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대한민국 10개 국립대학의 협의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國家據點國立大學校總長協議會) 혹은 국가거점국립대학교(國家據點國立大學校)는 대한민국의 10개 국립 대학이 가입한 협의체이다. 1990년 이전에 종합대학으로 설립·승격된 국립 대학의 협력과 교류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협의회장은 각 대학 총장이 1년씩 돌아가면서 맡는다.
1996년 출범한 '5개국립대협의회'가 전신이며 현재는 10개 국가거점국립대학교가 존재한다. 협의회장은 각 대학 총장이 1년씩 돌아가면서 맡는다.
Remove ads
기원
대한민국 「고등교육법」 제10조[1]에 의거하여 1996년 5개국립대협의회가 설립된 것이 시작이다. 이후 가입 대학이 많아져 정원이 10개 대학 총장으로 증가하였고,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소속 대학
다음은 국가거점국립대학교 목록이다.[2]
Remove ads
특징
요약
관점
- 경상남도의 거점국립대인 경상국립대학교를 제외한 국가거점국립대들은 해당 광역자치단체의 행정구역명칭을 사용한다. 경상남도의 경우 경상국립대학교는 사립 경남대학교의 명칭 선점으로 인해 도 명칭을 쓰지 못하고 있다.
- 부산대학교는 경남권의 거점국립대학으로 출발하여 1963년 경상남도 부산시가 정부 직할시로 승격되자 경상남도민들의 염원에 따라 도립인 경상국립대학교를 국립으로 전환시킴으로써 경남권의 새로운 거점국립대가 되었다.
- 모든 국가거점국립대는 부산대학교를 제외하고 수의과대학과 부속동물병원을 보유하고 있다. 경남권에는 경상국립대학교가 수의과대학을 선점 보유하여 부산대학교는 제외되었다.
- 모든 국가거점국립대는 각 지역의 중등교육 교원을 배출하는 사범대학을 가지고 있다.
- 모든 국가거점국립대에는 예술 교육 과정이 있으며, 서울대학교, 전북대학교, 전남대학교, 경북대학교, 부산대학교에는 한국 음악 교육 과정이 있다.
- 정부의 국립대학 통합 방침에 따라 국가거점국립대와 교육대학교의 통합설이 돌고 있으며, 실제로 2008년 제주대학교가 제주교육대학교와 통합했다.
- 국가거점국립대들은 권역 내 비국가거점국립대 흡수를 추진하고 있다, 2018년 현재 삼척대학교는 강원대학교, 상주대학교는 경북대학교, 밀양대학교는 부산대학교, 여수대학교는 전남대학교, 익산대학은 전북대학교에 통합된 상태이다. 서울에 위치한 국공립대는 이런 논란에서 자유로운 편이며 여간한 지거국에 전혀 밀리지 않고 있다.
- 교육당국의 법인화 전환 정책에 따라 대부분의 국가거점국립대들은 학내 분쟁이 고조되었으며 2011년 거점국립대학교 중 유일하게 서울대학교가 법인화되었다.
의학교육기관
다음은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가입교 산하에 설치된 의학교육기관을 열거한다. 현재 의학 10개 기관, 치의학 8개 기관, 한의학 2개 기관, 약학 10개 기관, 수의학 9개 기관이 설치되어 있다.
병원
법학전문대학원
다음은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가입교 산하에 설치된 법학전문대학원을 열거한다. 현재 9개 기관이 설립되어 있다.
Remove ads
사진
같이 보기
-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 목록
- 대학발전기금협의회
- 전국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 전국교원양성대학교총장협의회
- 전국대학원장협의회
- 전국대학평가협의회
- 지역중심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 한국가톨릭계대학총장협의회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한국대학스포츠총장협의회
- 전국신학대학협의회
- 한국대학홍보협의회
- 한국지역대학연합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