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강감찬 (드라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강감찬》은 1973년 10월 8일에서 1974년 1월 5일까지 방영한 한국방송공사의 일일연속사극이다. 고려 중기의 여요전쟁을 배경으로 한 최초의 장편 드라마이며 1973년에 진행된 낙성대 정비 사업에 맞춰서 방영되었다. 일일연속사극 《세종대왕》의 후속작으로 편성돼서 《세종대왕》의 극본을 담당한 이은성이 이어서 맡았다.

간략 정보 장르, 방송 국가 ...

《한국방송사》에 의하면 "벽에 부딛쳐" 1974년 1월에 조기 종영했다고 한다.[1] 이병훈 PD는 본작을 두고 "자료 수집에 많은 노력을 기울임"이라 언급했다.[2] 1970년대 초엽에 방영한 드라마답게 영상은 전편 소실된 것으로 추정되나 국가기록원에 대본[3]과 인물표[4]가 보존되어 있어 영상 소실을 간주하더라도 편성표 줄거리 이상의 구체적인 내용 전개를 파악할 수 있다.

Remove ads

파악되는 줄거리

편성표 줄거리상으로는 거란의 1차 침공이 벌어진 993년[5]에서 귀주대첩이 벌어진 1019년까지 극화한 것으로 추정된다.[6]

993년 이전 사건으로 강감찬의 탄생과 장원급제를 다룬 회차가 편성표상 언급된다.[7]

편성표상 확인되는 78개의 회차 중 성종 치세는 1~26회, 목종 치세는 27~62회, 현종 치세는 62~75회로 배분된다. 거란의 1차 침공은 1~9회, 2차 침공은 64~74회, 3차 침공은 75회에서 다룬다. 이중 3차 침공이 극도로 간략하게 다뤄진다.

목종 치세에 드라마의 절반 분량에 가까운 35회(27~62회)를 할애한 만큼 작중 가장 세밀하게 다뤄지는 사건사는 김치양과 천추태후의 전횡과 대량원군(현종)의 등극 과정이다.

등장인물

  • 이 목록은 어디까지나 편성표상 확인 가능한 인물들을 다룬 것이다.

고려

강감찬 일가

강감찬
演: 주현
본작의 주인공. 거란의 1차 침공 때 양규, 강조와 함께 문신들의 강화론 주장에 반대한다.[8] 목종 치세에 김치양과 천추태후가 전횡을 일삼자 이에 대항해 대량원군을 암살 위협으로부터 보호한다.[9] 목종과 뜻을 같이 해[10] 강조의 반란을 획책함으로써 김치양을 제거하고 대량원군을 옹립한다.[11][12] 거란의 2차 침공 때 예부시랑으로서 출진해서 맞서 싸운다.[13] 그후 서북면 행영도통사를 제수받아 고려의 북방을 지키다가[14] 거란의 3차 침공에 맞서 귀주대첩으로 적을 괴멸하는 대승리를 거둔다.[15]
궁진
演: 미상
강감찬의 부친. 삼한벽상공신. 아들과 함께 혼란스러운 고려의 국정을 한탄한다.[16]
강중찬
演: 미상
강감찬의 아우. 강조에게 현혹되어 강감찬에게 지탄받는다.[17]

고려 왕실

성종
演: 미상
고려의 6대 왕. 편성표상으로는 구체적인 행적이 거의 묘사되지 않는다. 쇠약해지자 개령군(목종)에게 양위한다.[18]
목종
演: 미상
고려의 7대 왕. 성종에 의해 개령군으로 책봉돼 제위를 승계받지만 실권은 모후 천추태후와 김치양이 쥔다.[9][19][20]모후와 김치양의 불륜행각[21]과 충신 한언공의 순국에 충격받아[22] 강감찬과 함께 강조의 반란을 획책해 김치양을 제거하고 대량원군에게 양위하려 한다.[10] 결국 강조에 의해 폐위당한 후 적성현 촌가에서 생을 마감한다.[23]
현종
演: 미상
고려의 8대 왕. 작중 대부분 대량원군으로 칭해진다. 기개있고 영민하다고 언급된다.[24] 사수현에서 훗날의 원화왕후와 가난하게 지내던 중[25] 김치양에게 위험요소로 주목받아 제거 위협에 시달린다.[9][26] 강감찬에게 보호받아서 암살을 모면하고 끝내 강조에게 옹립되어 왕위에 오른다.[27][12] 강조의 반란을 명분으로 거행된 거란의 침공에 강조가 붙잡히고 고려군이 패퇴하자 나주로 파천하지만 척화론에 골치를 겪는다.[28] 이후 강감찬을 서북면 행영도통사로 제수한다.[14]
천추태후
演: 미상
목종의 모후. 성종의 침소에서 소외당하는 굴욕도 겪으나[29] 아들 목종이 즉위하자 간통대상인 김치양과 함께 국정을 전횡한다.[9][19] 강감찬을 꺼려한다.[30] 김치양의 아들을 낳으면서 이 전횡은 더욱 심해진다.[31] 강조의 반란에 의해 목종과 더불어 행방불명이 된다.[32] 목종은 죽음이 확실히 언급되는 반면 천추태후는 편성표상 언급이 끊긴다.
원화왕후
演: 미상
현종의 비. 현종이 사수현에서 지내던 무렵부터 이미 부부였다는 사실이 편성표에서 확인된다.[25]
원정왕후
演: 미상
실제 역사에서는 현종의 제1비이나 편성표에서는 목종비로서 언급되며 포태했다는 소문에 대한 언급이 있다.[33] 드라마상 오류인지 편성표상 오류인지는 불확실하다.

