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강박장애
질병의 종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강박장애(强迫障碍, 영어: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는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특정한 사고나 행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상태를 말한다. 강박성 장애는 강박행동과 강박사고로 구분되는데, 강박사고가 불안이나 고통을 일으키는 것이라면 강박행동은 이를 중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강박적인 생각과 행동을 할 때는 떨쳐버리거나 중단하고 싶지만 그렇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고 고통스러워하게 되는 상태를 겪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서 강박성 장애는 DSM-IV(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에 의해서 불안장애 안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DSM-5(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에서는 불안장애로부터 분리되어 “강박 및 관련 장애(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라는 독립적인 범주로 편성되었다.

Remove ads
징후 및 증상
요약
관점
강박장애는 광범위한 증상을 보인다. 일부 증상군은 차원(dimension)이나 클러스터(cluster)로서 함께 발생하는데, 이는 기저 절차를 반영할 수 있다. 강박장애 표준 측정 도구인 예일-브라운 강박장애 척도(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 Y-BOCS)는 사전에 정의된 13가지 증상 범주가 있다. 이런 증상들은 3-5가지 그룹으로 나뉜다.[1] 증상 구조에 관한 한 메타분석 리뷰는 가장 신뢰할 만한 4가지 요인 분류 구조를 제공하였다. 그것은 대칭 요인(symmetry factor), 금지 사고 요인(forbidden thoughts factor), 청소 요인(cleaning factor), 저장강박 요인(hoarding factor)이 그것이다. 대칭 요인은 순서대로 배열하기, 숫자 세기, 대칭 맞추기와 같은 강박사고(obsession)는 물론, 반복 강박행동(repeating compulsion)과 큰 상관성을 보인다. 금지 사고 요인은 폭력적, 종교적, 성적인 것에 관한 침투적 사고(intrusive thought)와 높은 상관성을 보인다. 청소 요인은 오염에 관한 강박사고와 청소에 관한 강박행동과 높은 상관성을 보인다. 저장강박 요인은 오로지저장강박애 관한 강박사고와 강박행동과 관련되며, 다른 증상 분류와 구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2]
강박장애 발병을 검토할 때, 한 연구는 남년간의 발병 연령차가 있어 남자는 평균 9.6세, 여자는 11.0세로 밝혔다.[3] 강박장애 아동은 ADHD, 우울, 불안, 파괴행동장애(disruptive behavior disorder)와 같은 정신장애(mental disorder)를 가지기도 한다. 이어서 이들은 학교에서 힘들어하고 사교 상황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경향이 더 높다(Lack 2012). 성인과 아동 모두를 조사하였을 때, 한 연구는 남녀 각각 평균 21세와 24세에 발병한다고 밝혔다.[4] 일부 연구는 일찍 발병한 강박장애일 수록 더욱 심각도가 높다고 하지만, 다른 연구는 이러한 발견을 입증하지 못하였다.[5] 특히 여성을 조사한 것에 있어, 다른 연구에서는 참가자 62%는 증상이 초경 이전 연령대에 악화된다는 것을 밝혔다. 전반적으로 모든 인구통계와 연구는 잘병 평균 연령이 25세 이하라고 밝혔다.[6]
일부 강박장애 하위유형은 패턴 인지(pattern recognition) (씻기 하위유형washing subtype)와 공간 작업 기억(spatial working memory) (강박사고 하위유형obsessive thought subtype) 같은 일부 과업에서의 성과의 향상과 연관지어져 왔다. 또한 하위유형은 신경영상(neuroimaging) 성과에 의하여 구분되어 왔지만, 신경영상 연구는 결론이 나지 않았다. 하위유형 의존 치료의 반응은 연구되어 왔고, 저장강박 하위유형은 치료에 호응하는 정도가 일관되게 가장 적었다.[7]
강박장애는 신경심리학적 관점에서는 동질 장애(homogeneous disorder)로 인식되었지만, 증상 대부분은 동반이환 장애(comorbid disorder)의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박장애 성인은 그렇지 않은 성인보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를 더 많이 보인다. than adults without OCD.[8]
발병 원인에 관하여, 연구자들은 한 연구[6]의 참가자들에게 자신의 질병에 대한 최초 발병을 촉발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한지 물었다. 환자 29%는 삶의 환경 요인이 있다고 답하였다. 특히 그렇게 대답한 참가자 대부분은 환경요인이 증가하는 책임감에 관련되었다는 것을 주목하였다.
