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자치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관악구(冠岳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남부에 있는 구이다. 1973년 영등포구에서 분리되었다. 북쪽으로는 동작구, 동쪽으로는 서초구, 남쪽으로는 관악산을 경계로 경기도 안양시와 과천시, 서쪽으로는 금천구, 구로구와 접한다. 구명은 분구될 때, 이 지역의 명산인 관악산(冠岳山)에서 따왔다.[3]
역사
행정 구역
관악구의 행정 구역은 봉천동, 신림동, 남현동 3개의 법정동을 21개의 행정동으로 관리를 하고 있다. 관악구의 면적은 29.57km2이며,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247,598세대, 540,520명이다.[7]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보라매동 | 보라매洞 | 0.76 | 11,605 | 28,345 |
청림동 | 靑林洞 | 0.30 | 6,626 | 17,288 |
행운동 | 幸運洞 | 0.72 | 15,462 | 30,334 |
낙성대동 | 落星垈洞 | 2.27 | 9,974 | 18,327 |
중앙동 | 中央洞 | 0.39 | 7,458 | 15,279 |
인헌동 | 仁憲洞 | 1.08 | 13,150 | 28,769 |
남현동 | 南峴洞 | 3.27 | 8,188 | 18,368 |
서원동 | 書院洞 | 0.65 | 12,291 | 24,274 |
신원동 | 新源洞 | 0.55 | 9,362 | 20,484 |
서림동 | 西林洞 | 0.99 | 13,301 | 24,916 |
신사동 | 新士洞 | 0.64 | 12,383 | 26,716 |
신림동 | 新林洞 | 0.54 | 13,124 | 23,553 |
난향동 | 蘭香洞 | 0.80 | 6,694 | 17,899 |
조원동 | 棗園洞 | 0.67 | 9,229 | 19,744 |
대학동 | 大學洞 | 8.30 | 14,160 | 24,078 |
은천동 | 殷川洞 | 0.78 | 14,967 | 37,105 |
성현동 | 成賢洞 | 0.68 | 12,858 | 35,003 |
청룡동 | 靑龍洞 | 1.18 | 17,814 | 34,411 |
난곡동 | 蘭谷洞 | 0.96 | 12,854 | 31,240 |
삼성동 | 三聖洞 | 2.66 | 12,194 | 29,711 |
미성동 | 美星洞 | 1.38 | 13,904 | 34,676 |
관악구 | 冠岳區 | 29.57 | 247,598 | 540,520 |
인구
- 서울특별시 관악구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교육 기관

국공립대학교
대학원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기타학교
|
교통
철도
서울 지하철 4호선 사당역은 서초구 및 동작구의 경계상에 접하고 있어 사실상 관악구의 전철역으로 보아도 무방하다.[8]
서울 지하철 7호선은 청림동을 통과하지만, 정거장은 없다. 다만, 7호선의 인접 정거장은 숭실대입구역이며, 4번 출구를 통해 11분을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버스 회사


자매 도시
관광
문화재
- 서울 남현동 요지 - 사적 제247호
- 서울 구 벨기에영사관 - 사적 제254호
- 서울 신림동 굴참나무 - 천연기념물 제271호
- 낙성대 삼층석탑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
- 봉천동 마애미륵불좌상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9호
- 정정공강사상묘역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4호
- 효민공이경직묘역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5호
- 강감찬생가터(낙성대)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호
역대 구청장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