고려 무신

강조
演: 남성우[34]
거란의 1차 침공 때 양규와 강감찬과 함께 강화론에 반대한다.[8]목종의 밀서를 받아 당혹해하나 야심에 따라 목종을 폐위시키고 대량원군을 옹립한다.[27] 강조의 반란을 명분으로 침공한 거란에 맞서 싸워 삼수진에서 승리를 거두나[35] 소배압의 결사대에 의해 생포된다.[36] 역사대로 귀순을 제의받으나 거부한다.[37] 편성표에서는 언급이 없으나 실제 역사대로 처형된 것으로 예상된다.
양규
演: 미상
거란의 1차 침공 때 문신들이 주장하는 강화론에 강감찬과 강조와 더불어 항의한다.[8] 거란의 2차 침공 때는 흥화진에서 유격대를 조직해 거란군의 후방을 농락하는 활약을 보인다.[38]
정신용
演: 미상
숭교사와 신혈사에서 대량원군을 제거하려는 김치양의 자객과 맞서 싸운다.[39][40] 이후 거란의 2차 침공 때 양규와 정제와 더불어 흥화진으로 출진한다.[41]
정제
演: 미상
정신용의 아우. 신혈사에서 대량원군을 제거하려는 김치양의 자객과 맞서 싸운다.[40]이후 거란의 2차 침공 때 양규와 정신용과 더불어 흥화진으로 출진한다.[41]

고려 문신

서희
演: 미상
탁월한 외교력으로 담판에서 거란의 침공을 저지하는 공을 세우고 조공로를 명분삼아 강동 6주의 회복을 꾀한다.[42] 그러나 김치양의 난정으로 인해 어지러운 고려의 국정을 걱정하며 숨을 거둔다.[43] 강조의 야심을 경계한 것으로 묘사된다.[44]
한언공
演: 미상
창작이 많이 가해진 인물로 병사한 실존인물과 달리 천추태후와 김치양의 전횡에 맞서 목종에게 대량원군 축출 음모를 알리는 등 충언을 거듭하다가[45] 결국 형틀에서 목숨을 잃는다.[46]노신 한언공의 죽음에 목종은 충격받는다.[22]
김치양
演: 미상
천추태후와 간통을 일삼아 목종이 즉위하자 모후와의 관계를 이용해 조정 내 권신으로 발돋움한다.[9][20] 대량원군을 눈엣가시로 여겨 제거하려 하나 강감찬이 저지한다.[9] 천추태후와 낳은 아들이 커가며 더욱 권력이 강해지지만[31] 목종과 강감찬이 획책한 강조의 반란으로 인해서 제거당한다.[32] 성종 시대에도 승병을 조직해 서희 등에게 위험요소로 여겨졌다는 내용이 있다.[47]

거란

소손녕
演: 미상
거란 정병 17만을 이끌고 고려를 침공하나[5] 서희와의 담판에서 설득돼 다시 본국으로 돌아간다.[42]
소배압
演: 미상
거란측 지휘관으로써 2, 3차 침공에 참전한다. 2차 침공 때는 결사대를 동원해 강조를 붙잡는 공을 세우나[36] 3차 침공 때는 강감찬에게 귀주에서 대패한다.[15]
Remove ads

에피소드 목록

요약
관점
  • 아래 목록은 편성표상 재구성한 것으로 실제 방영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는 알 수 없다. 현존하는 대본과 비교해야 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부분이다.
  • 편성표에 기재된 회차 줄거리는 오류로 추정되는 부분은 임의로 바로잡고 띄어쓰기도 현대 기준에 맞춰서 적는다.
자세한 정보 회차, 방송일 ...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