강박사고

강박사고(obsession)는 무시하거나 대면해도 반복되고 지속되는 스트레스 유발 사고(stress-inducing thought)를 말한다.[10] 강박장애 환자는 과업이나 강박행동(compulsion)을 자주 하여 강박사고가 야기한 불안으로부터 안정을 찾으려 한다. 사람들 사이에 첫 발생하는 강박사고는 명료함과 선명함이 다양하다. 비교적 모호한 강박사고는 무질서감이나 긴장감과 관련될 수 있으며, 불안정함(imbalabce)이 남아있어 정상적으로 삶이 진행할 수 없다는 믿음이 동반된다. 더욱 강렬한 강박사고는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가 죽는 생각이나 이미지에 몰입하거나 관계 올바름(relationship rightness)애 관련된 침투적 사고에 빠지는 것일 수 있다.[11][12] Other obsessions concern the possibility that someone or something other than oneself—such as God, the devil or disease—will harm either the patient or the people or things the patient cares about. Others with OCD may experience the sensation of invisible protrusions emanating from their bodies or feel that inanimate objects are ensouled.[13] Another common obsession is scrupulosity, the pathological guilt/anxiety about moral or religious issues. In scrupulosity, a person's obsessions focus on moral or religious fears, such as the fear of being an evil person or the fear of divine retribution for sin, for example going to Hell.[14][15] Mysophobia, a pathological fear of contamination and germs, is another common obsession theme.[16][17]
Some people with OCD experience sexual obsessions that may involve intrusive thoughts or images of various sexual acts with strangers, acquaintances, relatives, animals, or religious figures and can include heterosexual or homosexual contact with people of any age.[18][19] Similar to other intrusive thoughts or images, some disquieting sexual thoughts are normal at times, but people with OCD may attach extraordinary significance to such thoughts. For example, obsessive fears about sexual orientation can appear to the affected individual, and even to those around them, as a crisis of sexual identity.[20][21] Furthermore, the doubt that accompanies OCD leads to uncertainty regarding whether one might act on the troubling thoughts, resulting in self-criticism or self-loathing.[19]
Pedophilia-theme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lso known as pedophile OCD or P-OCD) is an OCD subtype regarding reocurring compulsions and obsessions over one being a pedophile.[22][23][24][25][26][27]
Most people with OCD understand that their thoughts do not correspond with reality; however, they feel that they must act as though these ideas are correct or realistic. For example, someone who engages in compulsive hoarding might be inclined to treat inorganic matter as if it had the sentience or rights of living organisms, despite accepting that such behavior is irrational on an intellectual level. There is debate as to whether hoarding should be considered an independent syndrome from OCD.[28]
Compulsions
Some people with OCD perform compulsive rituals because they inexplicably feel that they must do so, while others act compulsively to mitigate the anxiety that stems from obsessive thoughts. The affected individual might feel that these actions will either prevent a dreaded event from occurring or push the event from their thoughts. In any case, their reasoning is so idiosyncratic or distorted that it results in significant distress, either personally or for those around the affected individual. Excessive skin picking, hair pulling, nail biting and other body-focused repetitive behavior disorders are all on the obsessive–compulsive spectrum.[29] Some individuals with OCD are aware that their behaviors are not rational, but they feel compelled to follow through with them to fend off feelings of panic or dread.[30] Furthermore, compulsions often stem from memory distrust, a symptom of OCD characterized by insecurity in one's skills in perception, attention and memory, even in cases where there is no clear evidence of a deficit.[31]
Common compulsions may include hand washing, cleaning, checking things (such as locks on doors), repeating actions (such as repeatedly turning on and off switches), ordering items in a certain way and requesting reassurance.[32][33] Although some individuals perform actions repeatedly, they do not necessarily perform these actions compulsively; for example, morning or nighttime routines and religious practices are not usually compulsions. Whether behaviors qualify as compulsions or mere habit depends on the context in which they are performed. For instance, arranging and ordering books for eight hours a day would be expected of someone who works in a library, but this routine would seem abnormal in other situations. In other words, habits tend to bring efficiency to one's life, while compulsions tend to disrupt it.[34] Furthermore, compulsions are different from tics (such as touching, tapping, rubbing or blinking) and stereotyped movements (such as head banging, body rocking or self-biting), which are usually not as complex and not precipitated by obsessions.[35] It can sometimes be difficult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compulsions and complex tics, and about 10–40% of people with OCD also have a lifetime tic disorder.[29][36]
