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내림가장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내림가장조(-長調)는 내림가(A♭)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장음계다. 구성음은 기본적으로 A♭, B♭, C, D♭, E♭, F, G가 있다. 이 조성의 조표에는 내림표가 총 4개 있다.

간략 정보 다른 언어 이름, 영어 ...

이 조성의 음계는 다음과 같다.

Thumb

음계의 화음 종류

이 조성의 음악

요약
관점

베토벤은 대부분의 다단조 작품에서 느린 악장의 조성으로 내림가장조를 선택했는데, 이는 안톤 브루크너가 그의 처음 두 개의 다단조 교향곡과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유일한 다단조 교향곡에서 모방한 연습이다. 하이든의 교향곡 43번 내림마장조의 2악장은 내림가장조다. 프레드릭 쇼팽(Frédéric Chopin)은 그의 많은 작품, 특히 왈츠에서 이 조성을 사용했다.

18세기 오케스트라 작품의 주요 건반으로 내림가장조가 선택된 경우가 드물었기 때문에, 이 조성의 악장은 종종 이전 악장의 팀파니 설정을 유지했다. 예를 들어, 베토벤의 교향곡 5번은 1악장에서 팀파니를 C와 G로 설정했다. 손으로 조율한 팀파니를 사용하면 내림가장조의 느린 두 번째 악장을 위해 팀파니를 A♭과 E♭으로 다시 조율하기엔 시간이 걸렸다. 따라서 이 악장의 팀파니는 C 장조의 악절을 위해 예약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브루크너의 교향곡 1번 C단조에서는 팀파니가 C단조의 첫 번째 악장과 내림가장조의 다음 악장 사이에서 다시 조율되었다.

Charles-Marie Widor는 내림가장조를 플루트 음악에서 2위의 좋은 조성으로 간주했다.[1]

내림가장조는 도메니코 스카를라티, 요제프 하이든,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건반과 피아노 소나타의 홈 키로 사용되었으며 내림표가 제일 많은 장조로, 스카를라티의 K. 127과 K. 130, 하이든의 Hob XVI 43과 46, 베토벤의 Op. 26Op. 110, 프란츠 슈베르트는 피아노 소나타 한 곡에 사용했다. 또한 요한 제바스찬 바흐 (Johann Sebastian Bach)의 Well-Tempered Clavier에서 전주곡과 푸가에 사용되었으며 내림표가 제일 많은 장조였으며, 내림표가 더 많은 장조는 조성 내의 화음에 해당하는 것으로 표기되었다.

펠릭스 멘델스존, 요한 네포무크 훔멜, 존 필드, 프리드리히 칼크브레너는 각각 피아노 협주곡 내림가장조를 작곡했다. 멘델스존은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이다. 그들은 뿔피리와 트럼펫을 E♭에 맞췄다. 막스 브루흐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내림가단조는 마지막 악장이 같은으뜸조인 내림가장조로 되어 있다. 이 협주곡은 두 조성의 대비로 연주된다.

스콧 조플린(Scott Joplin)의 메이플 리프 래그(Maple Leaf Rag)도 내림가장조로 작곡되었다. (작곡의 트리오 파트는 내림라장조로 작곡되었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이 내림가장조의 작품이 있다.

  • Ludwig van Beethoven
    • Piano Sonata No. 12
    • Piano Sonata No. 31
  • Carl Maria von Weber
    • Piano Sonata No. 2
  • Frédéric Chopin
    • Polonaise-Fantaisie, Op. 61
    • "Heroic" Polonaise, Op. 53
    • Ballade No. 3, Op. 47
    • Étude Op. 10 No. 10
    • Étude Op. 25 No. 1
    • Trois nouvelles études, No. 2
    • Nocturne Op. 32 No. 2
    • Prelude Op. 28 No. 17
    • Waltz Op. 34 No. 1
    • Waltz Op. 42
    • Waltz Op. 64 No. 3
    • Waltz, Op. 69, No. 1
    • Mazurka Op. 59 No. 2
    • Mazurka Op. 50 No. 2
    • Impromptu No. 1, Op. 29
  • Antonín Dvořák
    • String Quartet No. 14
  • Edward Elgar
    • Symphony No. 1
  • Franz Liszt
    • Transcendental Étude No. 9, "Ricordanza"
    • Au Lac de Wallenstadt, Au bord d'une source and Eglogue from Années de Pèlerinage No. 1
    • Sonetto 123 del Petrarca from Années de Pèlerinage No. 2
    • Liebesträume No. 1 and 3
    • Feuilles d'Album
    • Élégie sur des motifs du Prince Louis Ferdinand de Prusse, S. 168
  • Felix Mendelssohn
    • Second Concerto for Two Pianos and Orchestra
    • Lieder ohne Worte, Op. 38/6 and Op. 53/1
  • Ferdinand Ries
    • Piano concerto no. 8 Op. 151, Gruß an den Rhein
  • Franz Schubert
    • Mass No. 5 D 678
    • Piano Sonata D 557
    • Impromptu Op. 90/4 (D 899/4) and Op. 142/2 (D 935/2)
  • Dmitri Shostakovich
    • String Quartet No. 10, Op. 118

그 외에도 표기가 보다 복잡한 올림사장조이명동조로써 그 조성을 대체할 때도 쓰일 수 있다. 참고로 올림사장조는 조표에 총 8개의 올림표가 있으며, 겹올림표 1개와 단일 올림표 6개로 되어있는 반면, 이명동조인 내림가장조는 조표에 내림표가 총 4개 있다. 따라서 올림사장조는 표기가 보다 간단한 내림가장조에 비해 사용하기가 비실용적이 될 수 있다. 참고로, 내림가장조에는 조표에 총 4개의 내림표만이 있으므로 올림사장조에 비해 표기가 간단한 이명동조가 된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고 바람.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