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경산시

대한민국 경상북도의 시, 대구권 남동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경산시map
Remove ads

경산시(慶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부에 있는 이다. 북동쪽은 영천시 금호읍,대창면, 남동쪽은 청도군 금천면, 서쪽은 대구광역시 동구수성구가창면에 접한다. 시청 소재지는 중방동이고, 행정구역은 3읍 5면 7동이다.

간략 정보 경산시, 행정 ...

대구광역시에 인접하여 대구의 위성도시로 성장했으며, 경상북도 내에서는 3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다.

1990년 이후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섬유공업 지역으로 성장하였고, 2012년 9월 19일에는 중산동 · 정평동과 임당동, 대동 일대에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연장되었다. 영남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대학교, 경일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등 교육 기르관이 많다. 갑제동에는 한국조폐공사 화폐본부가 소재하고 있어서 대한민국의 화폐인 원의 지폐와 동전이 발행된다. 진량읍에는 삼성 라이온즈의 2군 홈구장인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매일유업 공장이 각각 위치하고 있다. 와촌면에는 갓바위라고 불리는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이 있다.

대구광역시와 밀접한 도시라는 특성으로 인해, 지역번호는 경상북도의 다른 행정 구역들과 달리 대구광역시 통화권으로 편입됐으므로 054가 아닌 053을 공용하고 있다.

Thumb
경산시가 썼던 과거 휘장
Remove ads

역사

6행정동 - 중앙동, 동부동, 서부동, 남부동, 북부동, 중방동
Remove ads

지리

지형

경산시의 전체 면적은 411.70km2 로써 경상북도의 중앙남부에 자리하여 금박산, 용산이 동쪽으로 우뚝 솟아 영천시청도군을 경계로 하고 있으며, 선의산, 구룡산은 동남으로, 환성산맥은 북으로 뻗어 영천시, 대구광역시에 접하고 있다.

하천은 동남으로 흐르는 오목천과 하도지를 기점으로 하는 남천이 북으로 흘러, 동서로 가로질러 흐르는 금호강에 합류하고 있으며 하천 연안평야 지역은 비옥한 토지와 관개시설로 농업생산기반 역할을 하고 있다.[7]

기후

경산시는 남부 내륙 형에 속하며, 대구 특수형에 가깝다. 태백산맥소백산맥 사이에 끼여있는 남부내륙형 기후지역은 분지적 특색을 나타내어 연강수량이 적은 지역이며, 하계 기온이 가장 높고 기온의 연교차가 큰 지역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금호강유역 분지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경산시는 한반도 연강수량에 비해 소다우지역에 속하는데, 이는 주로 지형적인 영향에서 비롯된다.

즉, 한반도 강수 대부분은 저기압성 강우인데 이 저기압은 중국 대륙 및 동지나해에서 발생하여 동쪽으로 이동해 오며, 황해남해에서 습한 바람이 이 저기압 중심을 향하여 유입하는 과정에서 소백산맥 서사면과 남해안 지역은 풍상 측이 되어 많은 비를 오게 하지만, 소백산맥을 넘어 경상북도에 이르렀을 때는 벌써 많은 습기를 손실하였고 또한, 풍하 측이 되므로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적어진다.

또한, 동계 북동기류 형의 기압 배치가 되었을 때도 동해를 거쳐 불어오는 습윤한 북동풍이 강릉, 속초 부근에서 상륙하게 되고 경상북도에 이르렀을 때는 태백산맥을 넘어 건조한 바람이 되기 때문에 역시 강우량이 적다.

Remove ads

지질

Thumb
대구광역시의 지질경산시의 지질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慶山 大邱 가톨릭大學校 스트로마톨라이트)는 경산시 하양읍, 대구가톨릭대학교에 있는 지질 지형이다. 이 화석은 중생대 백악기 호수에서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며, 박테리아 화석 함유정도, 화석의 보존성 및 형태의 다양성에 있어서 세계적일 뿐만 아니라 생성 당시 호수의 규모나 환경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다.

행정 구역

경산시의 행정 구역은 3읍 5면 7동이다. 하위 행정구역은 28법정동 225리이다. 경산시의 면적은 411.70km2이며, 인구는 2015년 5월 31일 기준으로 100,037세대, 255,406명이다.[8]

자세한 정보 읍·면·동, 한자 ...
Remove ads

인구

  • 경산시(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9]
자세한 정보 연도, 총인구 ...

교통

Thumb
경산시에서 운행하고 있는 코리아와이드대화 소속 818번 버스의 실제 차량으로 NSAC 개선형으로 운행하고 있다.

관내 고속도로 나들목은 경부고속도로진량읍 신상리에 있는 경산 나들목이 유일하다.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청통와촌 나들목은 경산시 와촌면 - 영천시 청통면 시경계에 걸쳐 있고, 중앙고속도로는 옥산동 및 백천동 일대로 통과하지만 나들목이 없어서 수성 나들목을 이용해야 한다.

국도 제4호선이 북부의 하양읍을, 국도 제25호선이 시내를 통과하여 서쪽으로 대구광역시, 동쪽으로 영천시, 경주시와 남쪽으로 청도군을 연결한다. 그 외 국지도 제69호선이 남북으로 하양읍, 진량읍자인면, 남산면을, 지방도 제919호선이 남북으로 와촌면, 하양읍, 진량읍, 시내, 자인면, 용성면 등 거의 모든 구역을 통과한다.

시외교통은 대부분 철도가 전담한다. 하양읍대구선이, 시내에 경부선이 지나간다. 경산시 시외교통의 중추를 담당하는 경산역은 대부분의 무궁화호와 일부 KTX, ITX-새마을이 정차하며, 2024년부터는 경산 - 구미대경선의 시종착역을 맡다. 대구선에서는 하양역에 모든 여객열차가 정차한다. 2012년 9월 19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정평동을 직통하여 영남대학교까지 연장되었다.

2024년 하반기에는 구미 - 경산대경선이 함께 개통되었고, 대구 도시철도 1호선하양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10]

Remove ads

관광

스포츠

교육 기관

  
  
  
  
  
  • 각종학교
  

정치 · 행정

경산시장

경산시의 국회의원

친선 도시

자매 도시

우호 도시

같이 보기

각주

조선과 근대 경산 이야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