People with OCD rely on compulsions as an escape from their obsessive thoughts; however, they are aware that relief is only temporary and that intrusive thoughts will return. Some affected individuals use compulsions to avoid situations that may trigger obsessions. Compulsions may be actions directly related to the obsession, such as someone obsessed with contamination compulsively washing their hands, but they can be unrelated as well.[37] In addition to experiencing the anxiety and fear that typically accompanies OCD, affected individuals may spend hours performing compulsions every day. In such situations, it can become difficult for the person to fulfill their work, familial or social roles. These behaviors can also cause adverse physical symptoms; for example, people who obsessively wash their hands with antibacterial soap and hot water can make their skin red and raw with dermatitis.[38]
Individuals with OCD often use rationalizations to explain their behavior; however, these rationalizations do not apply to the behavioral pattern, but to each individual occurrence. For example, someone compulsively checking the front door may argue that the time and stress associated with one check is less than the time and stress associated with being robbed, and checking is consequently the better option. This reasoning often occurs in a cyclical manner and can continue for as long as the affected person needs it to in order to feel safe.[39]
OCD sometimes manifests in mental instead of overt compulsions. This manifestation may be termed "primarily obsessional OCD" and typically involves mental compulsions, such as mental avoidance or excessive rumination.[40][41] OCD without overt compulsions could, by one estimate, characterize as many as 50–60% of OCD cases.[42]
Insight and overvalued ideatio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identifies a continuum for the level of insight in OCD, ranging from good insight (the least severe) to no insight (the most severe). Good or fair insight is characterized by the acknowledgment that obsessive–compulsive beliefs are not or may not be true, while poor insight is characterized by the belief that obsessive–compulsive beliefs are probably true. The absence of insight altogether, in which the individual is completely convinced that their beliefs are true, is also identified as a delusional thought pattern and occurs in about 4% of people with OCD.[43][44] When cases of OCD with no insight become severe, affected individuals have an unshakable belief in the reality of their delusions, which can make their cases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psychotic disorders.[45]
Some people with OCD exhibit what is known as overvalued ideas, ideas that are abnormal compared to affected individuals' respective cultures, and more treatment-resistant than most negative thoughts and obsessions.[46] After some discussion, it is possible to convince the individual that their fears are unfounded. It may be more difficult to practice 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therapy (ERP) on such people, as they may be unwilling to cooperate, at least initially.[47] Similar to how insight is identified on a continuum, obsessive-compulsive beliefs are characterized on a spectrum, ranging from obsessive doubt to delusional conviction. In the United States, overvalued ideation (OVI) is considered most akin to poor insight—especially when considering belief strength as one of an idea's key identifiers.[48] Furthermore, severe and frequent overvalued ideas are considered similar to idealized values, which are so rigidly held by, and so important to affected individuals, that they end up becoming a defining identity.[46] In adolescent OCD patients, OVI is considered a severe symptom.[49]
Historically, OVI has been thought to be linked to poorer treatment outcome in patients with OCD, but it is currently considered a poor indicator of prognosis.[49][47] The Overvalued Ideas Scale (OVIS) has been developed as a reliable quantitative method of measuring levels of OVI in patients with OCD. Research has suggested that overvalued ideas are more stable for those with more extreme OVIS scores.[50]
Cognitive performance
Though OCD was once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above-average intelligence, this does not appear to necessarily be the case.[51] A 2013 review reported that people with OCD may sometimes have mild but wide-ranging cognitive deficits, most significantly those affecting spatial memory and to a lesser extent with verbal memory, fluency, executive function and processing speed, while auditory attention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52] People with OCD show impairment in formulating an organizational strategy for coding information, set-shifting, and motor and cognitive inhibition.[53]
Specific subtypes of symptom dimensions in OCD have been associated with specific cognitive deficits.[54] For example, the results of one meta-analysis comparing washing and checking symptoms reported that washers outperformed checkers on eight out of ten cognitive tests.[55] The symptom dimension of contamination and cleaning may b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tests of inhibition and verbal memory.[56]
Pediatric OCD
Approximately 1–2% of children are affected by OCD.[57] An international study showed that OCD most often develops during childhood or adolescence, with 21% of subjects having developed symptoms during childhood (age 12 and under) and another 36% having developed symptoms during adolescence (ages 13-17).[58] OCD diagnosis in children occurs at similar rates across different ethnic groups and races, but African American children are less likely to receive treatment.[58]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OCD in children shares many similarities with that observed in adults. OCD is considered a highly familial disorder, with a phenotypic heritability of around 50%. Symptoms tend to develop more frequently in children 10–14 years of age, with males displaying symptoms at an earlier age, and at a more severe level than females.[59] In children, symptoms can be grouped into at least four types, including sporadic and tic-related OCD.[1]
