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바단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바단조(-短調)는 (F)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단음계조성이다. 음계는 기본적으로 F, G, A♭, B♭, C, D♭, E♭로 되어있다.

간략 정보 다른 언어 이름, 영어 ...

음계와 화음 종류

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가락단음계는 다음과 같다.

Thumb
Thumb
Thumb

이 조성의 음악

요약
관점

바단조의 유명한 작품으로는 베토벤의 열정 소나타,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 2번, 발라드 4번, 하이든의 교향곡 49번, 라 파시오네, 차이코프스키의 교향곡 4번 등이 있다.

글렌 굴드(Glenn Gould)는 자신이 어떤 조성이라도 될 수 있다면 바단조가 될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왜냐하면 "복잡함과 안정감의 중간, 직립과 음탕함, 회색과 진한 색조 사이... 어느 정도 경사가 있다"는 것 때문이다.[1]

헤르만 폰 헬름홀츠(Hermann von Helmholtz)는 바단조를 비참하고 우울하다고 묘사한 적이 있다. 크리스티안 슈바르트(Christian Schubart)는 이 조성을 "깊은 우울증, 장례적 애도, 비참한 신음, 무덤에 대한 그리움"으로 묘사했다.[2]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이 바단조의 작품이 있다.

그 외에도 바로 아래 문단의, 표기가 보다 복잡한 올림마단조이명동조로써 그 조성을 대체할 경우에도 바단조가 사용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바로 아래 문단 참고 바람.

Remove ads

올림마단조

요약
관점

올림마단조(-短調)는 올림마(E♯)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조성으로, E♯, Fdouble sharp, G♯, A♯, B♯, C♯, D♯로 되어있는 단음계이다. 조표에는 총 8개의 올림표가 있으며 이는 1개의 겹올림표와 6개의 단일 올림표를 필요로 한다. 올림마단조의 이명동조로는 바단조가 있으며 대체 표기도 가능하다. 다만 일반적으로 표기가 간단한 이명동조인 바단조로 대체한다. 이명동조인 바단조는 총 4개의 내림표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기가 보다 간단하여 일반적으로 선호된다. 따라서 올림마단조는 표기가 보다 간단한 이명동조인 바단조에 비해 사용하기가 비실용적이 될 수 있다. 참고로 바단조는 이러한 올림마단조를 대체할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간략 정보 다른 언어 이름, 영어 ...

올림마단조의 음계는 다음과 같다.

Thumb

바로 위의 음계는 올림마단조의 자연 단음계이다. 한편, 화성 단음계가락 단음계로 전환 시엔 필요성에 따라 임시표변화표가 기보된다. 올림마단조의 화성 단음계와 가락 단음계는 다음과 같다.

Thumb
Thumb

올림마단조 음계의 화음 종류는 다음과 같다.

올림마단조는 일반적으로 표기가 보다 단순한 이명동조인 바단조로 대체 사용되긴 하나 이명동조인 바단조를 사용하지 않고도 임시로 쓰일 수도 있다.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3번의 17~22마디에서 일시적으로 사용되었다. 다만 이는 직접적인 조표 형태는 아니었고 임시표 형태로 사용된 것이다.

한편, 제일 보편적인 음률 외의 음률에서는 E♯F가 서로 다른 음인 등 이명동음 관계가 완전히 다를 수 있으므로 올림마단조를 그대로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일 보편적인 음률과는 달리 19 평균율에서는 올림마단조 (올림표 8개)의 이명동조는 내림바단조 (내림표 11개)이며 바단조 (내림표 4개)가 아니다.[출처 필요]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