (HTML: ⁂ ) |
---|
|
참고 항목 | U+002A * 별표 (HTML: * ) |
---|
닫기
간략 정보 문장 부호, 일반 타이포그래피 ...
문장 부호 |
| | | | |
아포스트로피 | ( ’ ' ) |
괄호 |
( [ ], ( ), { }, ⟨ ⟩ ) |
쌍점 | ( : ) |
쉼표 | ( , ) |
줄표 |
( ‒, –, —, ― ) |
줄임표 |
( …, ... ) |
느낌표 | ( ! ) |
마침표 | ( .。 ) |
붙임표 | ( -, ‐ ) |
물음표 | ( ? ) |
따옴표 | ( ‘ ’, “ ” ) |
쌍반점 | ( ; ) |
빗금 | ( / ) |
공백 문자 |
( ) ( ) ( ) (␠) (␢) (␣) |
가운뎃점 | ( · ) |
일반 타이포그래피 |
앰퍼샌드 | ( & ) |
골뱅이표 | ( @ ) |
별표 | ( * ) |
역슬래시 | ( \ ) |
불릿 | ( • ) |
캐럿 | ( ^ ) |
저작권 기호 | ( © ) |
통화 기호 |
( ¤ ) |
칼표 |
( †, ‡ ) |
도 기호 | ( ° ) |
중복 부호(같음표) | ( 〃 ) |
역느낌표 | ( ¡ ) |
역물음표 | ( ¿ ) |
번호 기호 | ( # ) |
숫자 기호 |
( № ) |
서수 기호 |
( º, ª ) |
백분율 기호 · 천분율 기호 |
( %, ‰, ‱ ) |
단락 기호 | ( ¶ ) |
프라임 기호 | ( ′ ) |
등록된 상표 기호 | ( ® ) |
부분 기호 | ( § ) |
서비스 기호 | ( ℠ ) |
음성 녹음 저작권 기호 | ( ℗ ) |
물결표 | ( ~ ) |
상표 기호 | ( ™ ) |
밑줄 문자 | ( _ ) |
수직선 | ( |, ¦ ) |
애스터리즘 | ( ⁂ ) |
손가락표 | ( ☜, ☞ ) |
그러므로 기호 | ( ∴ ) |
왜냐하면 기호 | ( ∵ ) |
물음느낌표 | ( ‽ ) |
아이러니 기호 | ( ⸮ ) |
마름모 | ( ◊ ) |
참고표 | ( ※ ) |
붙임줄 | ( ⁀ ) |
전화 기호 | ( ☏, ☎ ) |
온천 기호 | ( ♨ ) |
성별 기호 | ( ♂, ♀ ) |
오전/오후 기호 | ( ㏂, ㏘ ) |
한글 부호 |
오전/오후 기호 | ( ㈝, ㈞ ) |
참고 기호 | ( ㉼ ) |
주식회사 기호 | ( ㈜ ) |
우편번호 기호 | ( ㉾ ) |
|
v • d • e • h |
닫기
애스터리즘은 원래 타이포그래피에서 주로 별표 세 개를 한 줄로 나란히 적는 딩커스(dinkus)의 한 유형이었던 것에서 유래했는데, 점차 드물게 쓰이게 되었다.[2] 또한 무제(無題) 또는 저자나 제목 보류라는 뜻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기상학에서는 적당히 눈이 오는 것을 뜻하는 기호로도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