The Children's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 (CY-BOCS) is the gold standard measure for assessment of pediatric OCD.[60] It follows the Y-BOCS format, but with a Symptom Checklist that is adapted for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Insight, avoidance, indecisiveness, responsibility, pervasive slowness and doubting are not included in a rating of overall severity. The CY-BOCS has demonstrated good convergent validity with clinician-rated OCD severity and good to fair discriminant validity from measures of closely related anxiety, depression and tic severity.[60] The CY-BOCS Total Severity score is an important monitoring tool as it is responsive to pharmacotherapy and psychotherapy.[61][62] Positive treatment response is characterized by 25% reduction in CY-BOCS total score and diagnostic remission is associated with a 45%-50% reduction in Total Severity score (or a score <15).[60] The Child Behavior Checklist-Obsessive Compulsive Subscale (CBCL-OCS) appears to demonstrate sufficient accuracy in identifying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may require additional evaluation for OCD.[58]
CBT is the first line treatment for mild to moderate cases of OCD in children, while medication plus CBT is recommended for moderate to severe cases.[63][64][65]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are first-line medications for OCD in children with established AACAP guidelines for dosing.[66] Medication in addition to a CBT intervention like 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ERP) is more beneficial than only using medication in the treatment of OCD in children.[58]
Associated conditions
People with OCD may be diagnosed with other conditions as well, such as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major depressive disorder, bipolar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orexia nervosa, social anxiety disorder, bulimia nervosa, Tourette syndrome, transformation obsession, ASD, ADHD, dermatillomania,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trichotillomania.[67] More than 50% of people with OCD experience suicidal tendencies and 15% have attempted suicide.[68] Depression, anxiety and prior suicide attempts increase the risk of future suicide attempts.[69]
It has been found that between 18 and 34% of females currently experiencing OCD scored positively on an inventory measuring disordered eating.[70] Another study found that 7% are likely to have an eating disorder,[70] while another found that fewer than 5% of males have OCD and an eating disorder.[71]
Individuals with OCD have also been found to be affected by delayed sleep phase disorder at a substantially higher rate than the general public.[72][73] Moreover, severe OCD symptoms are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greater sleep disturbance. Reduced total sleep time and sleep efficiency have been observed in people with OCD, with delayed sleep onset and offset.[73]
Some research has demonstrated a link between drug addiction and OCD. For example, there is a higher risk of drug addiction among those with any anxiety disorder, likely as a way of coping with the heightened levels of anxiety. However, drug addiction among people with OCD may be a compulsive behavior. Depression is also extremely prevalent among people with OCD. One explanation for the high depression rate among OCD populations was posited by Mineka, Watson and Clark (1998), who explained that people with OCD, or any other anxiety disorder, may feel "out of control".[74]
Someone exhibiting OCD signs does not necessarily have OCD. Behaviors that present as obsessive–compulsive can also be found in a number of other conditions, including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OCPD),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or disorders in which perseveration is a possible feature (ADHD, PTSD, bodily disorders or stereotyped behaviors).[75] Some cases of OCD present symptoms typically associated with Tourette syndrome, such as compulsions that may appear to resemble motor tics; this has been termed tic-related OCD or Tourettic OCD.[76][77]
OCD frequently occurs comorbidly with both bipolar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Between 60 and 80% of those with OCD experience a major depressive episode in their lifetime. Comorbidity rates have been reported at between 19 and 90%, as a result of methodological differences. Between 9–35% of those with bipolar disorder also have OCD, compared to 1–2% in the general population. About 50% of those with OCD experience cyclothymic traits or hypomanic episodes. OCD is also associated with anxiety disorders. Lifetime comorbidity for OCD has been reported at 22% for specific phobia, 18% for social anxiety disorder, 12% for panic disorder and 30%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comorbidity rate for OCD and ADHD has been reported to be as high as 51%.[78]
Remove ads
진단 기준
- 강박사고 또는 강박행동이 나타난다.
