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궁가 (한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궁가(宮家) 또는 궁방(宮房)[1]는 한국의 역사에서 궁궐 밖에서 독립되어 생활하던 조선의 왕족ㆍ대한제국의 황족의 가문을 나타내는 말이다.(예로 친왕ㆍ국왕ㆍ대군ㆍ왕자군ㆍ공주ㆍ옹주의 거처를 가리킨다.)
개요
고려 시대 때에 궁가와 같은 제도가 존재 했을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사료가 부족하다. 그러나 인조대왕실록에 궁가에 대한 기록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조선 시대 때는 궁가[2] 제도가 존재 했음을 짐작 할 수 있다.
- 용례
도승지 윤순지…등이 연명하여 아뢰기를, “…여러 궁가와 각 아문에서 산이나 바다를 떼어받는 폐단에 대해서는 말씀드린지 이미 오래입니다마는 근래에 둔전의 일은 그 해가 더욱 심합니다.” 하였다. ; 都承旨尹順之…等 聯名以啓曰…諸宮家各衙門 折受山海之弊 言之已久 而近來屯田之事 其害尤甚 [인조실록 권제45, 24장 뒤쪽~25장 뒤쪽, 인조 22년 5월 5일(임진)]
조선의 궁가
요약
관점
※ 조선 태조 연간
왕자
※ 조선 태종 연간
왕자
※ 조선 세종 연간
왕자
※ 조선 중종 연간
왕자
※ 조선 선조 연간
왕자
※ 조선 숙종 연간
왕자
※ 조선 고종 연간
- 완화군(후일 완친왕)
- 의화군(후일 의친왕)
- 흥선대원군(후일 흥선헌의대원왕)
- 덕혜옹주(고종 황제의 막내딸)
대한제국의 궁가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