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면 좌표계
에서 라플라스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변수분리법을 써, 함수 f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고 가정하자.
.
그렇다면 라플라스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이는 다음과 같이 분리된다.

![{\displaystyle l(l+1)\sin ^{2}(\theta )+{\frac {\sin(\theta )}{\Theta (\theta )}}{\frac {d}{d\theta }}\left[\sin(\theta ){\frac {d\Theta }{d\theta }}\right]=m^{2}}](//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c7a83b2c1c1a7a02f0dc8591b81d2b5303e2e881)
이에 따라 어떤
과
에 대한 위 두 식을 얻는다.
따라서 각의 부분의 해는 다음과 같이 두 방정식의 해의 곱으로 표현된다.

이들 함수
를 구면 조화 함수라 부른다. 함수가 연속적이므로,
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
은
을 만족하는 정수다. 여기서
은 르장드르 연관 함수이고,
은 정규화 상수다.
은 임의적이나, 대개 편의상
이 되게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보다 일반적으로,
차원의 유클리드 공간의 구면 좌표계
에 대하여 위와 같은 라플라스 방정식을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구면 조화 함수

를 얻는다. 이 경우

이며,

이다.
유클리드 공간 조화 다항식을 통한 유도
구면 조화 함수는 다른 방법으로 유도할 수 있다.
유클리드 공간
위의 다항식 함수 가운데, 조화 함수인 것들을 생각하자.
![{\displaystyle A=\left\{p\in \mathbb {R} [x_{1},\dotsc ,x_{n}]\colon \sum _{i=1}^{n}{\frac {\partial ^{2}p}{\partial x_{i}^{2}}}=0\right\}}](//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0c2209b21666244aa615dfdb6501b13f29196089)
이는 물론 동차 다항식의 차수에 따라서 실수 등급 벡터 공간을 이룬다.


이를
차원 초구

위에 제한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된다. 그렇다면, 구면 조화 함수
들은
의 정규 직교 기저를 이룬다.
의 원소

에 대하여,
가 조화 함수일 조건은 텐서
이 대칭이며 완전 무(無)대각합인 것이다. 즉, 이는
의 완전 무대각합 대칭
차 텐서 표현에 대응한다. 이는
개의 상자로 구성된 하나의 행만을 갖는 영 타블로에 해당한다.
- SO(3)의 경우, 표현은 정수 스핀으로 분류되며, 이 경우
은 이 스핀에 해당한다.
- SO(4)의 경우, 표현은 두 개의 정수 또는 두 개의 반(半)정수 스핀
으로 분류되며, 이 경우 완전 무대각합 대칭
차 텐서 표현은 스핀
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