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구려 왕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고구려 왕실(王室)은 고구려의 왕실로, 성씨는 고씨(高氏)이다.
계보
해모수왕 解慕漱王 | |||||||||||||||||||||||||||||||||||||||||
해부루왕 解扶婁王 | |||||||||||||||||||||||||||||||||||||||||
금와왕 金蛙王 | 1 동명성왕 추모 東明聖王 鄒牟 기원전 37년 ~ 기원전 19년 | ||||||||||||||||||||||||||||||||||||||||
대소왕 帶素王 | 갈사왕 曷思王 | 2 유리명왕 유리 琉璃明王 類利 기원전 19년 ~ 기원후 18년 | |||||||||||||||||||||||||||||||||||||||
3 대무신왕 무휼 大武神王 武恤 18년 ~ 44년 | 4 민중왕 해색주 閔中王 解色朱 44년 ~ 48년 | 재사 再思 | |||||||||||||||||||||||||||||||||||||||
5 모본왕 해우 慕本王 解憂 48년 ~ 53년 | 6 태조대왕 궁 太祖大王 宮 53년 ~ 146년 | ||||||||||||||||||||||||||||||||||||||||
7 차대왕 수성 次大王 遂成 146년 ~ 165년 | 8 신대왕 백고 新大王 伯固 165년 ~ 179년 | ||||||||||||||||||||||||||||||||||||||||
9 고국천왕 남무 故國川王 男武 179년 ~ 197년 | 10 산상왕 연우 山上王 延優 197년 ~ 227년 | ||||||||||||||||||||||||||||||||||||||||
11 동천왕 위궁 東川王 位宮 227년 ~ 248년 | |||||||||||||||||||||||||||||||||||||||||
12 중천왕 연불 中川王 然弗 248년 ~ 270년 | |||||||||||||||||||||||||||||||||||||||||
13 서천왕 약로 西川王 藥盧 270년 ~ 292년 | |||||||||||||||||||||||||||||||||||||||||
14 봉상왕 상부 烽上王 相夫 292년 ~ 300년 | 돌고 咄固 | ||||||||||||||||||||||||||||||||||||||||
15 미천왕 을불 美川王 乙弗 300년 ~ 331년 | |||||||||||||||||||||||||||||||||||||||||
16 고국원왕 사유 故國原王 斯由 331년 ~ 371년 | |||||||||||||||||||||||||||||||||||||||||
17 소수림왕 구부 小獸林王 丘夫 371년 ~ 384년 | 18 고국양왕 이련 故國壤王 伊連 384년 ~ 391년 | ||||||||||||||||||||||||||||||||||||||||
19 광개토왕 담덕 廣開土王 談德 391년 ~ 412년 | |||||||||||||||||||||||||||||||||||||||||
20 장수왕 거련 長壽王 巨連 412년 ~ 491년 | |||||||||||||||||||||||||||||||||||||||||
조다 助多 | |||||||||||||||||||||||||||||||||||||||||
21 문자명왕 나운 文咨明王 羅雲 491년 ~ 519년 | |||||||||||||||||||||||||||||||||||||||||
22 안장왕 흥안 安藏王 興安 519년 ~ 531년 | 23 안원왕 보연 安原王 寶延 531년 ~ 545년 | ||||||||||||||||||||||||||||||||||||||||
24 양원왕 평성 陽原王 平成 545년 ~ 559년 | |||||||||||||||||||||||||||||||||||||||||
25 평원왕 양성 平原王 陽成 559년 ~ 590년 | |||||||||||||||||||||||||||||||||||||||||
26 영양왕 원 嬰陽王 元 590년 ~ 618년 | 27 영류왕 건무 榮留王 建武 618년 ~ 642년 | 대양 大陽 | |||||||||||||||||||||||||||||||||||||||
28 보장왕 장 寶藏王 藏 642년 ~ 668년 | |||||||||||||||||||||||||||||||||||||||||
부여 선조계
동명성왕
유리명왕
- 부왕 : 동명성왕(東明聖王, 58~19 재위:37~19) 고구려 초대 국왕이다.