- 강박사고는 다음에 의해서 정의한다.
-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사고, 충동 및 이미지를 경험한다. 장애 시간의 일부에서는 침투적이고 원치 않는 방식으로 경험되며 대부분 현저한 불안이나 괴로움을 일으킨다.
- 사고, 충동 및 이미지의 내용은 단순히 실생활 문제에 대한 과도한 걱정이 아니다.
- 이러한 사고, 충동 및 이미지를 경험하는 사람은 이를 무시하거나 억압하려고 시도한다. 또는 다른 생각이나 행동을 통해 이를 중화시키려고 노력한다.(즉, 강박행동을 함으로써)
- 이러한 사고, 충동 및 이미지를 경험하는 사람은 이러한 것들이 자기 마음의 산물이며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주입된 것이 아님을 인식한다.
- 강박행동은 다음에 의해서 정의한다.
- 강박행동에는 예를 들어 손 씻기, 정리정돈하기, 확인하기와 같은 반복적인 행동과 기도하기, 숫자세기, 속으로 단어 반복하기 등과 같은 정신적인 행위도 포함된다. 강박행동은 자신이 경험하는 강박사고에 대한 반응으로 수행하게 되거나 엄격한 규칙에 따라 수행된다.
- 이러한 외적인 행동이나 정신적인 행위들은 불안감이나 괴로움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고, 또는 두려운 사건이나 상황의 발생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행위들은 그 행위의 대상과 현실적인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혹은 명백하게 과도한 것이다.
- 강박사고는 다음에 의해서 정의한다.
주의점: 어린 아동의 경우 이런 행동이나 정신적인 행위들에 대해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 이 장애가 경과되는 도중 어느 시점에서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이 지나치거나 비합리적이라는 것을 스스로 인식한다. 그러나 아동의 경우에는 자신의 증상이 과도하거나 비합리적이란 인식을 갖지 못할 수도 있다.
- 강박사고나 강박행위는 명백히 불편감을 유발하거나 하루에 한 시간 이상의 긴 시간을 소모하게 한다. 개인의 일상생활, 직업, 학업수행이나 사회적인 행위 및 사회적인 관계 등에도 상당한 지장을 일으킨다.
- 강박증상은 물질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 좋거나 양호한 병식 : 강박적 믿음이 진실이 아니라고 확신하거나 진실 여부를 확실하게 인지하지 못한다.
- 좋지 않은 병식: 강박적 믿음이 아마 사실일 것으로 생각한다.
- 병식 없음/망상적 믿음: 강박적 믿음이 사실이라고 완전하게 확신한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Remove ads
발생 원인
연구결과 강박장애는 생물학적인 기제(機制)가 관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강박장애는 두뇌의 신경전달물질 중 ‘세로토닌’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해서 발생하게 되기도 하고, 뇌의 전두엽과 기저핵 부위를 잇는 신경망의 기능에 이상이 있어서 나타나게 되기도 한다. 세로토닌은 충동성, 공격성, 자살, 불안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신경전달물질이다. 아직은 강박장애의 원인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게다가 스트레스는 강박장애의 원인은 아니지만, 강박장애를 유발시키는 요인은 될 수 있다.[80]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81]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위험 요인은 아동 학대(child abuse) 이력이나 스트레스 유발 사건 등이 있다.[29]
약물 유발 강박장애
여러 약물들은 증상 경험이 없는 환자에게도 강박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의 2013년판인 DSM-5 내에 강박장애에 관한 새로운 장은 약물 유발 강박장애(drug-induced OCD)를 포함한다.
