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대 고지 독일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고대 고지 독일어
Remove ads

고대 고지 독일어(영어: Old High German, 약칭 OHG, 독일어: Althochdeutsch)는 독일어의 가장 오래된 형태이다. 사용 시기는 관습적으로 750년부터 1050년까지로 잡는다. 이 시기에는 표준 방언이나 여러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방언이 없었기 때문에, 고대 고지 독일어라는 이름은 고지 독일어 자음추이라 불리는 일련의 음운 변화를 겪은 유럽 대륙 본토의 서게르만어 방언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간략 정보 사용 지역, 문자 ...

초기에는 독립적인 게르만족 왕국마다 별개의 방언권으로 나뉘어 있었지만, 샤를마뉴 788년에 이르면 고대 고지 독일어 사용 지역 전체가 하나의 정체(政體) 아래 통일되었다. 프랑스어와 독일어 사용 지역의 경계가 확정된 것도 이 시기이다.

오늘날 남아 있는 고대 고지 독일어 문서는 모두 수도원의 필사실에서 쓰인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이 종교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세속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하더라도 라틴어 식자층의 기독교 문자문화의 영향 아래 있다. 고대 고지 독일어로 된 가장 오래된 문서는 라틴어 텍스트에 대한 각주행간 주석이며 7세기 후반부터 나타난다. 텍스트 생산에서 교회가 담당한 역할과 이 시기에 활발했던 선교 활동 때문에 고대 고지 독일어 어휘에는 라틴어에서 들여온 수많은 기독교 관련 외래어신조어가 생겨났다.

고대 고지 독일어는 게르만조어에서 물려받은 종합어적 굴절 체계를 대부분 보존하고 있으나, 시간이 흘러 음운 변화 때문에 이러한 굴절 체계가 손상되어 중세 고지 독일어는 보다 분석어적인 문법을 지니게 된다. 통사론의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는 미래시제와 수동태를 나타내기 위한 새로운 우언적 구문의 발생이었다.

Thumb
고대 고지 독일어로 된 가장 오래된 문서인 성 갈루스 코덱스 아브로간스의 첫 쪽
Remove ads

시기

일반적으로 고대 고지 독일어의 사용 시기는 빌헬름 셰러를 따라 750년부터 1050년까지로 본다.[2][3] 이는 고대 고지 독일어의 문자 기록과 함께 시작된다. 초기에 문자 기록은 주석뿐이지만 9세기에 이르면 장문의 번역과 작문 기록이 나타난다.[3] 그러나 고대 고지 독일어를 정의하는 특징인 고지 독일어 자음변이는 빠르면 6세기에 시작되어 750년에는 완료된 상태였으므로, 일부 학자는 고대 고지 독일어의 출발을 6세기로 둔다.[4] 또는 750년 이전을 가리키는 용어로 “선(先)고대 고지 독일어”(Voralthochdeutsch)[5] 아니면 “문어 이전 고대 고지 독일어”(vorliterarisches Althochdeutsch)[6] 따위의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7] 어떤 용어를 사용하건 간에 모든 학자들은 문자로 기록되지 않던 시기가 있었으며 8세기 중반에 연속적인 문자 전통이 시작되었다는 데 동의한다.[8]

랑고바르드어의 지위에 대해서도 학자마다 입장이 다르다. 랑고바르드어는 엘베게르만어군에 속하며 이른 시기에 고지 독일어 자음변이를 겪은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이유로 일부 학자는 랑고바르드어를 고대 고지 독일어의 일부로 취급한다.[9] 그러나 랑고바르드어로 된 기록이 전혀 없고 (라틴어 텍스트에 몇몇 단어와 이름이 남아 있을 뿐이다) 8세기에 이르면 이미 사라지고 있는 언어였기 때문에[10] 다른 학자들은 랑고바르드어를 고대 고지 독일어에 관한 논의에서 제외한다.[11] 하이더만스가 지적하듯 이런 이유로 랑고바르드어를 제외하는 것은 언어의 보존이라는 외적 상황에 기초한 것일 뿐 언어의 내적 특징에 따른 것이 아니다.[11]

고대 고지 독일어의 시대가 끝나는 시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적다. 11세기의 철자법에 드러나는 음운 변화는 명사와 형용사 곡용 체계 전반을 뒤흔들었다.[12] 또한 1022년 노트커 라베오의 죽음 이후 100년 동안 줄글이 별로 발견되지 않는다.[8] 따라서 일반적으로 11세기 중반을 중세 고지 독일어로의 전환기라고 본다.[13]

Remove ads

분포

Thumb
950년경 고대 고지 독일어 사용 지역

게르만족의 대이동 시기에 고지 독일어를 사용하는 부족들은 훗날의 알레만니아, 바이에른 공국, 랑고바르드 왕국 땅에 정착했다. 같은 시기에 프랑코니아어를 사용하는 부족들은 라인강루아르강 사이의 땅에 정착했고, 이후에 라인강을 건너 갈리아 북부를 정복한 뒤 메로빙거 왕조 치하에서 프랑크 왕국을 세웠는데, 그 영토는 결국 루아르강까지 뻗어 내려가게 된다.

고대 고지 독일어는 6세기경에 제2차 자음 추이를 겪은 방언들, 즉 엘베 게르만어군 전체와 베저-라인 게르만어군의 대부분으로 구성된다.

고대 고지 독일어 시기가 시작될 즈음, 프랑크 왕국 서부(네우스트리아아우스트라시아)의 프랑크족들은 점차 갈리아로망스어를 말하기 시작했다. 이후에 로망스어군게르만어군의 언어적 경계가 동쪽으로는 뫼즈강모젤강을 따라 형성되었고, 북쪽으로는 아마도 현재 프랑스어플람스어의 경계보다 약간 남쪽에 형성되었다.[14] 이 경계선 북쪽의 프랑크족은 자신들의 언어를 유지했지만 제2차 자음 추이를 겪지는 않았다. 따라서 이들의 저지 프랑코니아어(네덜란드어의 조상)는 고대 고지 독일어에 속한 보다 동쪽의 프랑코니아어 방언들과 갈라지게 되었다.

북해 연안의 색슨족프리슬란트족도 제2차 자음 추이를 겪지 않았다. 오늘날의 벤라트 선과 비슷한 위치의 등어선 다발이 제2차 자음 추이의 북쪽 한계선을 표시하며, 이 선을 따라 프랑크족의 방언과 고대 색슨어가 구분되었다.[15]

이탈리아 북부에 정착한 랑고바르드족은 774년 샤를마뉴에게 정복당하기 전까지 자신들의 언어를 유지했다. 이후 이 지역의 게르만어 사용자들은 점차 토착 로망스어 방언만을 사용하게 된다. (이들은 샤를마뉴의 정복 시기에 이미 이중언어화자였을 것이 거의 확실하다.) 그 결과 고대 고지 독일어 시기가 끝날 때쯤에 랑고바르드어는 사라지고 말았다.[10]

Remove ads

음운론

모음

자세한 정보 전설, 중설 ...

자음

자세한 정보 양순음, 순치음 ...

예문

요약
관점

다음은 고대 고지 독일어의 네 가지 방언으로 적은 주기도문이다. 전례적 텍스트를 번역한 것이므로 일상 언어를 반영한다고 보긴 힘들지만, 방언 간의 차이는 아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자세한 정보 알레만 방언,8세기 성 갈루스의 주기도문, 동부 프랑코니아 방언, 830년경 고대 고지 독일어 《디아테사론》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