- 모후 : 예씨 부인(禮氏 夫人)
- 국왕 : 유리명왕(瑠璃明王, 기원전 38~서기 18 재위:기원전 19~서기 18) 고구려 2대 국왕이다.
- 왕비 : 왕후 송씨(王后 松氏) - 두곡(豆谷) 사람 다물후(多勿侯) 송양(松讓)의 딸이다. 기원전 17년에 사망하였다고 했으나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 후궁 : 화희(禾姬) - 골천(鶻川) 사람의 딸
- 후궁 : 치희(雉姬) - 한나라 출신
- 왕비 : 왕후 위씨(王后 位氏) - 국내(國內) 사람의 딸
- 5남 : 여진(如津, ? ~18)
- 후궁 : 극씨(克氏)
대무신왕
- 조부 : 동명성왕(東明聖王, 58~19 재위:37~19)
- 조모 : 예씨 부인(禮氏夫人)
- 부왕 : 유리명왕(瑠璃明王, 38~18년 재위:19~18)
- 모후 : 왕비 송씨(王妃 松氏, ? ~17)
민중왕
- 부왕 또는 조부 : 유리명왕(瑠璃明王)
- 모후 또는 조모 :왕후 송씨(王后 松氏) - 다물후(多勿侯) 송양(松讓)의 딸이다.
- 모후 또는 조모 : 왕후 송씨(王后 松氏) - 왕후 송씨가 기원전 17년에 사망하였으므로, 아래의 아들들은 또다른 송씨 부인으로부터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 형 또는 백부 : 해명(解明, 기원전 12년 ~ 서기 9년) - 두 번째 태자.
- 형 또는 아버지 : 무휼(無恤. 서기 4년 ~ 서기 44년) - 서기 18년 음력 10월, 대무신왕(大武神王)으로 즉위하였다.
- 형수 또는 어머니 : 해씨부인(解氏夫人)
- 형수 또는 어머니 : 왕후 송씨
- 형 또는 숙부 : 여진(如津, ? ~ 서기 18년) - 서기 18년 여름 음력 4월, 물에 빠져 죽었다. 여진의 죽음에 유리명왕은 크게 슬퍼하여 시체를 찾았으며, 시체를 찾은 사람에게 금 10근과 밭 10경을 상으로 내렸다.
- 아우 또는 숙부 :재사(再思, ? ~ ?[3]) - 제6대 태조왕의 아버지이다.
- 조카 또는 사촌동생 : 태조대왕
모본왕
- 조부 : 유리명왕(瑠璃明王, 38~18 재위:19~18) 고구려 2대 국왕이다.
- 조모 : 왕후 송씨(王后 松氏) - 다물후(多勿侯) 송양(松讓)의 딸이다.
태조왕
차대왕
신대왕
고국천왕
- 부왕 : 신대왕
- 왕후 : 왕후 우씨(王后 于氏) - 제나부(提那部, 椽那部) 우소(于素)의 딸. 동생 산상왕과 재혼을 한다.
산상왕
동천왕
중천왕
- 부왕: 동천왕
- 왕후: 왕후 연씨(王后 椽氏) - 연나부(椽那部) 출신으로 추정된다.
- 아들: 이름 미상 - 중천왕의 맏아들로 자세한 기록은 없다. 서천왕이 둘째 아들이라는 기록으로 존재를 알 수 있을 뿐이다.
- 아들: 고약로(高藥盧) - 제 13대 왕 서천왕이 된다.
- 아들: 고달가(高達賈) - 안국군(安國君)으로 책봉되고, 280년에 숙신을 정벌하였다. 인덕이 많아 따르는 사람이 많았으나, 이 때문에 조카 봉상왕(烽上王)에게 시기를 당했다. 292년에 왕위에 오른 봉상왕에게 살해되었다.
