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여정
1987년생/북한 정치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여정(金與正, 1988년 9월 26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김정일 조선로동당 제2대 총비서의 3남 4녀 중 4녀이다.
Remove ads
생애
미성년이었을 무렵의 정보는 한정되어 있지만, 김정일의 전속 요리사였던 후지모토 켄지의 회상록에 따르면, 김정일의 총애를 얻고 있었다. 아버지의 김정일은 아이들 가운데 김정은과 김여정에게 정치인의 소질이 있다고 보고 있었다.[1]
1996년 4월부터 2000년 말까지 김정은과 함께 스위스 베른에 유학하고 있었다. 베른에서 초등학교 종료에 상당하는 교육을 마치고 그 뒤는 전속의 집사를 붙여 교육을 받았다.[2]
2016년 5월에 개최된 조선노동당 제7차 대회에서 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됐다. 당내 서열은 25위 전후였다.
2019년 1월 8일 부인 리설주와 함께 35세 생일을 맞이하는 김정은의 중국 방문에 동행했다.
2019년 12월 말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총회에서 새로운 제1부부장직에 취임한 것이 발표되어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취임한 것으로 관측 되고 있다.[3]
2020년 8월 25일 정경두 국방부장관이 국회에서 김여정이 조선노동당의 조직지도부를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2021년 9월 29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5회 회의 제2일 회의에서 국무 원회 위원에 보결 선거됐다.[4]
Remove ads
가족 관계
김일성 金日成 1912~1994 | 김정숙 金正淑 1917~1949 | ||||||||||||||||||||||||||||||||||||||||||||||||||||||||
홍일천 洪一茜 1942~ | 성혜림 成蕙琳 1937~2002 | 김영숙 金英淑 1947~ | 김정일 金正日 1941~2011 | 고용희 高容姬 1952~2004 | 김옥 金玉 1964~ | ||||||||||||||||||||||||||||||||||||||||||||||||||||
김혜경 金惠敬 1968~ | 김정남 金正男 1971~2017 | 김설송 金雪松 1974~ | 김춘송 金春松 1975~ | 김정철 金正哲 1981~ | 김정은 金正恩 1984~ | 김여정 金與正 1987~ | |||||||||||||||||||||||||||||||||||||||||||||||||||
Remove ads
기타
- 2014년, 김여정은 리수용 외무상(외무부 장관)의 조카와 결혼했다.
- 2014년 10월 3일, NK지식인연대가 북한 내부와 접촉해 파악한 바에 따르면, 김정은이 건강 문제로 자취를 감춘 직후 당 정치국 긴급회의가 소집됐다고 한다. 그런데 이를 주관한 인사는 다름 아닌 김여정이었다.[5] CNN은 김정은 제1위원장이 40일간 공개석상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자, 김여정이 북한을 통치하고 있을 가능성을 보도했다.
- 2014년 10월, 북한 낙원무역총회사는 한국 남북경협경제인연합회(이하 남경련)와 2015년 봄 서울에서 ‘남북 민족음식 예술문화 대축제’를 열기로 합의하고 우리 측에 참가 의향서를 보냈다.[6] 북측이 남경련에 보낸 의향서에 김여정의 직책이 노동당 대외사업부 부장(장관급)으로 명시돼 있었다.[7]
- 2014년 11월 27일, 북한 관영 조선중앙TV는 김여정이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차관급)이라고 소개했다.
- 2017년 1월 12일, 미국은 김여정이 1989년생이라고 파악하지만, 대한민국 통일부는 1987년생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9]
- 2020년 6월 16일, 김여정이 도발발언 후[10] 4일만에 대한민국 국민의 세금 170억이 들어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기도 개성시에 위치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시켰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