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거창군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거창군의 행정 구역은 군청 소재지인 거창읍과 11개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거창군의 면적은 804.07 km2로 경상남도의 7.65%를 차지하며, 인구는 2012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27,111 세대, 63,122명이다.[1]
행정 구역

법정리
Remove ads
연혁
- 부족국가시대 거창지방을 거열이라고 부른 듯하며 동부는 가소, 서북부는 염례 또는 남내라고 부름
- 신라시대 초기 거열이라 칭함
- 757년 경덕왕 16년 거창군으로 칭하고 가소를 함음현으로 남내를 여선현으로 개명하여 거창군에 편입
- 940년 고려 태조 23년 여선현을 감음현으로 함음현을 가소현으로 개칭
- 1018년 현종 9년 합천을 합주로 승격시키고 거창ㆍ가소ㆍ감음ㆍ이안ㆍ삼기를 모두 합주 (현 합천군)에 속현으로 삼음
- 1414년 가소지방에 이주한 거제와 거창을 병합하여 제창현으로 칭함
- 1495년 연산군비 신씨(폐비 신씨)의 관향으로 거창군으로 승격
- 1506년 단경왕후 신씨의 폐위로 거창현으로 격하
- 1739년 단경왕후 신씨의 복위로 거창부로 승격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진주부 거창군[2]
- 1896년 경상남도 거창군[3]
- 1914년 4월 1일 안의군 일부(북상면, 고현면, 북하면, 동리면, 남리면), 삼가군 일부(신지면, 율원면)를 거창군에 편입하였다.[4]
- 14면 - 읍내면, 읍외면, 주상면, 웅양면, 남상면, 남하면, 가서면, 가동면, 가북면, 고제면, 마리면, 위천면, 북상면, 신원면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