- 아들: 고일우(高逸友) - 286년에 모반을 획책하기 위해 병을 핑계로 지방을 돌아다니며 세력을 모은다. 서천왕이 그들을 국상에 임명한다는 명을 듣고 도성인 평양으로 찾아갔으나, 서천왕에게 살해당하였다.
- 아들: 고소발(高素勃) - 일우와 같이 세력을 모아 모반을 획책하려했다 하여 서천왕에게 살해당하였다.
- 공주: 미상
- 후궁: 관나부인(貫那夫人) - 관나부(貫那部) 출신으로 중천왕의 측실이다. 왕후 연씨(王后 椽氏)를 투기하여 모함을 하였다가 들통나 자신이 모함한 방법대로 처형되었다.
- 왕후: 왕후 연씨(王后 椽氏) - 연나부(椽那部) 출신으로 추정된다.
서천왕
봉상왕
미천왕
- 조부 : 서천왕(西川王, ? ~292, 재위:270~292)
- 조모 : 왕후 우씨(王后 于氏) - 서부(西部) 대사자(大使者) 우수(于漱)의 딸이다. 271년에 왕후에 간택되었다.
고국원왕
소수림왕
고국양왕
광개토대왕
장수왕
문자명왕
안장왕
안원왕
양원왕
평원왕
영양왕
영류왕
보장왕
Remove ads
후예
횡성 고씨
횡성 고씨(橫城 高氏)는 강원도 횡성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동명성왕 고주몽이며, 중시조 고인승(高仁承)은 동명성왕 고주몽의 26대손이다. 영서 지방을 중심으로 전국에 1만여명이 있다. 1824년 횡성 고씨(橫城 高氏) 족보가 발견되어 시조가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임을 밝혔고, 고구려 마지막 왕인 보장왕의 둘째 아들 인승(仁勝)이 동국고씨(東國高氏)의 시조이고, 중시조 인승으로부터 12세 손인 민후(旻厚)가 횡성에 정착, 횡성 고씨(橫城 高氏)의 시조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어 1995년과 2004년 강원일보의 보도기사[9]로 그 존재가 세상에 알려졌다.
요양 고씨
중국의 요양(遼陽) 고(高)씨는 고구려의 20대 왕인 장수왕의 후손으로, 요령성(遼寧城) 태안현(台安縣)의 한 작은 읍인 大高麗房鎭(대고려방진)에 2천여명이 있다.[10][11]
고마씨
고마씨(高麗氏)는 일본에서 고구려 왕족을 조상으로 하는 도래 씨족으로 고마(高麗)를 성으로 한다. 가바네(姓)은 고키시(王) 또는 아손(朝臣). 668년 고구려가 멸망한 뒤, 약 1,799명의 고구려인이 일본으로 망명했다. 다이호(大寶) 3년(703년)에 일본 조정은 고구려의 왕족으로 여겨지는 고구려의 옛 사신 현무약광(玄武若光)에게 고마노고키시(高麗王)라는 카바네를 주었다. 덴표쇼호(天平勝寶) 2년(750년)에는 고구려 광개토왕의 5대 손 배내복덕의 후예 다카쿠라노 후쿠노부 등의 일족에게 고마노아손(高麗朝臣)의 카바네를 내렸는데, 아손이라는 카바네를 도래인에게 내리는 것은 당시 일본에서는 이례적인 것이었다. 그 뒤 후쿠노부는 다시 성을 다카쿠라(高倉)로 고쳤다. 또한 약광의 자손은 대대로 고마 신사의 궁사(宮司)를 맡아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동족으로는 고구려 안장왕의 3대 손을 시조로 하는 고마(狛)씨가 있고, 센고쿠 시대의 무장 고마 쓰네즈미(高麗經澄)가 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