올란자핀(olanzapine) 혹은 지프렉사(Zyprexa)와 같은 비정형성 항정신병약(atypical antipsychotics)(제2세대 항정신병약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은 환자에게서 새로운 강박장애를 유발한다고 증명되었다.[82][83][84][85]
증상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예들의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 강박적인 씻기 행동의 예
- 오염에 대한 불안감 혹은 먼지나 세균에 대한 염려를 떨쳐버리기 위해서 평소 과도하게 손을 씻거나 타인과 악수를 한 후 곧바로 물티슈로 자신의 손을 닦기도 하며 오랜 시간 샤워를 하기도 한다. 수시로 집안 청소를 하는 등의 행동을 하며 이러한 행위는 죽음이나 질병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되는 예방적 행위이기도 하지만, ‘이미 오염되었다'는 극도의 불안감으로부터 안정감을 회복하기 위한 것이다.
- 강박적인 확인 행동의 예
- 자신이 혹시 어떤 실수를 하지는 않았는지, 현재 느끼는 미세한 통증이 큰 병의 전조는 아닌지, 혹은 사고에 대해 의심하고 두려움을 느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의도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행위로 문이나 가스레인지를 잠갔는데도 잠그지 않은 것 같은 느낌의 반복과 이에 따른 확인, 다른 사람에게 해가 되지 않았는가에 대한 점검 등 대체로 일정한 의례적인 방식으로 수행되며, 실수나 사고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 내지는 검토의 의도가 있다고 본다.
- 균형 또는 정확성에 대한 욕구 및 강박행동의 예(강박적인 정리정돈)
- 물건이 바로 그 자리에 있지 않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 같은 생각, 대칭에 대한 욕구, 따라서 물건을 항상 반듯하게 두거나, 대칭적으로 두는 행동으로 사물을 제대로 맞춰 놓아야 한다는 완벽주의적 성향을 추구하는 경우가 많다.
- 사물 정렬 또는 대칭에 대한 욕구의 예
- 물건이 제자리에 가 있어야 하고 대칭도 맞아야만 안심할 수 있는 경우이다. 물건이 제대로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무언가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두려움을 갖게 되기도 한다.
- 강박적인 지연행동의 예
- 양치질을 하는 데에만 30분이 소요되고 목욕을 하는 데는 2시간이 넘게 걸리는 경우 등과 같이 강박장애 환자들이 반복적인 강박행위에 몰두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것으로, 대개의 경우 강박 지연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은 자신의 강박적이고 지나치게 꼼꼼한 수행에 대해 저항감을 느끼지 않는다.
- 강박적인 수집행동의 예
- 거의 쓸모없어 보이거나 낡고 가치 없는 물건들에 대해 집착을 보인다는 것이 특징이고, 강박적인 수집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은 자신의 수집물을 타인이 만지거나 다른 장소로 치우는 것에 대해 과도한 불안감을 느끼기도 한다. 언젠가 필요할 것 같아서 버리지 못하고 모아두는 경우도 수집행동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Remove ads
강박장애 극복 방안들
요약
관점
앞에서 보았듯이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특정한 강박행동을 반드시 해야만 한다고 생각하거나, 동시에 이런 생각이 실제로 일어날 것 같은 두려움을 가지고 그 행동을 강박장애를 가지지 않은 사람보다 자주 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강박장애는 현재로서는 강박사고의 침습적인 반복으로 강박행동으로 나타나기까지 용인되는 심리적인 방어기제의 범주내에 있는지 아니면 뇌의 이상과 관련이 있다고 보는지는 지속적이고 기술적으로 의료적 검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강박장애를 진단하는 것은 의료전문가(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나 임상심리사등)를 만나는 것이 우선적으로 전제되어야한다. 염두에 둘 것은 강박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과 강박장애의 정확한 행동평가와 적절한 조기 중재가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강박장애를 극복하는 방안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약물치료와 행동지원이다. 약물치료나 행동지원 어느 한 가지만을 하는 것보다, 두 가지를 병행해서 하는 것이 치료 효과가 보다 효과적일수있다는 견해가 있다.
약물 치료
최근에는 뇌의 세로토닌을 조절하도록 개발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차단제(SSRI)로 작용하는 약물 중에 플루옥세틴, 설트랄린, 에스시탈로프람이 있다. 이 약물은 항우울제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약물은 뇌에서 세로토닌의 기능을 정상화시킴으로써 강박장애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차단제로 작용하는 약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개인의 체질에 따라서 약물의 선택과 용량이 조절되어야 하므로 전문가와 상의해서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약물치료는 적어도 몇 주 혹은 몇 달이 지나야 효과가 나타난다.
행동 지원
행동지원은 자신의 생각이나 불안 등의 감정을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시행될 수 있는데, 크게 2단계로 나누어 보면,
- 1단계: 먼저 자신의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을 잘 파악하고 변화시키는 방법을 배운다.
- 2단계: 강박사고로부터 유발되는 불편감을 가라앉히는 방법, 그리고 강박행동을 줄이는 방법을 배운다.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을 감소시키는 여러 가지 행동적 전략이 있는데, 이들 중 가장 효과적이고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노출법과 반응방지법이다. 두려움의 대상을 직접 경험하는 것이 노출법이고 강박행동을 참는 것이 반응방지법이다. 노출과 반응방지법은 두려워하는 상황, 또는 자극에 노출하도록 하고, 그 자극에 동반되어 나타나는 강박행동을 하지 못하는 하는 행동지원 방법이다. 이러한 행동지원은 개인에 따라서 개별적인 계획을 세워서 해야 한다.
노출과 반응방지법에 대한 구체적인 예
세균에 오염될 것을 두려워하는 김씨가 있다. 김씨는 문잡이도 잡지 않고, 악수를 나누지도 않으며, 하루에 40회도 넘게 손을 씻는다. 김씨는 전문가와 상의하여 행동지원을 받기로 결정했다. 행동지원을 위해서 김씨에게 더러워 보이는 문손잡이를 만지도록 한다.(1단계: 노출). 그런 다음에 수 시간 동안 손을 씻지 못하게 한다.(2단계: 행동방지). 일반적으로 치료과정 중에 불안이 증가하는 경험들을 하게 되고, 이런 어려운 자극이나 불안들을 잘 견디어 내었다는 경험들이 쌓이면서 스스로가 증상들을 감소시켜 나갈 수 있게 된다.[86]
Remove ads
가족 지원
- 가족들은 강박장애가 어떤 장애라는 것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하며, 응원군이 되어주어야 한다.
- 강박장애를 경험하지 않았거나 모르는 사람에게는,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의 생각이나 행동을 이해하기가 어렵고,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이 확인을 부탁하면 귀찮아질 수도 있다. 그러나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의 행동이 절대 고의적인 것은 아니므로, 이러한 행동에 대해서 비난하거나 꾸지람을 하지 말아야 하며, 강박장애를 저항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격려해 주어야 한다.
- 안심시키려 하지 말아야 한다.
-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이 다른 사람을 오염시키지 않았는지 다른 사람으로부터 확인하고 안심을 얻으면 일시적으로 편안해 지지만, 시간이 조금 흐른 후에는 강박적인 염려가 심하게 되살아나므로, 안심시키는 것은 일시적으로는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좋지 않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 중립적인 태도를 취해야 한다.
- 주변 사람들은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을 무조건 안심시켜 주는 것을 피하고 그 사람이 강박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다. 강박장애를 가진 가족과 다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상의를 통해 서로간 지킬 수 있는 약속은 어떤 것이 있을지 함께 생각해 볼 수도 있다.
Remove ads
관련 전문가 칼럼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1 강박증이란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2 강박증의 심리적 특징과 이해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3 강박증의 역학과 유병률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4 강박증의 유발원인 1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5 강박증의 유발원인 2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6 강박증의 병리적 특징 1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7 강박증의 병리적 특징 2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8 강박증의 임상적 양상 1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9 강박증의 임상적 양상 2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10 진단을 위한 기초증상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11 강박증 진단 요건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12 강박증의 감별진단과 자가진단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13 강박증의 임상적 양상과 이해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14 강박증의 유형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15 강박증의 행동치료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16 강박증의 인지이론과 치료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17 정신역동 치료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18 강박증의 유형과 치료적 대응 1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19 강박증의 유형과 치료적 대응 2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20 강박증의 유형과 치료적 대응 3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21 강박증의 유형과 치료적 대응 4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22 강박증의 유형과 치료적 대응 5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23 강박증의 유형과 치료적 대응 6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24 강박증의 극복과 간단한 치료 1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25 강박의식의 치료과정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26 강박증 해소와 실천단계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27 강박행동의 치료와 증례 1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28 강박행동의 치료와 증례 2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29 치료와 욕구결핍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30 치료와 욕구 해소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31 강박증과 향유의 문제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32 강박증의 자가 치료 1
- 김충렬 박사의 '강박증', 33 강박증의 자가 치료 2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